Browse > Article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Knowledge to Health Attitude and Health Practical Health Behavior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Noh, Hang-In (Graduate School of Health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Kim, Myung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s of Korea high school students and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s in an effort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promotion programs and health education for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505 students in their first and second year of high school in Gangnam-gu and Guro-gu, Seoul.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for seventeen days from April 23 to May 9, 2003,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as encoded and analyzed with SPSS Win 11.0 program.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χ²-test, t-test, ANOVA, Scheffe Post Hoc Tests and Pearson Correlation procedure were employ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appear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eral traits, family-related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features between the students in Gangnam and the others in Guro. 2. The collective average of the Gangnam residents in health knowledge was 13.97, and that of the Guro residents was 14.64. The overall collective average was 14.35(total of 22 points), and 65.2 percent of the students investigated had a correct knowledge. The poi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of sex, economic status, mother's occupation,and health concerns. 3. The students from Gangnam scored a mean of 77.55 in health attitude, and the others from Guro got an average of 78.75. The overall collective average was 78.22(total of 110 points), and 71.1 percent took a correct attitude toward health. The poi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of sex, religion, mother's education level, health concerns. 4. In the field of health behavior, the Gangnam residents got a mean of 63.99, and the Guro dwellers scored a mean of 62.12. There was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overall collective average was 62.94(total of 102 points). 61.5 percent tried to stay fit in a correct behavior. The poi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of sex, economic status, parents' education level, father's occupation, health concern of parents, self-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concern, exercise or diet performance for health, health education times for 1yr. 5. Concerning the relationship of health knowledge to health attitude and behavior, the health knowledge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lth attitude(r=0.227, p<0.01), and the health knowledge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lth behavior(r=0.262, p<0.001). But their relationship is comparatively low. The health attitude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to health behavior.
Keywords
Health Knowledge; Health Attitude; Health Practical Behaviors; High School Students; Relationship;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말수. 과학 고등학교 학생들의 건강 행위 및 건강 지식에 관한 조사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2 김미정. 중 . 고등학생의 건강위험지각이 건강위험 행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3 김성희. 대구지역 일부 고등학생들의 건강관련 위험행동조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000;26(1):38-45
4 김영애, 김상순, 정문숙, 한창현. 고등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정도와 관련요인. 한국 보건교육 . 건강증진학회지 2000;17(1):1-17
5 김우경. 일부 중학생의 가족지지, 자아존중감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6 박종성. 일부 체육대학 여학생들의 건강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2
7 박형종. 학교보건교육의 중요성과 그 개선을 위한 제언. 학교보건학회지 1989;6(2):1-3   과학기술학회마을
8 Brown JS, McCreedy M. The Hale Elderly: Health Behavior and its Correlate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986;9:317-329   DOI   ScienceOn
9 Jessor. Risk behavior in adolescence, A Psychosocial behavior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action. Journal of Adolescence Health 1991;12:597-605   DOI
10 Perry C, Jessor R. The concept of health promotion and the prevention of adolescent drug abuse. Health Education Quarterly 1985;12(2):169-184   DOI
11 박금희. 중학생의 가정환경이 건강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2 박연정.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흡연 행동, 흡연지식, 흡연태도와 흡연과의 관계. 동덕여자대학교 여성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3 배성미. 청소년의 성지식 성태도가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4 유재순. 고등학교 보건교육의 진단적 연구: PRECEDE 모형을 근간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15 통계청. www.nso.go.kr. 2001년 사망원인 통계결과
16 김은경. 경기도내 일 지역 고등학생의 건강상태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7 김학순. 남 . 여 고등학생들의 건강에 대한 연구: 일부 청소년들의 건강상태와 건강행위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18 Barnett FG. The relationship of selected cognitive-perceptual factors to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adolesc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xas, 1989
19 서정희. 대전지역 일부 청소년의 영양지식 . 태도 . 식행동간의 관련성.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0 유한순. 일주 서울시내 고등학교 학생의 건강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21 김명, 서혜경, 서미경, 김영복. 보건교육 이론과 적용. 계축문화사, 2001
22 차은석. 중학생의 성에 대한 지식, 태도, 행위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23 김은애. 청소년의 건강증진 행위와 자기효능과의 관계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24 김은영. 보건교과서에 근거한 보건교육이 고등학생의 건강지식, 건강증진행위, 자아존중감, 건강통제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5 이성미. 청소년 흡연지식 및 흡연태도가 흡연행위에 미치는 영향 -대전광역시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6 이정숙. 일부 종합병원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요인. 조선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7 김문실. 청소년의 건강증진. 대한간호 1997;36(3):6-15
28 최경희. 중 . 고등학생의 건강지식과 건강행위 이행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9 곽오계. 국민학교 아동들의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인 분석: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8
30 김귀례. 국민학교 아동의 건강지식과 건강행위와의 관계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31 양한숙. 중학생의 건강 문제, 건강지식과 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32 김영아. 청소년의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건강행위와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