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ealth-Promoting Life-Style and Related Factors Among Teachers  

정인숙 (부산대학교 간호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the self-reported health-promoting life- style (HPL) and related factors among teachers assumed to be role models for students. The subjects were 300 teachers who were conviently drawn from nine elementary schools and three high schools.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is study was based on the Pender's revised Health Promotion Model(1996). Data was collected by a mailed survey (response rate, 62.5%)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score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was 2.8(full mark: 5.0), harmonized relationship was the highest(3.2), and professional helath management was the lowest(2.0). The related factors to health-promoting life-styles were age, marital stauts, career, perceived health status, self esteem, intermal locus of control, perceived benefit, perceived barrier, self 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univariate analysis. In the final regression model, predictors of HPL were social support, self esteem, perceived benefit. self efficac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fter control the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0001, R2=0.494). The results generally supported the Pender Model.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eachers based on these results,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at program for teacher.
Keywords
Health promoting life styl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노태영. 일부 종합병원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와 그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2 문정순. 성인의 건강신념 측정도구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0
3 박계화. 건강개념, 자기효능감, 강인성과 건강증진 생활양식과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4 박명희. 중년여성의 건강증진생활양식 관련요인 분석.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998;3(2):139-157
5 서연옥.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방식에 관한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6 이정은. 학령후기 아동의 건강지각과 건강증진행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7 이진희. 일 의료원 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예측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8 전정자, 김영희. 성인의 건강증진생활양식과 자아존중감, 지각된 건강상태와의 비교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996;8(1):41-54
9 Cohen S, Hoberman H.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983;13:99-125   DOI
10 김종임. 자조집단 활동과 자기효능성 증진법을 이용한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통증, 생리적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류마티스건강학회지 1994;1(1):1-30   과학기술학회마을
11 안혜경. 대도시 사무직 근로자의 건강관리행위의 관련요인 및 실천정도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12 Pender NJ.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3rd ed. Appleton & Lange. 1996
13 박현정. 일부 종합병원 간호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대한 실천도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4 김귀희. 중등학교 학생의 건강증진 행태와 관련요인분석. 경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15 Zimmerman RS, Connor C. Health promotion in context: the effects of significant others on health behavior change. Health Educ Q 1989;16(1):57-75   DOI
16 박인숙.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17 오현수. 여성관절염환자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대한간호학회지 1993;23(4):617-630
18 허은희. 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19 Belloc NB, Breslow L. Relationship of physical health status and health practices. Prev Med 1972;1:409-421   DOI   ScienceOn
20 김영복, 이원철. 지역사회 주민의 위암 조기검진 행태 및 그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역학회지 1999;21(1):20-30
21 Ware JE. Jr., Davies-Avery A, Stewart AL. The measurement and meaning of patient satisfaction. Health Med Care Serv Rev 1978;1(1):3-15
22 김윤정. 일부 대학병원 근무 간호사의 거강증진행위 관련 변인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23 이미영. 중년기 성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감 및 지각된 건강상태와의 관계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24 한충헌외 7명. 위암 선별검사의 수검과 관련된 인자. 가정의학회지 2001;22(4):528-538
25 이영휘. 충남 일부 주민의 건강통제위 성격과 건강행위와의 관계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998;18(2):118-127
26 Sherer M 외 5명. The self-efficacy scale :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1982;51:663-671   DOI   ScienceOn
27 Weitzel MH. A test of the health promotion model with blue collar workers. Nurs Res 1989;38(2):99-104   PUBMED
28 김정남.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와 자아개념 및 건강의 중요성 인식에 관한 연구. 산업간호학회지 1998;7(1):5-19
29 오복자. 위암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와 삶의 질 예측모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30 윤순녕, 김정희. 제조업 여성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 분석 -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적용. 산업간호학회지 1999;8(2):130-140
31 전병재. Self-esteem :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1974;11:107-129
32 지연옥. 군흡연자의 금연행위예측을 위한 Theory of Plarmed Behavior 검증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33 이은희, 최상순, 소애영. 일부지역 여성건강간호센터 설립 및 여성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999;5(1):119-133
34 박재순. 중년 후기 여성의 건강증진 모형 구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35 박소영. 초등학교 양호교사의 건강증진생활양식과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36 Walker SN, Sechrist KR, Pender NJ.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 Res 1987;36:76-81   DOI
37 김미옥. 일부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신체상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38 우원미. 중년남성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39 이숙자, 박은숙, 박영주. 한국 중년 여성의 건강증진 행위 예측 모형 구축. 대한간호학회지 1996;26(2):320-336   과학기술학회마을
40 서문자. 편마비환자의 퇴원후 적응상태와 관련요인에 대한 분석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9
41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1977;82(2):191-215
42 이태화.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43 장희정. 산업장 여성근로자의 근무형태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비교.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44 최명애, 이인숙 역. 건강증진과 간호실무. 현문사. 1997
45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NJ :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46 박미영.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요인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47 조정인.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증진생활양식의 실천과 그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48 최은영. 중년여성의 건강증진생활양식과 성역할정체감,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조선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