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일기를 통해 본 귀농·귀촌인 '일상 경관' 인식 - 텍스트 마이닝 적용 -

Analysis of Urban-to-Rural Migrants' Perceptions of the 'Everyday Landscape' Using Diary-Based Text Mining

  • 오정심 (상명대학교 K-Culture 창의콘텐츠 연구소)
  • OH Jungshim (K-Culture Creative Content Research Institute, Sangmyung University)
  • 투고 : 2024.06.26
  • 심사 : 2024.08.07
  • 발행 : 2024.09.30

초록

본 논문은 세계적인 변화 흐름 속에서 '일상 경관'의 중요성이 부각된 배경을 탐구하고, 귀농·귀촌인 관점에서 일상 경관을 분석한 결과를 제시했다. 전라남도 '곡성군' 사례를 중심으로, 귀농·귀촌인이 작성한 '일기' 460건을 수집하여 '텍스트 마이닝'의 주요 기법인 '빈도수 분석', '토픽 모델링', '감성 분석' 등으로 분석했다. 명사형 형태소의 분석 결과를 인지적 측면에서, 형용사형 형태소의 분석 결과를 감성적 측면에서 해석했다. 특히 기존 감성 분석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시맨틱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해 단어 네트워크 목록을 추출했고, 목록에서 감정을 나타내는 '형용사'와 공기 관계로 연결된 '명사'를 검토하여 감성의 대상과 내용을 확인했다. 이러한 방법은 기존 연구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차별화된 접근법이다.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흥미로운 사실은 해당 귀농·귀촌인이 '동네 산책길 꽃', '텃밭 수확', '동네 행사', '카페 공간' 등을 중요하게 인식한다는 것이다. 이들 모두는 시각적 요소를 갖춘 일상 경관이다. 현재 많은 농촌 마을은 주거 경관을 개선하고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모으기 위해서 지붕 색상을 하나로 통일하거나 담벼락에 벽화를 그리고 있다. 그러나 시각적 임팩트는 그러한 인위적인 조치로 생겨나지 않는다. 현재의 정책 및 제도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개선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일기와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귀농·귀촌인 관점에서 일상 경관을 연구한 첫 사례로서 의미가 있다. 본 논문을 통해 일상 경관 관련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response to the global trend of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everyday landscapes",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those who have returned to rural life. With a focus on the case of Gokseong-gun in Jeollanam-do, 460 diaries written by these individu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topic modeling", and "sentiment analysis". The analysis of noun morphemes was interpreted from a cognitive aspect, while adjective morphemes were interpreted from an emotional aspect. In particular, this study applied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entiment analysis, and extracted a word network list and examined the content of nouns connected to adjectives that express emotions to identify the targets and contents of sentiments. This method represents a differentiated approach that is not commonly found in existing research. One of the intriguing findings is that the urban-to-rural migrants identified everyday landscapes such as "flowers on neighborhood walking paths", "harvest of a garden", "neighborhood events", and "cozy cafe spaces" as important. These elements all contain visual and enjoyable aspects of everyday landscapes. Currently, many rural villages are attempting to add visual elements to their everyday landscapes by unifying roof colors or painting murals on walls. However, such artificial measures do not necessarily leave a lasting impression on people. A critical review of current policies and systems is necessary.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because it is the first to study everyday landscapes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to-rural migration using diaries and text mining. With a lack of domestic research on everyday landscapes, this study hopes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related research in Korea.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의 결과물(NRF-2022S1A5B5A16048933)이다.

참고문헌

  1. 곡성군청, 2017, 「2030 곡성 경관 계획」.
  2. 김건태.서주환, 2018, 「역사문화 탐방로 조성사업 경관 특성 분석」, 「휴양및경관연구」 12(3), pp.23~29.
  3. 김상범.손호기.김은자.이동관, 2012, 「경관 관련 제도 변화에 따른 농촌경관계획의 발전방안 연구, 「농촌계획」 18(4), pp.35~44.
  4. 김상범.이상영, 2006, 「농촌경관계획을 위한 공간별 주요 경관요소에 관한 연구-농촌전통테마마을을 중심으로-」, 「농촌계획」 12(3), pp.13~18.
  5. 김수현.이영준.신진영.박기영, 2020, 「거시경제 분석을 위한 텍스트 마이닝」, 「韓國經濟의 分析」 26(1), pp.1~85.
  6. 김용균.김상범.안필균.조한솔, 2022, 「농촌 빈집 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안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24(1), pp.19~25.
  7. 노시훈, 2020, 「문화경관유산의 보존을 통한 도시의 문화적 정체성 구현」, 「도시연구」 18, pp.147~181.
  8. 다마무라 마사토시.고지라 도시아키, 민성원 역, 2020, 「히가시카와 스타일」, 소화.
  9. 박근현.배정한, 2013, 「담론과 자본으로서의 경관 - 도시 경관의 정치.경제적 해석을 위한 이론적 틀 -」, 「한국조경학회지」 41(6), pp.117~128.
  10. 반영운.백종인.김민아.윤진옥, 2008, 「전문가 델파이 설문조사를 통한 농촌 경관 유형 분류 및 평가 지표 개발」, 「농촌계획」 14(3), pp.53~61.
  11. 서준원, 2023, 「이야기맵핑을 통한 서울 북촌의 일상경관 읽기」,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서준원.조경진, 2021, 「문화경관으로서의 DMZ 철원 민북마을 일상경관 읽기 - 주민 심층 인터뷰 및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 「한국경관학회지」 13(2), pp.1~13.
  13. 송원섭, 2015, 「경관지리학에서 경치지리학(景致地理學)으로: 영미권 문화역사지리학 경관연구 패러다임의 전환」, 「대한지리학회지」 50(3), pp.305~323.
  14. 양지윤.김지연, 2017,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웨일즈 밀레니엄 센터 건축의 대중적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12(5), pp.193~201.
  15. 오정심, 2022, 「다시 문화콘텐츠란 무엇인가-빅데이터를 통해 꿰뚫어 보다」, 부끄끄→e퍼플.
  16. 오정심, 2023,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문화경관' 유형과 특성연구: 전라남도 신안군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재」 56(1), pp.162~180.
  17. 오정심, 2024a,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문화경관' 인식과 감성 분석 :전라남도 신안.진도.완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4(3), pp.255~264.
  18. 오정심, 2024b, 「'구례5일장' 사례로 본 전통시장 인식 및 감성의 변화: 블로그 텍스트 마이닝 적용」, 「문화정책논총」 38(1), pp.117~148.
  19. 유현경, 2000, 「국어 형용사의 유형에 대한 연구」, 「국어학」 36, pp.221~258.
  20. 이광윤, 2010, 「유럽경관협약에 비추어 본 경관법의 현황과 쟁점」, 「법학연구」 30, pp.171~188.
  21. 이차희, 2017, 「도시근교 농촌의 일상경관에 대한 거주민의 주관적 인식과 경관정체성 연구 : 경기도 이천시 산수유마을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이차희, 2020, 「도시근교 농촌경관에 대한 거주민별 주관적 인식 비교 - 귀농.귀촌인의 특성을 고려한 경관관리 방안모색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6(3), pp.13~24.
  23. 전영수.김혜숙.조인숙.김미숙.이은정, 2022, 「소멸 위기의 지방도시는 어떻게 명품도시가 되었나?」, 라의눈.
  24. 주신하, 2008, 「농촌경관의 보전.형성.관리를 위한 정책제언 연구」, 「농촌계획」 14(4), pp.77~86.
  25. 주신하.임승빈, 2008, 「농촌경관계획수립 기준 정립 연구」, 「농촌계획」 14(4), pp.69~76.
  26. 황기원, 1989, 「景觀의 多義性에 관한 考察」, 「한국조경학회지」 17(1), pp.55~68.
  27. 황기원, 2011, 「경관의 해석 : 그 아름다움의 앎」,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8. 北海道写真の町東川町, 2006, 「東川町景観計画」.
  29. Council of Europe, 2000, Convention europeenne du paysage.
  30. Donald W. Meinig, 1979, The interpretation of ordinary landscap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1. Evelyne Vouligny et al., 2009, 'An assessment of ordinary landscapes by an expert and by its residents: Landscape values in areas of intensive agricultural use', Land Use Policy, 26, pp.890~900.
  32. 곽정수, "1700만 베이비부머, 도시를 떠나 농촌을 살린다", 한겨레, 2024.07.13.
  33. 김용희, "젊은 사람 씨가 말랐다...전남.북, 시.군 80%가 '소멸위험'", 한겨레, 2023.10.27.
  34. 나요안, "곡성군, 행복한 흥부자 '신흥마을 주민 일기장' 발간", 머니투데이, 2022.12.09.
  35. 오윤주, "죽리마을에 가우디 '구엘공원'이 들어섰다", 한겨레, 2024.05.15.
  36. 정영효, "'육아천국' 소문나자 이주자 줄섰다...日시골마을 부활 비결", 한경, 2022.11.20.
  37. 정혁훈, "죽리마을의 기적", 매일경제, 2023.12.17.
  38. "곡성군청", 2024년 2월 1일 접속(https://www.gokseong.go.kr/).
  39. "그린대로", 2024년 2월 1일 접속(https://www.greendaero.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