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oble Women's Culture and Perception of Incense and Herb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ased on 『Gyuhap Chongseo』, 「BongimCheok」

『규합총서』 「봉임측」에 나타난 조선후기 사대부 여성의 향문화(香文化)와 인식

  • HA Sumin (Dept. of Convergence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Heritage)
  • 하수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학과)
  • Received : 2024.06.25
  • Accepted : 2024.08.07
  • Published : 2024.09.30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how noblewomen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ceived incense and herbs, focusing on the 『Gyuhap Chongseo(閨閤叢書)』 a compendium edited by Yi Bingheogak(李憑虛閣, 1759~1824). The 『Gyuhap Chongseo』 is a classified collection of knowledge deemed essential for managing a noble household. By analyzing the content related to incense and herbs focused on 「Bongim Cheok」. This study reveals Yi Bingheogak's practical and realistic understanding of incense and herbs. For Yi, incense and herbs transcended mere cosmetic applications and luxury and served as indispensable tools in health and hygiene and domestic skills for traditional household management. While it may be challenging to generalize the perception of noblewomen solely based on the 『Gyuhap Chongseo』 the consistent transcription and transmission of the text suggest it resonated with the noblewomen's sentiments. With limited records left by noblewomen themselves, this study primarily explores Yi Bingheogak's perspective, who provided detailed knowledge and applications of incense and herbs across the compendium's sections. This reflects Yi's intention to broaden women's knowledge and cultural literacy, and contribute to improved quality of life through practical knowledge. This study demonstrates Yi's recognition of incense and herbs as vital commodities for the operation of domestic life, and illustrates how noblewomen of the Joseon Dynasty actively contributed to society and the household through knowledge and practical activities. The use of incense and herbs for beauty and domestic knowledge in various fields of traditional knowledge underscor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noblewomen's perception and use of incense and herbs during the Joseon Dynasty.

본 논문은 조선시대 사대부 여성이 향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였는지에 대해 『규합총서(閨閤叢書)』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규합총서』는 이빙허각(李憑虛閣, 1759~1824년)이 편찬한 유서(類書)로, 사대부 가정살림운영에 필요한 지식으로 여긴 내용들을 수록하고 있다. 본고는 「봉임측」을 중심으로 향에 관련된 다양한 내용을 분석하여 이빙허각이 향에 대해 가진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인식을 밝혀냈다. 이빙허각에게 향은 단순한 미용적 요소와 완물의 기능을 넘어서 건강과 위생, 생활지식에 이르는 다양한 전통지식의 가정생활 운영에 필수적인 도구로 여겨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규합총서』는 꾸준히 필사되고 전래된 점으로 미루어 사대부 여성들로부터 많은 공감을 얻은 것으로 생각된다. 오늘날 사대부 여성이 남긴 기록이 많이 전하지 않아 『규합총서』를 저술한 이빙허각의 시각을 중심으로 향문화와 인식을 살펴보았다. 이빙허각은 향이 대중적인 물품이 아니었음에도 향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과 그 활용법을 제공하였다. 이는 당시 여성의 지식과 문화 소양을 넓히고, 실용적인 지식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던 이빙허각의 의지를 반영한다. 본고는 이빙허각이 향을 가정생활 운영에 필요한 중요한 물품으로 인식하였음을 규명하였다. 이는 당시 사대부 여성이 사회와 가정 내에서 지식과 실용적인 활동을 통해 적극적으로 기여하고자 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할 수 있다. 향이 미용과 생활지식 등 다양한 전통지식 분야에서 실질적인 목적을 가진 물품으로 활용되었던 사례를 통하여 조선시대 사대부 여성의 향에 대한 인식과 그 활용법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宣和奉使高麗圖經」
  2. 「香譜」
  3. 「辟疫神方」
  4. 「山林經濟」
  5. 「順菴集」
  6. 「左蘇山人文集」
  7. 「機石全集」
  8. 「內醫院式例」
  9. 「度支準折」
  10. 권태효, 2008, 「<대대로 내려온 불씨>담의 성격과 불 기원신화적 면모」, 「구비문학연구」 26, 한국구비문학회.
  11. 김세서리아, 2018, 「조선 후기 여성 문집의 유가경전 인용 방식에 대한 여성철학적 고찰 : 이사주당의 「태교신기(胎敎新記)」와 이빙허각의 「규합총서(閨閤叢書)」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 30, 한국여성철학회.
  12. 남미혜, 2022, 「「규합총서(閨閤叢書)」를 통해 본 조선후기 사족 여성의 길쌈」, 「동양고전연구」 89, 동양고전학회.
  13. 박경자, 1972, 「閨閤叢書解說-縫紝則.染色.洗衣篇-」, 「硏究論文集」 4, 성신여자대학교.
  14. 박옥주, 2000, 「빙허각(憑虛閣) 이씨(李氏)의 「규합총서(閨閤叢書)」에 대한 문헌학적 연구」,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5. 신민자.최영진, 1999, 「규합총서를 통해서 본 우리나라 전통음식의 향약성 효과에 관한 고찰 : 주.부식류를 중심으로」, 「관광산업정보논집」 1, 경희대학교 관광산업정보연구원.
  16. 신영주, 2005, 「「이운지」를 통해 본 조선 후기 사대부가의 생활 모습」, 「한문학보」 13, 우리한문학회.
  17. 심화진, 1994, 「규합총서에 나타난 봉임측 내용분석」, 「성신여대생활문화연구」 8, 성신여자대학교 생활문화연구소.
  18. 원보영, 2002, 「「규합총서」의 의료민속학적 연구 : 「청낭결」을 중심으로」, 「민속학연구」 11, 국립민속박물관.
  19. 이경희.이은주, 2013, 「「가례도감의궤」를 통해 본 의향(衣香)의 용도와 재료」, 「한복문화」 16(1), 한복문화학회.
  20. 이효지, 1981, 「「閨閤叢書.酒食議」調理科學的 考察」, 「논문집」 1, 한양대학교 사범대학.
  21. 정해은, 2019, 「19세기 「규합총서」의 탄생과 가정 살림의 지식화」, 「지역과 역사」 45, 부경역사연구소.
  22. 현재국, 2023, 「규합총서에 나타난 이빙허각의 음식관 - 음식디미방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溫知論叢」 77, 온지학회.
  23. 김영혜, 2016, 「「閨閤叢書」의 編纂과 筆寫樣相에 관한 考察」,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학위논문.
  24. 조효숙, 1984, 「조선시대의 전통염색법연구-규합총서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석사학위논문.
  25. 김광언, 1988, 「한국의 주거민속지」, 민음사.
  26. 김덕록, 1997, 「화장과 화장품」, 답게.
  27.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2015, 「규합총서의 전통생활기술집」, 휴먼컬처아리랑.
  28. 서유구.임원경제연구소 옮김, 2018, 「이운지」 1, 풍석문화재단.
  29. 이민희, 2010, 「여용국전/어득강전/조충의전」, 지식을 만드는 지식.
  30. 이빙허각.정양완 역주, 2008, 「규합총서」, 보진재.
  31. 전완길, 1999, 「韓國化粧文化史」, 열화당.
  3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