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History and Iconological Composition of Jagyeongjeon Hall's Flowered Wall in Gyeongbokgung Palace

경복궁 자경전(慈慶殿) 꽃담의 내력과 도상(圖像) 구성에 관한 재고

  • OH Junyoung (Dep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오준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국가유산전문대학원 유산기술학과)
  • Received : 2024.03.24
  • Accepted : 2024.05.10
  • Published : 2024.06.28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d the major history and reality of iconological composition for Jagyeongjeon Hall's flowered wall in Gyeongbokgung Palace, which was controversial in terms of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While analyzing the moment and cause of the flowered wall's renovation as it is now, modified or disappeared patterns were identified, and meaningfully misinterpreted congratulatory phrases were reviewed. The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as meaningful basic data when discussions are made for the restoration of the wall in the future. Jagyeongjeon Hall's flowered wall has reached the present day with large and small changes, but the inflection point that had a significant impact was the Joseon Expo (朝鮮博覽會) held at Gyeongbokgung Palace in 1929. This is because the wall that remained in the Jagyeongjeon Hall area was demolished to build an exhibition hall while preparing for the expo, and it was restored after the end of the event.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modification or disappearance of the patterns constituting Jagyeongjeon Hall's flowered wall was also due to the restoration process carried out after the expo. There is a view that was transformed into its current state in the process of repair work carried out after the Korean War, but it is difficult to find any meaningful circumstances and evidence. Currently, character patterns known as 'Seongnidori(聖人道理)' are arranged on the inner wall of the section from Gyeongdomun Gate(擎桃門) to Yeogangmun Gate(如岡門), but considering the design form and example, it can be read as 'Seongjasinson(聖子神孫)'. The inner wall of the section from Yeogangmun Gate to Yeonsumun Gate(燕壽門) was originally made in the form of a flowered wall, and the phrases presumed to be 'Gyegyeseungseung(繼繼繩繩)' and 'Cheonse(千世)' were arranged. In the case of the section from Yeonsumun Gate to Hamgyumun Gate(含奎門), the inner wall where the pattern has disappeared is originally composed of geometric and character patterns, and there were also phrases specified as 'Cheonsu(千壽)' and 'Mansemansu(萬世萬壽)'. On the outer wall of the section from Yeonsumun Gate to Hamgyumun Gat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hrase known as 'Nakgangmanse(樂彊萬歲)' can be read as 'Cheonsemanse(千歲萬歲)'. In addition, the current outer wall was composed of one drawing board, but in the past, two drawing boards were composed separately.

본고는 문화유산의 보존관리적 측면에서 논란이 되었던 경복궁 자경전(慈慶殿) 꽃담을 대상으로 주요 내력과 도상(圖像) 구성의 실제를 조명하였다. 자경전 꽃담이 현재 모습으로 변형된 시기와 계기를 파악하는 한편 변조 또는 소실된 문양을 확인하고, 의미상 곡해된 축원(祝願) 문구를 재검토하였다. 연구 결과는 향후 자경전 꽃담의 복원을 위한 논의가 이루어질 경우 유의미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자경전 꽃담은 크고 작은 부침을 겪으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지만, 지대한 영향을 미친 변곡점은 1929년 경복궁에서 개최된 조선박람회로 판단된다. 자경전 일곽의 담장이 조선박람회 준비 중 전시관 건립을 위해 철거되었고, 행사 종료 이후에 다시 복구되었기 때문이다. 자경전 꽃담을 구성하는 문양의 변조와 소실 역시 대부분 조선박람회 종료 이후의 복구 과정에서 기인했을 가능성이 높다. 한국전쟁 직후 이루어진 보수 과정에서 현재 모습으로 변형되었다는 시각도 있지만, 신빙성을 갖춘 정황과 근거는 찾아보기 어렵다. 현재 경도문-여강문 구간의 내벽에는 「성인도리(聖人道理)」로 알려진 문자문이 배열되어 있지만, 도안 형태와 용례를 고려하면 「성자신손(聖子神孫)」이라는 문구로 판독할 수 있다. 일반적인 벽돌담장으로 남아 있는 여강문-연수문 구간의 내벽은 본래 꽃담 형식으로 제작되었으며, 「계계승승(繼繼繩繩)」과 「천세(千世)」로 비정되는 문구가 배열되어 있었다. 연수문-함규문 구간의 경우 현재 무문(無紋) 상태로 남아 있는 내벽 역시 당초에는 기하문과 문자문으로 구성되었으며, 「천수(千壽)」와 「만세만수(萬世萬壽)」로 특정되는 문구도 실존하였다. 연수문-함규문 구간의 외벽에서는 「낙강만세(樂彊萬歲)」로 알려진 문구를 「천세만세(千歲萬歲)」로 판독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며, 현재 하나의 도곽(圖郭)으로 이루어진 벽면에는 본래 두 개의 도곽이 별도로 구분되어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복궁에서 이전하는 토병 공사(景福宮ヨリ移轉土塀工事)」, 한국학중앙연구원.
  2. 「경복궁평면도(景福宮平面圖)」, 한국학중앙연구원.
  3. 「북궐도형(北闕圖形)」,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 「자경전익랑수선공사지도」, 국가기록원.
  5. 「자경전익랑재래평면도」, 국가기록원.
  6. 「조선박람회장배치도」, 국가기록원.
  7. 「조선박람회조감도」, 대한민국역사박물관.
  8. 「창덕궁평면도(昌德宮平面圖)」, 한국학중앙연구원.
  9. 「선집한인분운(選集漢印分韻)」.
  10. 「운부고전휘선(韻府古篆彙選)」.
  11. 「인전관주(印篆貫珠)」.
  12.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 10, 국립문화유산연구원.
  13. 「조양각자감(朝陽閣字鑑)」.
  14. 「편류육서통(偏類六書通)」.
  15. 이혜원, 2009, 「景福宮 중건 이후 殿閣構成의 변화」,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34~51.
  16. 장상훈, 2019, 「9.28 서울 수복과 국립박물관」 「박물관신문」 572, 국립중앙박물관, pp.26~27.
  17. 국립중앙박물관, 2007, 「국립중앙박물관소장 유리건판(궁궐1)」, p.183.
  18. 문화재청, 2006, 「일본 궁내청 소장 창덕궁 사진첩」.
  19. 문화재청, 2007, 「경복궁 변천사(상)」, pp.69~72.
  20. 문화재청, 2010, 「경복궁 자경전 및 자경전 십장생 굴뚝 실측조사보고서」.
  21. 임응식, 1981, 「한국의고건축 -경복궁-」, 광장.
  22. 조선박람회경성협찬회, 1930, 「(朝鮮博覽會)京城協贊會報報告書」, 大海堂.
  23. 조선총독부, 1930, 「(朝鮮博覽會)京城協贊會報報告書」.
  24. 국가기록원(www.archives.go.kr)
  25. 국가문화유산포털(www.heritage.go.kr)
  26. 국립중앙박물관(www.museum.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