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안승모, 2008, 「한반도(韓半島) 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의 작물조성(作物組成) -종자유체(種子遺體)를 중심(中心)으로-」, 「호남고고학회」, 28.
- 구자옥.김창석.오찬진, 2015, 「식물의 쓰임새 백과 1, 2」, 자원식물연구회.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a, 「동아시아 고고식물 선사시대 일본편」.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b, 「동아시아 고고식물 선사시대 중국편」.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c, 「동아시아 고고식물 선사시대 한국편」.
- 국립민속박물관, 2017, 「한국 의식주 생활 사전-식생활」.
- 국사편찬위원회, 2006, 「자연과 정성의 산물, 우리 음식」.
- 이창복, 1982,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 조민제.최동기.최성호, 2021,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심플라이프.
- 한태호.김병문.박용서.유용권.장흥기.김영철.허북구, 2006, 「원예식물 이름의 어원과 학명 유래집」, 전남대학교출판부.
- Paleo Labo, 2008, 「佳同遺蹟에서 出土된 大型植物化石」, 「부산 정관신도시 개발지구내 유적 기장 가동유적 I」, 울산대학교박물관.
- 경남대학교박물관, 2016, 「밀양 금천리 유적」.
- 경담문화재보조연구소, 2007, 「식물종자류 분석」, 「광주 동림동유적 I」, 호남문화재연구원.
- 고환경연구소, 2009, 「천안 백석동 고재미골 유적(자연과학분석)」, 충청문화재연구원.
-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07, 「함안 성산산성 제12차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자료집」.
- 국립광주박물관, 1997, 「광주 신창동 저습지유적 I」.
-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0, 「나주 복암리유적」.
-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01, 「궁남지 II -현 궁남지 서북부 일대-」.
- 국립역사민속박물관, 2016, 「밀양 금천리 유적」, 경남대학교박물관.
- 김민구, 2019, 「서천 봉선리유적 백제시대 목곽시설 출토 식물유체 분석연구」, 「서천 봉선리유적II」,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 김민구, 2023, 「옥천 이성산성 목곽고 출토 식물유체」, 「옥천 이성산성」, 한국선사문화연구원.
- 나영왕, 2009, 「종자분석 의뢰 결과」, 「창원 신방리 저습유적」,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 대가야박물관, 2007, 「고령 쾌빈리 433-11번지 유적」.
- 동양대학교박물관, 2010, 「안동 저전리 유적」.
- 류춘길.최미경.김성현.김세진, 2018, 「영동 신흥리 유적 통일신라시대 우물 출토 종실유체 분석」, 「영동 신훙리 유적」, 한국선사문화연구원.
- 목포대학교박물관, 1997, 「무안 양장리유적」.
- 목포대학교박물관, 2000, 「영광 학정리.함평 용산리 유적」.
- 안소현.佐々木 由香.Sudarshan Bhandar.鈴木 茂, 2018, 「김해 퇴래리 7-1·1078·1057번지 유적 C구역 고환경조사」, 「김해 퇴래리 7-1, 1078·1057번지 유적」, 우리문화재연구원.
- 안소현.허경화, 2021, 「월성 내부건물지군 식물유체로 본 고대 식물이용」, 「경주 월성 시.발굴조사 보고서」, 경주문화재연구소.
- 안소현.Paleo Labo, 2016, 「식물유체로 본 울산 이화일반산업단지 조성부지 내 유적의 고환경」, 「울산 중산동 이화유적 II」, 울산발전연구원문화재센터.
- 이경아, 2004, 「마전리 유적 식물유체분석」, 「마전리 유적 -C-지구」, 한국고고환경연구소.
- 이경아, 2009, 「김해 관동리 삼국시대 유적 출토 식물유체 보고」, 「김해 관동리 삼국시대 진지」, 삼강문화재연구원.
- 이희경, 2012, 「강릉 강문동 저습지 유적 출토 식물유존체」, 「강문동저습지유적」, 강릉원주대학교박물관.
- 이희경.이준정, 2010, 「부여 쌍북리 602-10번지 유적 출토 식물유존체」, 「부여 쌍북리 602-10번지 유적」, 백제문화재연구원.
- 이희경.이준정, 2011, 「부여 쌍북리 280-5 유적 출토 식물유존체」, 「부여 쌍북리 280-5 유적」, 백제문화재연구원.
- 전남문화재연구원, 2018, 「나주 회진리 동촌유적」.
- 충청문화재연구원, 2019, 「공주 옥룡동 418번지 일원 유적」.
-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4, 「고양가와지 볍씨 (1): 조사와 연구」.
- 한울문화재연구원, 2018, 「의정부 신곡동 유적」.
- 허문회.이융조, 2001, 「청동기시대 유구 출토 곡물분석」, 「충주 조동리 선사유적(I)-1,2차 조사보고」, 충북대학교박물관.
- 호남문화재연구원, 2012, 「광주 선암동유적 I, II, III」.
- 辻誠一郞.野中理加, 2007, 「아산 갈매리(III지역) 유적」, 고려대학교 고고환경연구소.
- 국립생물자원관, 2022, 「생물다양성 디지털 정보 구축 및 관리」 (species.nibr.go.kr).
- Burtenshaw, M. K., 2003, The first horticultural plant propagated from seed in New Zealand: Lagenaria siceraria. New Zealand Garden Journal, 6, 10~16.
- Decker-Walters, D. S., W.-E. Mary, S.-M. Chung & J. E. Staub, 2004, Discovery and Genetic Assessment of Wild Bottle Gourd [Lagenaria Siceraria (Mol.) Standley; Cucurbitaceae] from Zimbabwe. Economic Botany, 58, 501~508. https://doi.org/10.1663/0013-0001(2004)058[0501:DAGAOW]2.0.CO;2
- Erickson, D. L., B. D. Smith, A. C. Clarke, D. H. Sandweiss & N. Tuross, 2005, An Asian origin for a 10,000-year-old domesticated plant in the America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2, 18315~18320. https://doi.org/10.1073/pnas.0509279102
- Fuller, D. Q., L. A. Hosoya, Y. Zheng & L. Qin, 2010, A Contribution to the Prehistory of Domesticated Bottle Gourds in Asia: Rind Measurements from Jomon Japan and Neolithic Zhejiang, China. Economic Botany, 64, 260~265. https://doi.org/10.1007/s12231-010-9122-3
- Hayden, B., 1990, Nimrods, piscators, pluckers, and planters: The emergence of food production. Journal of Anthropological Archaeology, 9, 31~69. https://doi.org/10.1016/0278-4165(90)90005-X
- Heiser, C. B., 1973. Variation in the bottle gourd. In Tropical forest ecosystems in Africa and South America: A comparative review, eds. B. J. Meggers, E. S. Ayensu & W. D. Duckworth, 121-128. Washington: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 Kistler, L., A. Montenegro, B. D. Smith, J. A. Gifford, R. E. Green, L. A. Newsom & B. Shapiro, 2014, Transoceanic drift and the domestication of African bottle gourds in the America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1, 2937~2941. https://doi.org/10.1073/pnas.1318678111
- Kuzmin, Y. V., 2006, Paleoeconomy of the Russian Far East (Stone age complexes). In Archaeology of the Russian Far East: Essay in Stone Age prehistory, ed. S. M. Nelson, 167~173. Oxford, England: Archaeopress.
- Kuzmin, Y. V., 2013, The beginnings of prehistoric agriculture in the Russian Far East: Current evidence and concepts. Documenta Praehistorica, 40, 1~12. https://doi.org/10.4312/dp.40.1
- Matsui, A. & M. Kanehara, 2006, The question of prehistoric plant husbandry during the Jomon period in Japan. World Archaeology, 38, 259~273.
- Riley, C. L. & Society for American Archaeology. 1971. Man across the sea: problems of pre-Columbian contacts. xvii, 552 p.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 Sergusheva, E. A. (2014) Cultivated Plants of the Bohai Population of Primorye According to Archaeobotanical Data1. Archaeology, Ethnology and Anthropology of Eurasia, 42, 111~118. https://doi.org/10.1016/j.aeae.2015.01.010
- Sergusheva, E. A., C. Leipe, N. A. Klyuev, S. V. Batarshev, A. V. Garkovik, N. A. Dorofeeva, S. A. Kolomiets, E. B. Krutykh, S. S. Malkov, O. L. Moreva, I. Y. Sleptsov, D. Hosner, M. Wagner & P. E. Tarasov (2022) Evidence of millet and millet agriculture in the Far East Region of Russia derived from archaeobotanical data and radiocarbon dating. Quaternary International, 623, 50~67. https://doi.org/10.1016/j.quaint.2021.08.002
- Smith, B. D. 2000. Guila Naquitz revisited: Agricultural origins in Oaxaca, Mexico. In Cultural evolution: Contemporary viewpoints, eds. G. M. Feinman & L. Manzanilla, 15~60. New York: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 Whitaker, T. W. 1971. Endemism and pre-Columbian migration of the bottle gourd, Lagenaria siceraria (Mol.) Standl. In Man across the sea: problems of pre-Columbian contacts, eds. C. L. Riley, J. C. Kelley, C. W. Pennington & R. L. Rands, 320~327.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 Yen, D. E. 1977. Hoabinhian horticulture? The evidence and the questions from northwest Thailand. In Sunda and Sahul: prehistoric studies in Southeast Asia, Melanesia and Australia, eds. J. Allen, R. Jones & J. Golson, 567~599. New York: Academic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