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ife Satisfaction between Elderly People Living in Houses and Elderly People Living in Apartments - Focused on Daejeon and Chungcheong Areas -

단독주택 거주노인과 아파트 거주노인의 삶의 만족도 - 대전,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24.10.10
  • Accepted : 2024.11.07
  • Published : 2024.11.25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between the elderly living in apartments and the elderly living in single-family homes. In addition, it analyzed what factors affect the overall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and how these factors differ depending on the housing typ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elderly living in Daejeon and Chungcheong regions, who are 65 years of age or older and were sampled using a probability sampl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2020 Elderly Survey conducted regularly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ore elderly people living in apartments in urban areas and more elderly people living in single-family homes in rural area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 terms of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Seco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life satisfaction between the elderly living in single-family homes and those living in apartments. Third, it was found that economic status and regional environment were factors that greatly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for both the elderly living in single-family homes and the elderly living in apartments.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neighbors and friends had a greater impa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an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children.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3년도 한남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국토교통부, 2020년도 주거실태조사 보고서, 2021. http://stat.molit.go.kr
  2. 권중돈, 조주연,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3), 2000.
  3. 김은경, 지역사회 지속 거주를 위한 고령 친화적 지역사회 환경요인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3(4), 2023.
  4. 김정선, 가정노인과 양로원노인의 자아존중감, 일상생활능력,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8(1), 1998.
  5. 김득희, 황경열, 농촌과 도시노인의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건강상태 간의 관계연구, 특수교육연구, 21, 1998.
  6. 류동, 허예진,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지역사회 물리적 환경 만족의 영향: 주관적 이웃관계와 사회참여의 이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42(1), 2022.
  7. 박기남,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성별 차이, 한국노년학, 24(3), 2004.
  8. 박성복, 노인의 주거관련 요인과 삶의 만족도, 한국행정논집, 23(3), 2011.
  9. 박순미, 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특성비교, 노인복지연구, 47, 2010.
  10. 배진희, 주거 관련 요인이 농촌 지역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2, 2012.
  11. 신경주, 최문선, 장상욱, 평생주택 도입을 위한 중노년층 거주주택의 실태와 만족도, 한국생활환경학회지, 12(2), 2005.
  12. 석소현, 김귀분,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비교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7(3), 2008.
  13. 선태원, 김양이, 노인의 주거환경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주거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기요양연구, 9(1), 2021.
  14. 윤명숙, 이묘숙, 노인의 경제상태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32(2), 2012.
  15. 윤현숙, 윤지영, 김영자, 노년기 거주형태의 변화와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4(1), 2012.
  16. 이연숙, 안창헌, 이지혜, 도시 저소득 노인가구의 주거환경 만족도, Design Convergence Study, 13(6), 2014.
  17. 정재훈, 주거환경이 도시와 농촌 노인의 생활만족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1(6), 2012.
  18. 정재훈, 가구형태에 따른 노인의 주거환경 및 삶의 만족도 비교,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9(12), 2013.
  19. 통계청, 장래인구추계(2020-2070년) 보도자료, 2021. http://kosis.kr
  20. 허준수, 지역사회 거주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4, 2004.
  21. Wilmoth, J., Living Arrangement Transitions Among America's Older Adults, The Gerontologist, 38(4),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