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 진로교육을 위한 기업가정신 교수학습 모형 개발: 설계기반연구를 적용하여

Development Entrepreneurship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Secondary Career Education: Applying Design-Based Research

  • 투고 : 2024.09.04
  • 심사 : 2024.10.22
  • 발행 : 2024.10.31

초록

본 연구는 학생들이 불확실한 미래를 살아가기 위해 요구되는 역량을 제시한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 기반하여 중등 진로교육을 위한 기업가정신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기반연구를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면의 한계로 인해 설계기반연구의 전체 연구 절차를 상세히 다루지는 못하였고, 모형의 전문가 타당화와 일반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사용성 평가를 주로 다뤘으며, 전문가와 진로교사의 의견을 반영하여 최종 기업가정신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교수학습 모형의 타당화를 위해 8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검토를 진행하였고, 모형의 타당성, 설명력, 유용성, 보편성, 이해도의 모든 영역에서 타당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진로교사 10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용성 평가에서도 사용성, 세부 절차, 사용 의향에 해당하는 모든 영역에서 CVR값이 1.00으로 나타나 해당 교수학습 모형이 기업가정신 수업 진행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최종 교수학습 모형은 전문가 타당화와 사용성 평가에서 나타난 개선점을 반영하여 개발하였으며, 모형의 명칭은 발견하기(Discover), 상상하기(Imagine), 행동하기(Act)의 단계로 구성된 기업가적 방법의 앞 글자를 활용하여 'DIA'로 표현하였다. 또한 DIA라는 명칭은 학생들이 삶 속에서 자신만의 다이아몬드를 발굴하는 방법을 배우는 교육이라는 의미를 동시에 담고 있다. 본 연구는 진로교육 차원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업가정신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는 점과 교육 분야의 모형 개발 연구 방법을 기업가정신 교육 연구에 접목하여 교수학적 차원에서 체계적인 모형 개발과 검증을 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Based on the OECD learning compass 2030, which presented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students to live in an uncertain future, this study developed an entrepreneurship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secondary career education by applying design-based research.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paper, this study did not cover the entire research procedure of design-based research in detail, mainly dealt with the model's expert validation and career teacher usability evaluation, and developed the final entrepreneurship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y reflecting the opinions of experts and career teachers. To validate the redesign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a review was conducted with eight expert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el was valid in all areas of validity, explanatory power, usefulness, universality, and understanding. In addition, in the usability evaluation conducted on 10 career teachers, the CVR value was 1.00 in all areas corresponding to usability, detailed procedure, and intention to use, confirming that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as helpful in the progress of entrepreneurship classes. The final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as developed by reflecting the improvements that appeared in the expert validation and usability evaluation, and the name of the model was expressed as 'DIA' using the preceding letters of the entrepreneurial method consisting of steps such as Discover, Imagine, and Act. In addition, the name DIA simultaneously contains the meaning of education for students to learn how to discover their own diamonds in lif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a specific entrepreneurship teaching and learning model applicable to career education and systematic model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at the pedagogical level by incorporating model development research methods in the field of education into entrepreneurship education research.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균.김병근(2014). 청소년의 기업가정신 형성 과정 탐색. 창의력교육연구, 14(3), 37-58.
  2. 강경균.이춘우.김주영(2015). 청소년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 활성화 방안 연구 II: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모형 개발 및 창업 활성화 방안(15-R14-1).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 강경균(2017). 청소년의 기업가정신 교육 모형 개발. 창의력교육연구, 17(2), 17-36.
  4. 강정찬.이상수(2011). 수업개선을 위한 현장연구방법으로서 설계기반연구. 교육방법연구, 23(2), 323-354.
  5. 강지혜.박태정(2022). 설계.개발연구와 설계기반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주제범위 문헌고찰. 교육공학연구, 38(3), 661-698.
  6. 교육부(2019). 보도자료 「한-OECD 국제교육컨퍼런스」 개막. Retrieved(2020.04.07)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boardSeq=78782&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20402&opType=N.
  7. 교육부(2022). 2022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8. 교육부.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2021). 학교급별 창업가정신 함양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Retrieved(2023.10.30) from https://www.yeep.go.kr/noti/eduExlntCaseDetail.do?bltnNo=33051.
  9. 김도현.정선영.이우진(2018). 청소년을 위한 기업가 정신교육이 기업가정신과 창의성 역량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7), 371-391.
  10. 김세광(2018). 청소년 기업가정신 및 창업역량 함양 프로그램 개발: 벤처스타: Venture 'STAR'. 한국청소년활동연구, 4(1), 97-126.
  11. 김연경(2016). 대학수업을 위한 활동이론 기반 플립드 러닝수업모형 개발.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12. 김영수.성상기(2015). 기업가정신교육의 교과내용과 방법에 관하여: HAKS모형에 기반한 모듈식 교육방안. 상업교육연구, 29(5), 1-30.
  13. 김준태(2014). 기업가정신의 본질이해 및 교육방안 탐색. 사회과교육, 53(4), 47-67.
  14. 김지윤(2021). 디자인사고를 활용한 노블 엔지니어링 기반 메이커 교육 수업모형 개발.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5. 김진옥(2018). 메이커 기반 STEAM 교육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6. 김현주(2014). 스마트 러닝 기반의 협력적 문제해결 수업모형 개발을 위한 설계기반연구. 박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대학원.
  17. 문진.소경희(2016). 중학교 진로교육 운영 실태 분석. 진로교육연구, 29(4), 135-155.
  18. 박수홍(2009). Entrepreneurial Competence 강화를 위한 Blended Learning Service 모형개발. e-비즈니스연구, 10(4), 277-297.
  19. 백민정.강경균.이범진(2017). 초.중등 기업가정신 교육 현황과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산학협력학회지. 18(12), 564-574.
  20. 양현봉(2019).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추진실태와 발전과제: 선진국 사례 벤치마킹을 중심으로. 중소기업금융연구, 39(3), 57-77.
  21. 윤성혜.장지은.김세영(2017). 청소년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교육공학연구, 33(4), 839-867.
  22. 윤성혜.이우진(2022).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 교육자는 어떠한 역량을 갖추어야 하는가?: TPACK 모델을 적용한 역량 개념화 및 교육요구도 분석. 벤처창업연구, 17(1), 79-87.
  23. 윤성혜.김세영(2023). 기업가정신 교육에서의 TPACK 강화를 위한 중등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벤처창업연구, 18(4), 51-63.
  24. 윤종혁.김은영.최수진.김경자.황규호(2016). OECD '교육 2030: 미래 교육과 역량'을 위한 현황분석과 향후과제 (2016-10).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5. 이상은.김은영.김소아.유예림.최수진.소경희(2018). OECD 교육 2030 참여 연구: 역량의 교육정책적 적용 과제 탐색(RR 2018-08). 진천: 한국교육개발원.
  26. 이상은(2019). OECD Education 2030에 나타난 역량교육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29(4), 123-153.
  27. 이수영(2021). 초등 예비교사의 창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경험 및 태도와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분석. 벤처창업연구, 16(1), 99-111.
  28. 이윤준(2017). 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기업가정신: 한미일중 4개국 비교. STEPI Insight, 206,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9. 이은주.오성은(2020). 핵심역량에 기초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0), 145-173.
  30. 이지연(2024a). 중등 진로교육을 위한 기업가정신 교수학습 모형 개발: OECD 학습 나침반 2030을 기반으로. 박사학위 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31. 이지연(2024b). 중학생을 위한 OECD 학습 나침반 2030 기반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진로개발역량과 창의성역량을 중심으로.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8(5), 289-306.
  32. 이지연.전병훈(2020).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 기초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방향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5), 415-433.
  33. 이지연.전병훈(2023).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 기반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4), 765-782.
  34. 이철기.안태욱.이상곤.이상숙(2020). 역량기반 기업가정신 교육모델 개발: K대학의 사례. 실천공학교육논문지, 12(1), 61-72.
  35. 임언(2008). 역량중심 교과통합 진로교육 위한 탐색(2008-7).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6. 임철일(2012). 교수설계 이론과 모형. 경기: 교육과학사.
  37. 임효신.정철영(2015). 중학생 진로개발역량 검사도구 개발. 진로교육연구, 28(4), 107-137.
  38. 장근영.성은모.모상현.진성희.최효선.김균희(2018).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V: IEA ICCS 2016 - 총괄보고서(18-R15).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9. 장지은.김세영.윤성혜(2019). 청소년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3(1), 55-64.
  40. 정대율(2021). 청소년들을 위한 기업가정신 함양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안. 한국창업학회지, 16(5), 1-27.
  41. 정미나.임영식(2013). 청소년 진로개발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진로교육연구, 26(4), 65-84.
  42. 정미나(2014). 청소년의 진로개발과 웰빙에 관한 구조적 관계 검증.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43. 정선영.김도현.김래영(2019). 기업가정신 교육이 청소년의 자아개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0), 1067-1089.
  44. 정철영(2011).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실과교육연구, 17(4), 1-30.
  45. 정철영.정진철.이종범.정동열.임효신.이서정.임정훈(2015). 우리나라 진로교육 현황 및 발전 방향 연구. 진로교육연구, 28(3), 155-171.
  46. 정현진.김창완(2018). 4차산업혁명 시대 디자인씽킹 기반의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레임워크 연구. 한국창업학회지, 13(1), 175-200.
  47. 조윤주(2021). 소프트웨어 진로교육 교수.학습모형 개발 및 적용. 박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48. 지현경(2021).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교과-소프트웨어융합 수업설계 모형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49. 진미석.손유미.송창용(2012). 중학생을 위한 '창의적 진로개발 프로그램' 효과 분석: 진로성숙도를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25(1), 169-185.
  50. 진미석(2013). 초.중등 진로교육 활성화. The HRD Review, 16(1), 50-63.
  51. 진미석.윤수린.김효정(2019). 아시아.유럽 6개국 교육이해관계집단의 핵심역량으로서의 기업가정신에 대한 인식. 핵심역량교육연구, 4(1), 1-27.
  52. 진성희.성은모.최창욱(2015). 청소년 진로개발역량지수 타당화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6(3), 195-220.
  53. 진성희.성은모(2017). 청소년 진로개발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진로교육연구, 30(1), 67-90.
  54. 한상근.정윤경.정지은.안중석(2021). 학교 진로교육 목표 및 성취기준 연구(2021-17). 세종: 한국직업능력연구원.
  55. 현순안.김세광(2018). 소셜러닝과 액션러닝을 활용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의 교육적 함의. 청소년시설환경, 16(2), 145-157.
  56. Alain, F.(2013). Personal views on the futur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trepreneurship & Regional Development, 25(7-8), 692-701.
  57. Bannan, R. B.(2003). The role of design in research: The integrative learning design framework. Educational Researcher, 32(1), 21-24.
  58. Barnett, R.(2012). Learning for an unknown future. Higher Education Research & Development, 31(1), 65-77.
  59. Baron, R. A., & Shane, S. A.(2005). Entrepreneurship: A Process Perspective. Thomson, Ohio: South-Western.
  60. Bielaczyc, K.(2013). Informing design research: Learning from teachers' designs of social infrastructur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22(2), 258-311.
  61. Brown, A.(1992). Design experiment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challenges in creating complex interventions in classroom setting.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2(2), 141-178.
  62. Brush, C. G., Duhaime, I. M., Gartner, W. B., Stewart, A., Katz, J. A., Hitt, M. A., Alvarez, S. A., Meyer, G. D., & Venkataraman, S.(2003). Docto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Entrepreneurship. Journal of Management, 29(3), 309-331.
  63. Davis, L. L.(1992). Instrument review: Getting the most from a panel of experts. Applied nursing research, 5(4), 194-197.
  64. DBRC(2003). Design-based research: An emerging paradigm for educational inquiry. Educational Researcher, 32(1), 5-8.
  65. Dimov, D.(2016). Toward a Design Science of Entrepreneurship. in J. Katz and A. C. Corbett (Eds.). Models of Start-up Thinking and Action: Theoretical. Empirical and Pedagogical Approaches, Bingley, UK:Emerald Group Publishing, 1-31.
  66. Dyer, J. H., Gregersen, H. B., & Christensen, C.(2008). Entrepreneur Behaviors, Opportunity Recognition, and The Origins of Innovative Ventures. Strategic Entrepreneurship Journal, 2(4), 317-338.
  67. Gibb, A. A.(2008). Entrepreneurship and enterprise education in schools and colleges. International Journal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6(2), 101-144.
  68. Joseph, D.(2004). The practice of design-based Rearch: Uncovering the interplay between design, research, and the real-world Context. Educational Psychologist, 39(4), 235-242.
  69. Lawshe, C. H.(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70. McKenny, S., & Reeves, T.(2012). Conducting educational design research. London: Routledge.
  71. Neck, H. M., & Greene, P. G.(2011). Entrepreneurship education: Known worlds and new frontiers.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49(1), 55-70.
  72. OECD(2018).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Position Paper. Retrieved April 7, 2020, from http://www.oecd.org/education/2030-project/contact/.
  73. OECD(2019).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OECD Learning Compass 2030 - A Series of Concept Notes. Retrieved April 12, 2020, from http://www.oecd.org/education/2030-project/contact/
  74. Richey, R. C., & Klein, J. D.(2008).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정현미.김광수 역(2012). 교육공학연구를 위한 설계.개발연구. 서울: 학지사.
  75. Rideout, E. C. & Gray, D. O.(2013). Does Entrepreneurship Education Really Work.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51(3), 329-351.
  76. Rubio, D. M., Berg-Weger, M., Tebb, S. S., Lee, E. S., & Rauch, S.(2003). Objectifying content validity: Conducting a content validity study in social work research. Social work research, 27(2), 94-104.
  77. Sanchez, J. C.(2013). The Impact of an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on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and Intention.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51(3), 447-465.
  78. Shavelson, R. J., Phillips, D. C., Towne, L., & Feuer, M. J.(2003). On the science of education design studies. Educational Researcher, 32(1), 25-28.
  79. Voigt, C., & Swatman, P.(2006). Learning through interaction: Improving practice with design-based research. Interactive Technology and Smart Education, 3(3), 207-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