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수학적 창의성 관점에서 초등학생의 문제해법공간 분석: 비례배분 문제해결과정을 중심으로

Analysis of problem-solving spaces of elementary students from the perspective of mathematical creativity: Focusing on proportional distribution problem-solving processes

  • 투고 : 2024.09.24
  • 심사 : 2024.10.14
  • 발행 : 2024.10.31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수학적 창의성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비례배분 문제를 다중해법과제로 제시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수학적 창의성 평가 관점에서 개별 문제해법공간을 분석하고, 집단적 해법공간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집단적 해법공간의 수학적 창의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에 따라 유창성과 독창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수학적 창의성 수준이 높은 집단의 해법공간은 공식 활용 비율이 낮고, 다양한 유형의 해법과 표현을 제시한 반면, 수학적 창의성 수준이 낮은 집단의 경우 식 표현이 전체 응답 중 91.9%를 차지했다. 또한 식 표현에 의존하는 문제 해결은 수학적 창의성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지 않으므로, 수학적 창의성 함양을 위해서는 학생들이 다양한 수학적 표현을 시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fostering mathematical creativity in elementary students. To achieve this, proportional distribution problems were presented as multiple-solution tasks, and students' problem-solving processes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e study involved 100 sixth-grade elementary students who were given proportional distribution problems as multiple-solution tasks to analyze their problem-solving methods. The students were grouped based on teacher variables, and the groups were assessed in terms of fluency, originality, and flexibility in mathematical creativit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ive solution spaces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the frequency of various problem-solving strategies and representation types. The study found that teachers significantly influence mathematical creativity within collective solution spaces. Depending on the teacher, differences in fluency and originality were observed. Collective solution spaces with less reliance on formulaic approaches and higher use of diverse representations scored higher in creativity. Conversely, heavy reliance on symbolic representations was associated with lower creativity.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encouraging various problem-solving strategies and representations within collective solution spaces to foster creativity. The study confirms that teachers play a crucial role in fostering mathematical creativity. Differences in creativity between groups based on teacher variables indicate that teachers impact students' problem-solving approaches. Additionally, relying solely on symbolic representations does not naturally lead to mathematical creativity, underscoring the need to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explore diverse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Creat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encourages students to experiment with various strategies and representations is essential for nurturing their creativ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2010). 수학 6-1 교사용 지도서.
  2. 교육부(2018). 수학 6-2.
  3. 교육부(2022a). 수학 6-2 교사용 지도서.
  4. 교육부(2022b). 수학 6-1 교사용 지도서.
  5. 교육부(2022c). 수학 5-1.
  6. 교육부(2022d). 수학 6-2.
  7. 고준석(2018) 초등학교 수학교육에서의 식 지도. 경인교육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고준석(2022). 비례 추론 관점에서 비례배분 형식화 과정 분석. 학교수학, 24(2), 269-298.
  9. 고준석(2023). 초등학생의 나눗셈과 비례배분 포함관계 정당화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8), 583-604.
  10. 김영천(2016). 질적연구방법론 I: Bricoleur (pp. 591-598). 아카데미프레스.
  11. 김채린(2022). 소수의 나눗셈에서 도식을 활용한 식만들기 과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6(2), 133-153.
  12. 박성선(2004). 수학교육 연구 공동체를 통한 수학 교사의 전문성 신장. 초등수학교육, 8(1), 13-22.
  13. 방정숙(2001). 교실문화 비교를 통한 수학교육개혁에 관한 소고. 수학교육학연구, 1 (1), 11-35.
  14. 오택근, 김지애, 이경화(2014).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의사결정 행동 분석. 학교수학, 16(3), 585-611.
  15. 이경화(2015). 수학적 창의성. 경문사.
  16. 이광우, 민용성, 전제철, 김미영, 김혜진(2008).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연구(II) - 핵심 역량 영역별 하위 요소 설정을 중심으로(RRC 2008-7-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7. 이대현(2012). 수학적 창의성의 요소와 창의성 개발을 위한 수업 모델 탐색.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1), 39-61.
  18. 이대현(2014). 다양한 해결법이 있는 문제를 활용한 수학적 창의성 측정 방안 탐색. 학교수학, 16(1), 1-17.
  19. 임재훈, 이형숙(2015). 비례 추론을 돕는 시각적 모델에 대하여: 초등 수학 교과서의 비례식과 비례배분 실생활 문제를 대상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5(2), 189-206.
  20. 장혜원, 박혜민, 김주숙, 임미인, 유미경, 이화영(2017). 비례식과 비례배분에 대한 초등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학교수학, 19(2), 229-248.
  21. 정영옥(2015). 초등학교에서 비례 추론 지도에 관한 논의. 수학교육학연구, 25(1), 21-58.
  22. Beckmann, S., & Izsak, A. (2015). Two perspectives on proportional relationships: Extending complementary origins of multiplication in terms of quantitie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6(1), 17-38.
  23. Ervynck, G. (1991). Mathematical creativity. In D. Tall (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pp. 42-53). Springer.
  24. Haylock, D. W. (1987). A framework for assessing mathematical creativity in schoolchildre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8, 59-74.
  25. Langrall, C. W., & Swafford, J. (2000). Three balloons for two dollars: Developing proportional reasoning.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6(4), 254-261.
  26. Leikin, R. (2007). Habits of mind associated with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and solution spaces of mathematical tasks. In D. Pitta-Pantazi, & G. Philippou (Eds.), Proceedings of the fifth conference of the European Society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CERME-5 (pp. 2330-2339).
  27. Leikin, R. (2009). Exploring mathematical creativity using multiple solution tasks. In R. Leikin, A. Berman, & B. Koichu (Eds.), Creativity in mathematics and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pp. 129-145). Sense Publishers.
  28. Mann, E. L. (2006). Creativity: The essence of mathematics. J 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30(2), 236-262.
  29. Sriraman, B. (2005). Are giftedness and creativity synonyms in mathematics? An analysis of constructs within the professional and school realms. The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17, 20-36.
  30. Torrance, E. P. (1974).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Scholastic Testing Service.
  31. Yackel, E., & Cobb, P. (1996). Sociomathematical norms, argumentation, and autonomy in mathematic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7(4), 458-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