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a Math-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Curriculum o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수학에 기반한 인공지능 수업을 통한 중학생 인식변화

  • Semin Oh (KNU G-LAMP Research Center,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Da Woon Jung (Finance.Fishery.Manufacture Industrial Mathematics Center on Big Data, Pusan National University) ;
  • Sangkon Han (School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 Dong Hwa Kim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 Jeongmin Ha (The Institute of Basic Science, Korea University)
  • Received : 2024.08.19
  • Accepted : 2024.08.29
  • Published : 2024.08.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a math-based AI curriculum on middle school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perception of the practical value of AI, and appreciation of the value of mathematics as a subject. We developed an AI education program based on mathematics for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first semester of the 1st year of middle school. The program was taught to 146 1st-year students in eight middle schools in Metropolitan City B from March to June 2023 under a free semester system. A pre- and post-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participating students. The developed AI education program improved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perceptions of the practical value of AI, and perceptions of mathematics education. Korean students need more instrumental motivation to learn mathematics than their high mathematical literacy. Recognizing the practicality of mathematics can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instrumental motivations for learning mathematics. This research suggests introducing an AI education program based on mathematics is necessary. Such an educational program allows students to experience practical aspects of mathematics, enhancing their understanding of AI and recognizing the value of mathematics subject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improve students' instrumental motivation for learning mathematics.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성과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22R1A5A1033624).

References

  1. 김민정, 이원규, 김자미. (2017) 컴퓨팅사고력 측정에 사용되고 있는 도구분석을 통한 새로운 검사도구 개발방향 제시.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6), 17-25.
  2. 김초희, 장혜원. (2024). 인공지능 사고 함양을 위한 인공지능 빅 아이디어 기반 초등학교 수학 융합 수업 사례연구. 수학교육, 63(2), 255-272.
  3. 고호경. (2020). 인공지능(AI) 역량 함양을 위한 고등학교 수학 내용 구성에 관한 소고.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3(2), 223-237.
  4. 교육부. (2015).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 지침. 교육부.
  5. 교육부. (2020). 인공지능시대 교육정책방향과 핵심과제. 정책브리핑. 출처: https://www.korea.kr/archive/expDocView.do.
  6. 교육부. (2020a). 과학.수학.정보.융합 교육 종합계획(2020-2024) . 교육부.
  7. 권성룡. (2017). 수학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조사. 초등수학교육, 20(4), 253-266.
  8. 권점례. (2022).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25(2). 195-224.
  9. 딜로이트 AI 연구소. (2023). 인공지능 활용서: 6대 산업별 활용 사례. 출처: https://www2.deloitte.com/kr/ko/pages/technology-media-and-telecommunications/articles/2023/20230810.html.
  10. 문경희, 양자영, 박성호. (2021). 대학 교양으로서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대학 신입생들의 인식 및 방향성에 대한 고찰. 교양교육연구, 15(5), 11-23.
  11. 박광영, 권성호, 조희련. (2021). 일본과 중국의 대학 AI 교양 교육 현황분석 및 제언-AI 리터러시 교양 교육 중심으로. 인공지능인문학연구, 7, 87-108.
  12. 박소영, 안정은, 원태경, 박준형, 이상훈. (2022). 수학과 인공지능, 부산광역시교육청.
  13. 박정호 (2021). 국내 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 분석. 에듀테인먼트연구, 3(2), 51-62.
  14. 서명희, 조민식. (2023). 인공지능 (AI) 역량 함양을 위한 고등학교 수학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2), 771-790.
  15. 신기철, 서보억. (2019). 수학. 정보 융합교육을 위한 코딩과 연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과학교육연구지, 43(1), 17-42.
  16. 유수진, 백재순, 장윤재. (2022). 인공지능 교양 교육을 받은 대학생의 인공지능 역량과 컴퓨팅 사고력의 관계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5(5), 15-26.
  17. 이상구, 이재화, 함윤미. (2020).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과 대학수학교육. 수학교육 논문집, 34(1), 1-15.
  18. 이재화, 이상구, 함윤미. (2022). 직업계 고등학교 졸업생 대상 'Math & 코딩'을 활용한 대학 미분적분학 교육 사례 연구. 수학교육 논문집, 36(4), 611-626.
  19. 이형주, 김형식, 고호경. (2021). 초중등 학부모 대상 수학교과 인식 및 요구조사. 한국수학교육학회, 35(3). 213-231.
  20. 정슬기, 박만구. (2023). 초등수학과 교육과정과 연계한 인공지능 수학 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7(1), 87-108.
  21. 조혜숙, 이병욱. (2021). 중등단계 직업교육 전문교과 교사에게 요구되는 컴퓨팅 사고력 구성 요소 구명 및 교육 요구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6(3), 88-111.
  22. 최정원, 이영준. (2015). 초등 정보 영재의 알고리즘 학습을 위한 퍼즐의 교육적 활용.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0(5), 151-159.
  23. 한국과학창의재단. (2022). 초.중등 인공지능(AI)교육 학교 적용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SW.AI) . 출처: https://www.kofac.re.kr/com/file/filedown?_ci=17227&_ck=57cdd7baf3de494cbc35c7aa705e7dba.
  24. 허선, 오홍식. (2020). 수학 영재를 위한 STEAM 기반 코딩 수업이 수학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영재교육, 12(1), 19-32.
  25. Jing, M. (2018). China wants to br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its classrooms to boost its education system. Science & Research.
  26. OECD (2004). Learning for Tomorrow's World: First Results from PISA 2003, PISA, OECD Publishing, Paris, https://doi.org/10.1787/9789264006416-en.
  27. OECD (2019). PISA 2018 Results (Volume I): What Students Know and Can Do, PISA, OECD Publishing, Paris, https://doi.org/10.1787/5f07c754-en.
  28. Sorensen, M. H., & Urzyczyn, P. (2006). Lectures on the Curry-Howard isomorphism. Elsevier.
  29. Touretzky, D., Gardner-McCune, C., Breazeal, C., Martin, F., & Seehorn, D. (2019). A year in K-12 AI education. AI magazine, 40(4), 88-90.
  30. Wing, J. M.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49(3), 3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