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on Social Workers' Turnover Intention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의 구조적 관계

  • Received : 2024.09.30
  • Accepted : 2024.10.22
  • Published : 2024.10.31

Abstract

This study is a research study aimed at finding out the structure of the intention to change jobs of social workers working in social welfare-related facilities and devising a plan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social workers and reduce the intention to change jobs based on this. To fulf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57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social workers working in social welfare-related facilities in 11 cities (counties)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The analysis method used SPSS 25.0 and AMOS 25.0 progra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urnover intention, job satisfaction, and resilience by utiliz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urnover intention. In particular, resili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and both intrinsic job satisfaction and extrinsic job satisfaction contributed to lowering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the higher the resilience, the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tended to be. In follow-up research,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hat can improve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and study ways to reduce their intention to change jobs.

본 연구는 사회복지 관련 시설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구조를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향상 및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으로 시도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북부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11개 시(군)의 사회복지 관련 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572부를 회수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5.0 및 AMO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 상관 분석, 구조 방정식 모델 등을 활용해 이직 의도, 직무만족,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를 규명했다. 분석 결과,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은 이직 의도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특히, 회복탄력성은 직무만족과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내재적 직무만족과 외재적 직무만족 모두 이직 의도를 낮추는 데 기여했다. 또한,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이직 의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들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이직 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임원선(2012), "사회복지 환경과 패러다임의 변화", 사회복지행정연구, 32(4), 65-89.
  2. 한국사회복지사협회(2006), "한국사회복지 근로환경백서", 한국복지사협회. pp. 22-67.
  3. 김성한(1997), "사회복지사 이직 문제의 원인과 해결 방안", 한국사회복지학, 41(3), 120-137.
  4. 공계순(2005), "사회복지사 이직과 직무만족의 관계 연구", 사회복지행정연구, 21(2), 44-62.
  5. 장윤정(2011), "공공과 민간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 결정 요인 비교", 사회복지정책, 45(2), 112-130.
  6. 강영걸(2012), "공공사회복지사와 민간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과이직의도비교", 사회복지학연구, 51(1), 88-105.
  7. 원도연(2013), "민간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 한국사회복지학, 48(4), 65-78.
  8. 김한덕(2019),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연구, 29(1), 143-158.
  9. Hui, C., Wong, A., & Tjosvold, D. (2007). "Turnover intention and performance in China."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80, 735-751.
  10. Zimmerman, R. D. (2008). "Understanding the impact of personality traits on individuals' turnover decisions." Personnel Psychology, 61(2), 309-348.
  11. 남성애(2023), "이직의도와 조직 내 문제 해결 방안 연구", 조직관리연구, 35(3), 141-160.
  12. 이경미(2015),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의 관계에서의 스트레스 요인", 사회복지상담연구, 29(2), 72-93.
  13. 김상욱 유홍준(2002),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의 형태적 결정요인: 전국 페널자료를 사용한 GLM 및 GEE 추정", 한국사회학회, 36(1), pp. 51-81.
  14. Locke, E. A. (1976).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Handbook of Intern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Rand McNally, pp. 1293-1349.
  15. 손재근(2008), "호텔종사원의 역할과 직무만족, 서비스픔질 개선의 관계". 관광연구, 23(2), pp. 207-222.
  16. 박주현(2021), "청소년복지 전문인력의 직무만족에 관한 인권의식과 직업윤리 의식의 구조관계분석",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문희우(2015),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과 자아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위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김규화(2019), "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협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김주환(2011), "회복탄력성.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비밀", 위즈덤하우스, 파주, 대한민국.
  20.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2009), "회복탄력성의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0, pp. 105-131.
  21. 원도연(2013),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강진숙 이경남(2015),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영아 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9(1), pp. 321-342.
  23. 정효미 박선아(2017),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직무 환경 위험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시아문화학술원, 8(3), pp. 53-71.
  24. 홍영희(2013), "사회복지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서울 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학위 논문.
  25. 김순옥(2021),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사회적 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과 조직 몰입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이옥자(2022),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예명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Becker, T. E. (1992). Foci and Bases of Commiment: Are They Distinctions Worth Mak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5(1): pp. 232-244.
  28. 조영숙(1999), "비서직 경력관련변수가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비서학논총, 8(1), pp. 101-124.
  29. 최성남(2022), "기업 중간관리자의 코칭역량과 일터 환경 특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조직몰입의 매개효과",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Weiss, D. J., Dawis, R. V., England, G.W., & Lofquist, L. H. (1987). Manual for the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Industrial Relations Center.
  31. 최구룡(1996),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문영주(2010).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동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다중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김준수 김신열(2019). "비정규직 사회복지사의 개인-조직적합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가 갖는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지역과 세계, 43(2), pp. 31-61.
  34.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E., & Tatham, R. L.(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 (Vol. 6).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35. Reivich, K, & Shatte, A.(2002). "The resilience factor", Broadway Books, New York, US.
  36. 김주환(2011), "회복탄력성.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비밀", 위즈덤하우스, 파주, 대한민국.
  37. 김초원(2015), "영유아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하윤숙(2021), "유아교육기관 조직문화가 영유아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최난희(2021),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결핍인식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