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ism on job performance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유효성의 매개효과

  • Received : 2024.10.04
  • Accepted : 2024.10.23
  • Published : 2024.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expertise on job performance throug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job performance improvement.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SPP PC+ Win. Ver. 21.0 and AMOS ver. 21. First, the higher the professionalism of the childcare teacher, the higher the job performance.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professionalism of the childcare teacher, the higher the job performance. Second, it was found that a high level of expertise of childcare teacher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ut professional skill did not affec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ad a direct effect on job perform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childcare teacher on job performance.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teacher and job performanc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This study suggested a plan for improving the job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er.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전문성에서 조직유효성을 매개로 하여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직무성과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 처리는 SSPP PC+ Win. Ver. 21.0과 AMOS ver. 2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높을수록 직무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높을수록 직무성과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보육교사의 전문성 수준이 높으면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문적 기술은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조직유효성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조직유효성은 직무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직유효성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성과 증진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보육진흥원. "제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통합지표), pp. 17-24, 2017.
  2. Howes, C., & Hamilton, C. E. "The changing experience of childcare: Changes in teachers and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ith pe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1), pp. 5-32, 1993.
  3. Hoyle, E. "Teachers as professionals." In L. W. Anderson(E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2nd ed.). New York: Pergamon, pp. 8-14, 1995.
  4. Spodek, B.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eacher education: A search for consistency." Young Children, 30(3), pp. 68-74, 1975.
  5. 김명순.신윤승.이세원.서재화. "유아교사 전문성 개발 시스템 연구: 미국, 영국, 호주를 중심으로." 「한국육아지원학회」 12(4), pp. 151-181, 2016.
  6. 이정미.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pp. 18-33, 2009.
  7. 임재택. "전문 보육교사의 역할과 자세, 소유 교사를 위한 보수적 교육과정." 「부산유아교육학회」 12(3), pp. 31-56, 1994.
  8. 박은혜. "유아교육기관 수업 사례집." 「이화교육총독」 (8), pp. 1-83, 2003.
  9. 임재택 "유치원과 보육청의 바람직한 지위 확립방안 모색." 「유아교육 논쟁」 2(1), pp. 5-28, 1992.
  10. 이은화, 배소연, 조부경. 「유아교사론」, 경기: 양서원, pp. 8-16, 2006.
  11. 주영란,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보육 효능과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pp. 13-24, 2018.
  12. 고경미.이선경.심성경, "유아교사의 교직흐름과 그 행복감 및 전문성 발달 정도의 관계." 「한국교사연구」 31(1), pp. 69-94, 2014.
  13. 이순영. "보육원 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대학 커리큘럼 모델 개발." 박사학위 논문. 덕성여자대학교, pp. 45-50, 2005.
  14. Childcare Policy Institute, http://www.kicce.re.kr/
  15. Morris, J. J., & Sherman, J. D. Generalizability of an Organizational Commitment Model.",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4(3), pp. 512-526, 1981.
  16. 박은혜. 「유아교육론」,서울: 창지 출판사, pp. 31-33, 2009.
  17. 정신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효과성, 직무성과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광주교육대학교, pp. 18-22, 2015.
  18. 이주영. "보육교사 감정노동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 논문, 가톨릭관동대학교, pp. 28-33, 2016.
  19. 유효근. "정서 지능, 직무 스트레스, 직무 만족 및 직무 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수원대학교, pp. 48-52, 2008.
  20. 이경자.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감수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선암대학교, pp. 11-22, 2017.
  21. 박은주.오석자. "아동 상담 실태 및 활성화 방안, 보육교사의 인식에 부합." 「한국아동교육.돌봄학회」 12(4), pp. 87-114, 2012.
  22. 정현숙. "보육교사의 직무 수행과 직무 만족은 교사-영아 상호작용 효과와 관련이 있다." 석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pp. 18-25, 2018.
  23. 정다운.김정희. "보육원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직무 성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교육학 저널」 41(2), pp. 115-133, 2010.
  24. 이종수. "업무 성과 평가의 편차 수정 사례 연구." 「지방정부연구」 10(1), pp. 71-90, 2006.
  25. Etzioni, A. "Comparative analysis of complex organizations, revd burnout." A principal's. pp. 145-151, 1975.
  26. 김연석.이희선.신황용. "시민단체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 효과성의 관계." 「한국공공경영학회지」 26(2), pp. 1-31, 2012.
  27. 박경곤. "호텔 셰프의 직무 만족과 기술 향상에 관한 연구." 「대한요리학회지」 11(4), pp. 59-76, 2005.
  28. 강성관. "호텔 종사자 간 갈등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광 한국학」 2(3), pp. 7-27, 2007.
  29. 정연웅. "호텔 조직문화와 기업가정신이 호텔 종사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 한국학」 8(3), pp. 115-32, 2011.
  30. 이창길. "한국의 전략적 성과관리 정책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pp. 20-22, 2007.
  31. Price, J. L. "The Study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ociological Quarterly." pp. 13-18, 1986.
  32. 정남연. "유아 보육교사를 위한 전문 측정도구 개발 및 검증." 박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pp. 62, 2018.
  33. 이원지. "어린이집 갈등관리 전략이 어린이집 조직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 pp. 191-214., 2017.
  34. 이정욱. "교사의 지식과 유아교사 교육." 「韓國敎師敎育」 17(1), pp. 355-78, 2000.
  35. 김하연. "교사의 인성교육 전문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pp. 24-28, 2017.
  36. 김진아.이종희. "보육종사자가 지각한 보육시설의 조직효과성."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3), pp. 25-57,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