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정주원, 이준석, 이학연. (2021). 지역경제 성장요인과 정책적 함의: 광역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30(2), 209-241.
- 안소희. (2024). 2023년 지역 R&D 실태조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4-25.
- 이동욱. (2015). 정부 R&D투자와 기업혁신 활동간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19-23.
- 김선배. (2001). 지역혁신 체제 구축을 위한 산업정책 모형. 지역연구, 17(2), 79-97.
- 이수창, 이환범. (2017). 지역경제 성장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행정논집, 29(2), 231-251, 10.21888/KPAQ.2017.6.29.2.231
- 김경근, 정선영, 홍성효. (2014). 중소기업 R&D 활동에서 외부조달 재원의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과 효율성 제고방안: 대전.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BOK] 한국은행 지역본부 공동연구보고서 모음집, 4(1), 161-201.
- 김보람, 김대철. (2017). DEA 모형을 활용한 혁신형 중소기업과 일반 중소기업의 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32(2), 339-358.
- 송희영, 최원석. (2011).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기법을 활용한 한국 서비스산업의 생산성 변화 분석. 무역학회지, 36(4), 21-44.
- 이병철. (2008). 우리나라 광역시.도별 특허성과를 통한 연구개발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 지식재산연구, 3(2), 99-121, 10.34122/jip.2008.12.3.2.99
- 권선희, 조윤기. (2019). 중국 하이테크산업의 R&D투자 효율성 및 생산성 분석. 유라시아연구, 16(3), 81-100.
- 정민수, 이영호, 유재성, 김의정. (2024). 지역경제 성장요인 분석과 거점도시 중심 균형발전. [BOK] 이슈 노트 [제2024-15호], 3-28.
- 한국개발연구원. (2006)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4+9 사업) 심층평가. 공공투자관리센터 연구보고서, 3-22.
- 박정희, 문종범. (2010). DEA를 이용한 지역산업 기술개발 사업의 효율성 분석. 산업경제연구, 23(4), 2047-2068.
- 국가기록원. https://www.archives.go.kr/next/newsearch/listSubjectDescription.do?id=009242&pageFlag=&sitePage
- 균형발전종합시시템. https://www.nabis.go.kr/termsDetailView.do?menucd=189&gbnCode=S51&eventNo=40
- 송우경. (2018).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의 변천과 발전 방향. 이슈페이퍼, 1-88.
- 중소벤처기업부. 보도자료(2017.10.20.) 14개 시.도 지역주력산업 개편방안 확정 https://www.mss.go.kr/site/smba/ex/bbs/View.do?cbIdx=86&bcIdx=1003641&parentSeq=1003641
- 지방시대위원회. https://www.balance.go.kr/base/board/read?boardManagementNo=11&boardNo=9245&searchCategory=&page=4&searchType=&searchWord=&menuLevel=2&menuNo=41
- 전성만, 정현민. (2023). 국가균형발전정책의 성과와 한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학보, 20(3), 57-83.
- 이윤, 안영효. (2011). DEA와 Malmquist 생산성지수를 이용한 한국의 주요 국가산업단지 운영 효율성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3(5), 95-117.
- 고길곤. (2017). 효율성 분석 이론-자료포락분석과 확률변경분석, 문우사.
- 이철행. (2020). 연구개발투자의 효율성 분석 연구국내 하이테크산업 사례 분석. 과학기술정책, 3(2), 187-209.
- 이정동, 오동현. (2012). 효율성 분석 이론. (주) 지필미디어, 81-102.
- 박병상, 이용균, 김윤신. (2009). DEA 를 이용한 종합병원의 효율성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4), 299-312.
- 송건섭. (2015). 지방상수도 공기업의 경영성과 분석: DEA-Malmquist 지수 이용: DEA-Malmquist 지수 이용. 한국정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43-162.
- 이형석, 서형준. (2020). 17 개 광역자치단체의 R&D 투자효율성 분석. 지식재산연구, 15(2), 253-280.
- 한하늘. (2013). 인천광역시 연구개발 생산성 추세변화 비교분석-특허성과를 중심으로. 인천연구, (7), 141-175.
- 조윤기, 권선희. (2019). 중국 하이테크산업의R&D 투자 효율성 및 생산성 분석. 유라시아연구, 16(3), 81-100.
- 우청원. (2019). DEA 를 이용한 청정에너지기술 R&D 효율성 분석: 신재생에너지기술 R&D 과제를 대상으로. 기술혁신학회지, 22(4), 690-708.
- 김현정. (2019). 에너지 공기업 연구개발 (R&D) 투자의 효율성 측정과 제고 방안. 공공사회연구, 9(4), 162-182.
- 조남권, 김규환, 이석진. (2018). DEA 를 통한 중소. 중견기업의 R&D 효율성 분석. 지식재산연구, 13(2), 207-236.
- 조정래, 김태윤. (2017). 공기업 주관 R&D 효율성의 특성 분석: 국가에너지기술개발사업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국가에너지기술개발사업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규제연구, 26(2), 147-187.
- 윤상흠, 박춘식, 하귀룡. (2017). 국내 제약기업의 기술혁신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32(1), 25-46.
- 이성희, 김태수, 이학연. (2015). DEA 윈도우 분석을 이용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개발 사업화 동태적 효율성 분석. 경영과학, 32(4), 193-207.
- 윤정목, 류태수, 황승준, 박근완. (2014). DEA 를 통한 산업단지내 강소기업의 효율성 평가 및 특성에 관한 연구: R&D 투자를 중심으로: R&D 투자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7(10), 1747-1765.
- 이광배, 모수원. (2013). 우리나라 지역연구개발투자의 생산성과 동태적 효율성. 산업경제연구, 26(1), 333-345.
- 박석종, 김경화, 정상기. (2010). 과학기술적 성과 관점에서 정부 R&D 사업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4(2), 205-222.
- 방민석, 정혜진. (2011). 자료포락분석을 활용한 지방 R&D 사업의 효율성 분석. 지방행정연구, 25(4), 287-310.
- 소순후. (2011). 비방사적 SBM 모형을 이용한 지역 전략산업 기술개발투자의 효율성 분석. 산업경제연구, 24(2), 1169-1188.
- 박정희, 문종범. (2010). DEA 를 이용한 지역산업 기술개발 사업의 효율성 분석. 산업경제연구, 23(4), 2047-2068.
- Charnes, A., Cooper, W. W., Rhodes, E. (1978).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2(6), 429-444.
- Farrell, M. J. (1957). The measurement of productive efficiency.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A (General), 120(3), 253-281.
- Banker, R. D., Charnes, A., Cooper, W. W. (1984).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30(9), 1078-1092.
- Cooper, W. W., Seiford, L. M., Zhu, J. (Eds.). (2011). Handbook on data envelopment analysis.
- Chen, Y., Ali, A. I. (2004). DEA Malmquist productivity measure: New insights with an application to computer industry.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159(1), 239-249.
- Rayeni, M. M., Vardanyan, G., Saljooghi, F. H. (2010). The measurement of productivity growth in the academic departments using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Journal of Applied Sciences, 10(22), 2875-2880.
- Fare, R., Grosskopf, S., Roos, P. (1998). Malmquist productivity indexes: a survey of theory and practice. In Index numbers: Essays in honour of Sten Malmquist, 127-190. Dordrecht: Springer Netherlands.
- Wang, E. C., Huang, W. (2007). Relative efficiency of R&D activities: A cross-country study accounting for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DEA approach. Research policy, 36(2), 260-273.
- Sharma, S., Thomas, V. (2008). Inter-country R&D efficiency analysis: An application of data envelopment analysis. Scientometrics, 76(3), 483-501.
- Hashimoto, A., Haneda, S. (2008). Measuring the change in R&D efficiency of the Japanese pharmaceutical industry. Research policy, 37(10), 1829-1836.
- Wang, Y., Pan, J. F., Pei, R. M., Yi, B. W., Yang, G. L. (2020). Assessing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efficiency of China's high-tech industries with a two-stage network DEA approach. Socio-Economic Planning Sciences, 71, 10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