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arbon Stocks Estimation Methods Using Utilizing Both Biotope Maps - A Case Study on Forests in Suji-gu, Yongin City -

도시생태현황지도를 활용한 탄소저장량 추정 방법에 관한 연구 - 용인시 수지구 산림을 사례로 -

  • Lee, Hak-G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 Han, Bong-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 Park, Seok-Cheol (Institute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 이학기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 박석철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 Received : 2024.07.19
  • Accepted : 2024.08.29
  • Published : 2024.10.31

Abstract

The current method of calculating the carbon stocks of Korea's forests is to multiply the forest standing crop by basic wood density, biomass expansion factor, and carbon fraction, but it does not sufficiently reflect forest veget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a method of calculating carbon stocks using the biotope map and Biomass Allometric Equations for forests in Suji-gu, Yongin City. The biotope map is prepared every five years and contains detailed information on vegetation, including the actual vegetation and land cover status. The forest biotope of Suji-gu was extracted from the Yongin City biotope map, and the tree species, height, and breast height diameter of 24 representative types of forest vegetation sampled in Yongin City were analyzed in detail. To calculate the carbon stocks of trees and shrubs, the Biomass Allometric Equations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was used, and to calculate the carbon stocks of shrubs, the previous research result of 0.457 kg per m2 was applied. First, carbon storage was calculated for each types of forest vegetation sampled in Yongin City, and in order to apply this to the entire area, the 125 forest vegetation types in Suji-gu, Yongin City were retyped into 50. As a result,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occupied the largest area, followed by the Pinus rigida community, the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and the Quercus serrata community. The community with the highest carbon stocks per unit area (m2) was the Cornus controversa-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the community with the lowest was the oak-Betula dahurica community. The carbon stocks amount of forests in Suji-gu, Yongin City, calculated by applying the biotope map and Biomass Allometric Equation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carbon stocks amount calculated by multiplying existing forest standing crop by basic wood density, biomass expansion factor, and carbon fraction. This is because the currently officially used forest standing crop in Yongin City (144.44 m3/ha) does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actual forest vegetation, and trees with a breast height diameter of less than 6 cm were excluded when surveying forest standing crop, resulting in a lower carbon stocks amount than the actual amount. This study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carbon stocks calculation methods by utilizing a biotope map with detailed information on vegetation, such as existing vegetation maps and land cover status, and a Biomass Allometric Equations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and provides higher precision when assessing carbon stocks of forests. It is meaningful in suggesting a method for calculating carbon stocks.

현재 우리나라 산림의 탄소저장량을 산출하는 방법은 임목축적에 목재밀도, 바이오매스 확장계수, 탄소전환계수 등을 곱하여 산출하고 있으나 산림 식생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용인시 수지구 산림을 대상으로 도시생태현황지도와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이하 '상대생장식'이라고 한다)을 활용하여 탄소저장량 산출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도시생태현황지도는 5년마다 작성되며 현존식생도, 토지피복현황도 등 식생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있다. 용인시 도시생태현황지도에서 수지구의 산림 비오톱을 추출하고, 용인시 24개 대표 산림 식생조사구(이하 '대표 조사구'라고 한다)의 수종, 수고, 흉고직경 등을 상세 분석하였다. 교목과 아교목의 탄소저장량 산출을 위해 국립산림과학원에서 개발한 상대생장식을 사용하였고, 관목의 탄소저장량 산출을 위해 기존 연구 결과인 m2당 0.457kg을 적용하였다. 우선 용인시 대표 조사구별로 탄소저장량을 산출하였고, 이를 전체 면적에 적용하기 위해 용인시 수지구의 125개 산림식생 유형을 50개로 재유형화 하였다. 그 결과 신갈나무군락이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였으며, 리기다소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순이었다. 군락별 탄소저장량을 산출한 결과 단위면적(m2)당 탄소저장량이 가장 많은 군락은 층층나무-신갈나무군락이었으며, 가장 적은 군락은 참나무-물박달나무군락이었다. 도시생태현황지도와 상대생장식을 적용하여 산출한 용인시 수지구 산림의 탄소저장량은 기존 임목축적에 목재밀도, 바이오매스 확장계수, 탄소전환계수 등을 곱하여 산출한 탄소저장량 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현재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용인시 임목축적(144.44m3/ha)이 실제 산림의 식생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고, 임목축적 조사 시 흉고직경 6cm 미만 규격의 수목이 제외되어 탄소저장량이 실제보다 낮게 산출되어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식생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있는 도시생태현황지도와 국립산림과학원에서 개발한 상대생장식을 활용하여 기존의 탄소저장량 산출 방법의 한계를 보완하고 보다 정밀도 높은 탄소저장량 산출 방법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산림과학원(2014) 한국 주요 수종별 탄소배출계수 및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 국립산림과학원.
  2. 국립산림과학원(2019) NIFOS 산림정책이슈 제129호 주요 산림수종의 표준 탄소흡수량(ver. 1.2). 국립산림과학원.
  3. 국립산림과학원(2021) 국제산림정책토픽 제109호 2030 EU 신산림전략의 시사점. 국립산림과학원.
  4. 국립산림과학원(2023) 「2023」 입목재적 바이오매스 및 임분수확표. 국립산림과학원.
  5. 국립생태원(2021) 제5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국립생태원.
  6. 김경민, 노영희, 김은숙(2014) 국가산림자원조사 DB와 임상도를 이용한 산림탄소저장량 공간분포 추정방법.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4): 69-85.
  7. 김경민, 이정빈, 김은숙, 박현주, 노영희, 이승호, 박기호, 신휴석(2011) 원격탐사와 GIS 기반의 산림탄소저장량 추정에 관한 주요국 연구동향 개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3): 236-256.
  8. 김경민, 이정빈, 정재훈(2015) 임상도와 Landsat TM 위성영상을 이용한 산림탄소저장량 추정 방법 비교 연구. 한국원격탐사학회지 31(5): 449-459.
  9. 김성훈, 김일권, 전배석, 권혁수(2018a) 산림의 CO2흡수량 평가를 위한 통계 및 공간자료의 활용성 검토 -안산시를 대상으로-. 환경영향평가학회지 27(2): 124-138.
  10. 김성훈, 박은진, 김일권(2018b) 환경공간정보를 활용한 도시녹지의 탄소흡수량 추정 -안산시를 대상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1(3): 13-26.
  11. 박석철(2017) 비도시지역의 지속가능한 토지이용관리를 위한 환경생태계획 적용 기법-인천광역시 강화도를 사례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박사학위논문.
  12. 박현주, 신휴석, 노영희, 김경민, 박기호(2012) 크리깅 기법을 이용한 단양군의 산림 탄소저장량 추정 -지상부 바이오매스를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1): 16-33.
  13. 산림청(2021) 2020년 산림기본통계. 산림청.
  14. 서연옥, 정성철, 이영진(2017)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와 임상도를 활용한 리기다소나무림의 탄소 저장량에 대한 공간분포도 작성: 무주군의 사례로. 한국임학회지 106(2): 258-266.
  15. 신재원, 정수종, 장동영(2023) 고해상도 원격탐사 자료와 기계학습을 이용한 한국 산림의 탄소 저장량 산정. 한국기상학회지 33(1): 61-72.
  16. 용인시(2021) 용인시 도시생태현황지도 작성. 용인시.
  17. 이상진, 박홍철, 박관수, 김현숙, 이창민, 김진원, 심규원, 최승운(2022) 한국 국립공원 산림생태계의 수목 탄소저장량 평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5(3): 1-16.
  18. 이정희, 임정호, 김경민, 허준(2015) 다시기 Landsat TM 영상과 기계학습을 이용한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산림 탄소저장량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8(4): 81-99.
  19. 정재훈, 우엔 콩 효, 허준, 김경민, 임정호(2014) 위성영상을 활용한 지상부 산림바이오매스 탄소량 추정 - k-Nearest Neighbor 및 regression Tree Analysis 방법의 비교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0(5): 651-664.
  20. 정현용, 이우균, 남기준, 김문일(2013) 기후변화에 따른 임상분포 변화 및 탄소저장량 예측 -용인시 산림을 기반으로-. 한국기후변화학회지 4(2): 177-188.
  21. 조현길, 길승호, 박혜미, 김진영(2019) 남부지방 조경수종의 탄소저감과 계량모델 -동백나무, 배롱나무 및 가시나무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7(3): 31-38.
  22. 조현길, 김진영, 박혜미(2013) 도시 상록 조경수의 탄소저장 및 흡수 -소나무와 잣나무를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7(5): 571-578.
  23. 조현길, 김진영, 박혜미(2014) 도시 조경수의 탄소저감 효과와 계량모델 개발 -5개 향토수종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2(5): 13-21.
  24. 조현길, 윤영활, 이기의(1995) 도시녹지의 의한 대기 CO2의 흡수 -춘천시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3(3): 80-93.
  25. 조현길, 안태원(2012) 도시 낙엽성 조경수종의 탄소저장 및 흡수. 한국조경학회지 40(5): 160-168.
  26. 탄소중립위원회(2021)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탄소중립위원회.
  27. 한정수(2008) 수도권매립지 수목에 의한 CO2 흡수량 산정 및 증대를 위한 식생관리 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조경학석사 학위논문.
  28. 환경부(2022) 2022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 환경부.
  29. 황진후, 장래익, 전성우(2022) 환경공간정보와 InVEST Carbon 모형을 활용한탄소저장량 추정 방법에 관한 연 구: 세종시를 중심으로 - 생태.자연도, 국토환경성평가지도, 도시생태현황지도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5(5): 15-27.
  30. 황진후, 최유영, 유영재, Sun Zhemin, 조효진, 전성우(2021) InVEST Carbon 모형을 활용한 수도권정비계획법상 권역 별 토지이용변화와 탄소저장량 변화 분석. 한국기후변화학회지 12(5-1): 523-535.
  31. IPCC(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l greenhouse gas inventory. IPCC.
  32. IPCC(2023) CLIMATE CHANGE 2023 Synthesis Report. IPCC.
  33. Monk, C. D., G. I. Child and S. A. nicholson(1969) Species diversity of a startified Oak-Hickory community. Ecology 50(3): 468-470.
  34.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
  35. 산림청. https://www.fores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