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Carbon Neutral Education and Its Comparison with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초등 예비교사의 탄소중립교육에 대한 인식 및 초등 교사와의 인식 비교

  • Bae, Jinho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Received : 2024.09.11
  • Accepted : 2024.09.20
  • Published : 2024.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examine the awareness of the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bout carbon neutral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45 students in the advanced humanities course, 49 students in the advanced science course, and 47 students in the advanced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ourse at B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climate change is a very serious problem and that it may be is closely related to carbon neutrality. In addition, they chose social studies and science as the subjects that would be in charge of carbon neutral education. Second, the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in the advanced humanities, sciences, and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ourses at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showed no difference in their awareness of the carbon neutral education.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wareness about the climate change, carbon neutrality education, and carbon neutral subject education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owever, while the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thought that the implementation rate of the carbon neutral education in schools was averag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ought that carbon neutral education was not being implemented well in elementary schools.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탄소중립교육에 대한 인식을 정량적으로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교육대학교 4학년 인문 계열 심화 과정 재학생 45명, 자연 계열 심화과정 재학생 49명, 그리고 예체능 계열 심화과정 재학생 47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예비교사들은 기후변화가 매우 심각하거나 심각하다고 인식하며 기후변화가 탄소중립과 관계가 매우 깊거나 관계가 있다고 인식하는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탄소중립교육을 담당해야 하는 교과로 사회와 과학 교과를 많이 선택하였다. 둘째, 교육대학교 심화과정별 인문계열, 자연계열, 예체능계열의 초등 예비교사들은 탄소중립과 탄소중립교육에 대해 인식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 예비교사들과 초등교사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탄소중립교육에 대한 인식, 탄소중립 교과 교육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초등 예비교사는 학교에서 탄소중립교육 실행율이 중간 정도라고 인식하는 데 비해 초등교사들은 초등학교에서 탄소중립교육이 잘 실행되고 있지 못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은주(2023). 초등교사들의 탄소중립교육에 대한 인식과 과학 교과에서의 탄소중립교육 실행 경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3(5): 469-481. https://doi.org/10.14697/JKASE.2023.43.5.469
  2. 강은주, 박종호(2022). 과학교육에서 탄소중립교육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82: 89-89.
  3. 강재은, 김민정(2022). 영유아 탄소중립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 한국교육문제연구학회지, 40(4): 135-155.
  4. 강혜정, 이석희(2022). 초등 예비교사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지식.태도와 환경 소양. 초등교육연구, 37(2): 45-59. https://doi.org/10.23279/EER.37.2.202208.45
  5. 김종문, 윤성규(2015). 한국해양교육의 정체성과 방향성 탐색. 과학교육연구, 39(1): 80-87.
  6. 네이버 지식 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31985&cid=43667&categoryId=43667
  7. 대한민국정부(2020). 대한민국 2050 탄소중립 전략.
  8. 배진호92019). 초등예비 교사의 과학적 소양과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지, 9(2): 95-103.
  9. 배효관(2022).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생물학적 하수처리 선도기술. 대한토목학회지, 70(8): 18-21.
  10. 윤관기(2024). 탄소중립 관점에서 음악교과 플라스틱악기 사용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음악교육공학회지, 58: 41-56.
  11. 이루리, 배진호(2020). 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FPSP)을 기반으로 한 기후변화 교육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지식.태도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지, 10(3): 197-206.
  12. 조병찬, 김효남, 박국태, 류재인, 정진수(2005). 환경교육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조사. 환경교육, 18(2): 5-30.
  13. 최지연(2015).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에너지와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2): 837-856.
  14. 탄소중립정책포털 https://www.gihoo.or.kr/menu.es?mid=a30101020000
  15. 허윤정, 한신, 김형범(2023). 탄소중립에 관한 중등 과학예비교사들의 개념 이해 연구: 시선추적시스템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6(2): 261-275. https://doi.org/10.15523/JKSESE.2023.16.2.261
  16. 환경부(2022).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법 법령집.
  17. A survey of pre-service teachers. Issues in Educational Research, 29(2), 562-582.
  18. Baumber, A., Luetz, J. M., & Metternicht, G. (2019). Carbon neutral education: Reducing carbon footprint and expanding carbon brainprint. Quality Education: 1-13.
  19. Chen, J. (2021). Carbon neutrality: toward a sustainable future. Innovation 2, 100127.
  20. IPCC(2018). Special Report Global Warmming of 1.5℃. (https://www.ipcc.ch/sr15/)
  21. Maximillian, J., Brusseau, M., Glenn, E., & Matthias, A. (2019). Pollution and environmental perturbations in the global system. In Environmental and pollution science, Academic Press, 457-476.
  22. Plevyak, L. H., Bendixen-Noe, M., Henderson, J., Roth, R. E., & Wilke, R. (2001). Level of teacher preparation and implementation of EE: Mandated and non-mandated EE teacher preparation states.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2(2): 28-36.
  23. Sunthonkanokpong, W. & Murphy, E. (2019). Sustainability awareness, attitudes and actions:
  24. United Nations (2021)Meeting Coverage and Press Release, "Secretary-General Calls Latest IPCC Climate Report 'Code Red for Humanity', Stressing 'Irrefutable'Evidence of Human Influ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