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24년 광주대학교 대학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 강정원, 권정아 (2012). 아이돌보미의 자기효능감, 보육효능감, 직무효능감과의 관계. 아동보육연구, 8(2), 61-76.
- 권서현, 최인덕 (2023). 아이돌봄지원사업 종사자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48, 99-130, https://doi.org/10.22589/kaocm.2023.48.99
- 김나원, 고재욱 (2016). 아이돌보미의 근무특성과 대인관계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6), 636-648, https://doi.org/10.5392/JKCA.2016.16.06.636.
- 김종욱 (2022). 아이돌보미 감정노동과 집단자긍심 및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지연, 우이슬 (2023). 보육교사의 직장 내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9(5), 45-63, https://doi.org/10.14698/jkcce.2023.19.05.045
- 박지원 (1985).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서솔, 여종일 (2019).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소명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6), 169-188,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6.169
- 신영희 (2016). 행복한 아이돌보미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아이돌봄서비스 홈페이지 (n.d.). 아이돌봄서비스 사업현황. https://idolbom.go.kr/front/biz/stts에서 2024년 2월 7일 인출
- 안해자 (2014).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 연구. 초당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여성가족부 (2022). 2022 아이돌보미 서비스 실태조사. 세종: 여성가족부.
- 여성가족부 (2024). 아이돌보미 양성 및 보수 교육과정. 세종: 여성가족부.
- 유순란 (2015). 아이돌보미의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윤경, 조숙인, 이혜민, 김정현, 윤재석 (2022). 아동돌봄의 통합적 운영기반 구축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 윤은숙 (2016). 아이돌보미의 자아존중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교통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선영 (2016).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윤주 (2000).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통일사회복지정책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은하 (2022). 아이돌봄에 대한 아이돌보미의 메타포(Metaphor) 분석. 놀이치료연구, 26(2). 61-73, https://doi.org/10.32821/JPT.26.2.5
- 이창식, 황연경, 장하영, 유은경 (2019). 매개효과,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분석. 서울: 청람.
- 임진형 (2000). 유치원 초임교사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정선영, 조안나 (2019). 보육교사-학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과 직무만족도가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5), 86-111,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5.087
- 정소연 (2020). 취학 전 아동 아이돌보미의 돌봄 서비스 질 관련 요인.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아라, 송윤나 (2024). 돌봄아동 부모 지지와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집단 자존감의 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 29(1), 1-13. https://doi.org/10.13049/kfwa.2024.29.1.1
- 황혜신, 윤명자 (2012). 서울시 아이돌보미의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50(4), 63-71, https://doi.org/10.6115/khea.2012.50.4.063
- 현정환 (2003). 보육실습이 예비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4(6), 117-147.
- Aiken, L., & West, S.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CA: SAGE Publications.
-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 Wright, D. B., & Herrington, J. A. (2011). Problematic standard errors and confidence intervals for skewness and kurtosis. Behavior Research Methods, 43(1), 8-17, https://doi.org/10.3758/s13428-010-0044-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