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Child-Care Providers' Child-Care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The Moderating Role of Parental Support

아이돌보미의 보육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지지의 조절효과

  • Soo hyang Kim
  • 김수향 (광주대학교 아동학과)
  • Received : 2024.07.11
  • Accepted : 2024.09.24
  • Published : 2024.10.31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mong child-care providers. Methods: The study involved 192 child-care providers from G Metropolitan City. Survey were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assessing child-care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parent support.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with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higher levels of child-care efficacy and parental support were associated with greater job satisfaction. Additionally,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hild-care efficacy and parental support. Second, parental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Implications: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policies that benefit children, families, and child-care providers by identifying key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nd clarify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factors.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24년 광주대학교 대학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강정원, 권정아 (2012). 아이돌보미의 자기효능감, 보육효능감, 직무효능감과의 관계. 아동보육연구, 8(2), 61-76.
  2. 권서현, 최인덕 (2023). 아이돌봄지원사업 종사자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48, 99-130, https://doi.org/10.22589/kaocm.2023.48.99
  3. 김나원, 고재욱 (2016). 아이돌보미의 근무특성과 대인관계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6), 636-648, https://doi.org/10.5392/JKCA.2016.16.06.636.
  4. 김종욱 (2022). 아이돌보미 감정노동과 집단자긍심 및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지연, 우이슬 (2023). 보육교사의 직장 내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9(5), 45-63, https://doi.org/10.14698/jkcce.2023.19.05.045
  6. 박지원 (1985).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서솔, 여종일 (2019).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소명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6), 169-188,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6.169
  8. 신영희 (2016). 행복한 아이돌보미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아이돌봄서비스 홈페이지 (n.d.). 아이돌봄서비스 사업현황. https://idolbom.go.kr/front/biz/stts에서 2024년 2월 7일 인출
  10. 안해자 (2014).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 연구. 초당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여성가족부 (2022). 2022 아이돌보미 서비스 실태조사. 세종: 여성가족부.
  12. 여성가족부 (2024). 아이돌보미 양성 및 보수 교육과정. 세종: 여성가족부.
  13. 유순란 (2015). 아이돌보미의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최윤경, 조숙인, 이혜민, 김정현, 윤재석 (2022). 아동돌봄의 통합적 운영기반 구축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5. 윤은숙 (2016). 아이돌보미의 자아존중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교통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선영 (2016).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윤주 (2000).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통일사회복지정책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이은하 (2022). 아이돌봄에 대한 아이돌보미의 메타포(Metaphor) 분석. 놀이치료연구, 26(2). 61-73, https://doi.org/10.32821/JPT.26.2.5
  19. 이창식, 황연경, 장하영, 유은경 (2019). 매개효과,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분석. 서울: 청람.
  20. 임진형 (2000). 유치원 초임교사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정선영, 조안나 (2019). 보육교사-학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과 직무만족도가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5), 86-111,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5.087
  22. 정소연 (2020). 취학 전 아동 아이돌보미의 돌봄 서비스 질 관련 요인.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최아라, 송윤나 (2024). 돌봄아동 부모 지지와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집단 자존감의 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 29(1), 1-13. https://doi.org/10.13049/kfwa.2024.29.1.1
  24. 황혜신, 윤명자 (2012). 서울시 아이돌보미의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50(4), 63-71, https://doi.org/10.6115/khea.2012.50.4.063
  25. 현정환 (2003). 보육실습이 예비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4(6), 117-147.
  26. Aiken, L., & West, S.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CA: SAGE Publications.
  27.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28. Wright, D. B., & Herrington, J. A. (2011). Problematic standard errors and confidence intervals for skewness and kurtosis. Behavior Research Methods, 43(1), 8-17, https://doi.org/10.3758/s13428-010-0044-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