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tting the Derection of Research on the Labor Reproduction of the Jeju Haenyeo

제주해녀의 노동력 재생산 연구 방향

  • Jong-ho Lee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Chul-ki Cho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yunghee Kwon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Wonseob Song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 이종호 (경상국립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 조철기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 권경희 (대구교육대학교) ;
  • 송원섭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24.09.09
  • Published : 2024.09.30

Abstract

Jeju Haenyeo is in danger of extinction, and the issue of labor force reproduction is emerging as an important agenda. The traditional method of labor force reproduction based on matrilineal succession is gradually disappearing, and part of its role is being taken over by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such as Jeju Haenyeo School. In order to maintain th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sustainability of Jeju Haenyeo, sustainable labor reproduction is an essential prerequisite, so multidimensional study on the labor reproduction issue of Jeju Haenyeo has important academic and policy implications. Accordingly, we analyzed previous studies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the reproduction of Jeju Haenyeo's labor force and the role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in labor force reproduction. Based on this, we presented three issues that should be addressed. First, a detailed analysis of the role of Jeju Haenyeo School as a key platform for reproducing the Jeju Haenyeo's labor is required. Second,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role of social capital in the reproduction of the Jeju Haenyeo labor. Third, a qualitative analysis process is need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in order to measure the organic relationships centered on the haenyeo community.

제주해녀는 현재 소멸의 위기에 처해 있으며, 이에 따라 노동력 재생산 문제가 중요한 아젠다로 부각되고 있다. 모계 승계를 기본으로 공동체 내에서 지식과 기술 전수를 통해 이루어져 온 전통적 노동력 재생산 방식은 점차 소멸되어 그 역할의 일부를 제주해녀학교와 같은 직업훈련 기관이 대신하고 있으나 이 또한 지속가능한 수준의 노동력 재생산을 담당하지 못하고 있다. 제주해녀의 사회·경제·문화적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노동력 재생산이 필수적인 선결 조건이라는 점에서, 해당 이슈에 대한 다차원적인 연구는 학술적 및 정책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에 제주해녀의 노동력 재생산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선행연구와 노동력 재생산에 있어서 직업훈련 기관의 역할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제주해녀 노동력 재생산 연구를 위한 주제 및 분석항목을 추출하고 다루어야 할 세 가지 주요 이슈를 제시하였다. 첫째, 제주해녀 노동력 재생산의 핵심 플랫폼으로서 제주해녀학교의 역할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둘째, 제주해녀 노동력 재생산에 있어서 사회자본의 역할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해녀 공동체를 중심으로 유기적으로 얽힌 관계의 측정을 위해 사례나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는 정성적 분석 과정이 필요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과제번호2022S1A5A2A03052859).

References

  1. 강순희.노홍성, 2000, "직업훈련의 취업 및 임금효과," 한국노동경제학회 23(2), pp.127-151.
  2. 강유임, 2021, 직업훈련기관의 교육환경특성이 교육훈련 만족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고미, 2023, 제주해녀 출가(出稼) 배경과 정착 과정 연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고은솔.정상철, 2018, "제주해녀문화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유산경영," 예술경영연구 45, pp.317-341.
  5. 권경희, 2018, "도시재생에 있어서 사회자본의 역할과 활용에 관한 비판적 논의,"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4(3), pp.432-446.
  6. 권상철, 2015, "대안 공동체 경제 논의와 제주지역 사례: 마을 공동어장과 이시돌 목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4), pp.395-414.
  7. 김권호.권상철, 2016, "공동체 기반 자연환경의 지속가능한 이용 방안: 제주해녀의 공유자원 관리 사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1), pp.49-63.
  8. 김영정.권효숙, 2009, "뇌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경험학습에 관한 내러티브연구," 뇌교육연구 9(4), pp.63-96.
  9. 김진모.안상근.주현미.박종선.황영훈.송민철, 2012, "CIPP를 활용한 임업훈련기관의 교육역량 진단 및 개선방안,"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4(3), pp.47-72.
  10. 나승일.김강호.이민욱.민상기.장현진, 2007, "농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3), pp.97-123.
  11. 마상진, 2018, "귀농.귀촌 동기 유형과 관련 변인,"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0(1), pp.53-72.
  12. 문영만, 2022, "청년 재직자 기업규모별 노동시장 성과(임금.직무만족도.장기근속)," 직업능력개발연구, 25(1), pp.135-160.
  13. 박광서.김주현.김지혜.이정민.이선량, 2017, "해양수산분야 인력양성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20(1), pp.45-54.
  14. 송원섭.조철기.안종수.이종호, 2023, " '해녀'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언어 네트워크 분석과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9(1), pp.81-93.
  15. 양경숙, 2019, 제주해녀의 직업 형성과 발달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양인실, 2022, 제주해녀 생애사 연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유길상, 2010, "직업훈련 민간위탁 성공조건: 직업훈련 민간위탁사업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향을 중심으로," 노동정책연구 10(4), pp.39-64.
  18. 유병민.김정주.최영창.박혜진.김선희, 2010, "농업인 교육 프로그램 문제점 및 개선방안," 농촌지도와 개발 17(1), pp.45-74.
  19. 유완식.이정주, 2006, "장애인 직업능력 개발훈련 효과 분석 연구," 직업교육연구 25(3), pp.111-133.
  20. 이병준.박응희, 2015, "수공업 장인의 문화적 학습과정에 대한 연구 -통영장인의 학습생애사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10(3), pp.27-43.
  21. 이상은, 2005, "청년들에 대한 직업훈련의 취업 및 근로소득 효과," 사회복지정책 23, pp.5-28.
  22. 이선화, 2016, 제주해녀 생애사의 스토리텔링을 통한 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이영희.이순석, 2012, "경북농민사관학교 교육생의 교육참여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경북전통식품상품화과정을 중심으로," 농촌사회 22(2), pp.133-173.
  24. 이원호, 2000, "경제개혁이후 중국의 노동시장 역동성과 지역경제발전: 지역격차변화 이해에 대한 함의," 한국경제지리학회지 3(2), pp.23~42.
  25. 이재준, 2018, "고등교육 영역에서의 직업교육과 교양교육의 통합적 접근 가능성 탐색," 교육문화연구 24(5), pp.375-398.
  26. 이종호.송원섭.권경희.조철기, 2023, "제주해녀 공동체의 공유지 관리 특성과 사회경제적 지속가능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6(4), pp.458-476.
  27. 이홍택, 2018, "사회적경제 기업의 지속가능한 지역생태계에 관한 개념 틀: 호혜, 배려와 공공정책,"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1(3), pp.254-269.
  28. 정호찬.장우환, 2012, "경북 농민사관학교 농업인 교육의 효율성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4(4), pp.1-23.
  29. 제주특별자치도, 2021, 해녀어업 보존.육성 및 문화 전승 기본계획.
  30. 조소현, 2019, 제주해녀문화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와 전승: 무형문화유산전승과 관련한 유네스코 등재의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조영실.왕진, 2023, "농업전문직의 교육훈련 현업적용도 영향요인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21), pp.519-537.
  32. 조인애, 2019, 제주 해녀학교의 학습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좌혜경.권미선, 2009, "제주해녀의 생업과 문화," 제주도 연구 32, pp.229-259.
  34. 진금주, 2019, "귀어의 동기와 귀어지 선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연구 31(4), pp.237-258.
  35. 최윤지.한송희.공민재, 2015, "귀농 교육의 만족도, 성취도, 효과성 분석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21(1), pp.51-61.
  36. 한주성, 2014, "勞働の經濟地理學(노동의 경제지리학) 中澤高志(나카자와 다카시), 2014, 東京: 日本經濟評論社, 317쪽,"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4), pp.892-899.
  37. 홍정관, 2018, 상군이 된 두 해녀의 생애사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Bosch, G. and Charest, J., 2008, "Vocational training and the labour market in liberal and coordinated economies," Industrial Relations Journal 39(5), pp.428-447.
  39. Hirshleifer, S., McKenzie, D., Almeida, R., and Ridao-Cano, C., 2016, "The impact of vocational training for the unemployed: Experimental evidence from Turkey," The Economic Journal 126(597), pp.2115-2146.
  40. Hujer, R., Thomsen, S. L. and Zeiss, C., 2006, "The effects of vocational training programmes on the duration of unemployment in Eastern Germany," Allgemeines Statistisches Archiv 90, pp.299-321.
  41. Korpi, T., De Graaf, P., Hendrickx, J. and Layte, R., 2003, "Vocational training and career employment precariousness in great Britain, the Netherlands and Sweden," Acta Sociologica 46(1), pp.17-30.
  42. Lee, J. W., Han, J. S. and Song, E., 2019, "The effects and challenges of vocational training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Training Research 17(1), pp.96-111.
  43. Okwi, P., 2023, Vocational training works for communities and the economy in Kenya, IDRC Research projects(https://idrc-crdi.ca/)
  44. Thelen, K., 2007, "Contemporary challenges to the German vocational training system," Regulation & Governance 1(3), pp.247-260.
  45. Samoliuk, N., Bilan, Y. and Mishchuk, H., 2021, "Vocational training costs and economic benefits: Exploring the interactions," Journal of Business Economics and Management 22(6), pp.1476-1491.
  46. 연합뉴스, 2024, "제주 동부권에 해녀 양성 학교 세운다," 2024년 4월 9일.
  47. 제주의 소리, 2023, "법환해녀학교졸업생 어촌계 가입 '30.1%'불과, 명맥 끊어질라," 2023년 10월 18일.
  48. 디지털제주문화대전 https://www.grandculture.net/jeju/ (최종열람일: 2024년 4월 13일).
  49. 법환해녀학교 홈페이지 http://www.thehaenyeo-school.com/ (최종열람일: 2024년 4월 15일).
  50. 한수풀해녀학교 http://jejuhaenyeoschool.com/ (최종열람일: 2024년 4월 15일).
  51. 해녀박물관 https://www.visitjeju.net/kr/ (최종열람일: 2024년 4월 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