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Retirement Anxiety, Retirement Life Preparation and Post-retirement retirement needs on Life Satisfaction in Retirement -Focusing on Japanese Retiree Survey Data-

노후불안, 노후생활 준비 및 노후 생활지원 요구와 은퇴 후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일본 은퇴자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 Lee, Sujin (Faculty of Education, Hirosaki University)
  • Received : 2024.03.15
  • Accepted : 2024.06.17
  • Published : 2024.08.31

Abstract

In this study, we used survey data from Japanese retirees to determine the levels of retirement anxiety, retirement life preparation and retirement life needs in retirement and analyzed how these factors affect post-retirement life satisfaction. The analysis was based on a survey of retirees aged 60 to 74 across Japan, with data from 1,257 peopl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both men and women were found to have higher levels of retirement anxiety in terms of economic aspects, such as lack of income, savings, and living expenses, than other forms of retirement anxiety. This trend was more pronounced among men.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retirement anxiety in terms of economic aspects, the lower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in retirement for both men and women. Third, in terms of preparation for retirement life, greater preparation for the economic aspects of retirement life corresponded to higher life satisfaction for both genders. Finally, with regard to the influence of post-retirement life requirements, it was found that men who perceived a greater need for re-employment and re-employment opportunities experienced lower levels of post-retirement life satisfa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community participation programs and employment-linked initiatives to enhance post- retirement life satisfaction.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은퇴자 조사 자료를 이용해서 은퇴 전후의 노후불안, 노후생활 준비, 노후 생활지원 요구를 파악하고, 이런 요소들이 은퇴 후의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분석 자료는 일본 전국 60세 이상 74세의 은퇴자를 대상으로 조사된 것이며 분석에는 1,257명의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후불안 요인 중 남성과 여성 모두 수입과 저축, 생활비 부족 등의 경제적인 면에서의 노후불안이 다른 노후불안 요소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경향은 특히 남성에서 더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입과 저축, 생활비 부족 등의 경제적인 면에서의 노후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남성과 여성의 은퇴 후 생활만족도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후생활 준비의 측면을 보면 남성과 여성 모두 경제적 기반에 대한 준비 점수가 클수록 은퇴 후 생활만족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은퇴 후 노후 생활지원 요구의 영향에 대해서는 남성의 경우에, 은퇴 후 재고용 및 재취업 기회가 필요하다고 생각할수록 은퇴 후 생활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은퇴 이후의 시기에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지역사회참여 프로그램 및 취업연계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JSPS KAKENHI Grant Number JP20K02381.

References

  1. 국립국어원 우리말샘.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368007에서 2024. 04. 인출
  2. 곽민주, 이희숙(2015). 재무적 요인이 은퇴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Financial Planning Review, 8(1), 1-30.
  3. 김기홍, 양세정(2017). 은퇴가구의 경제상태 및 은퇴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Financial Planning Review, 10(1), 27-60.
  4. 김미영, 손서희, 박미석(2011). 한국 중고령 남성의 은퇴경험과 은퇴 후 삶의 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4), 65-78.
  5. 김민정, 박주영(2023). 은퇴자의 은퇴생활 경험과 영역별 은퇴준비 필요성에 대한 인식: 공적연금수급자를 대상으로. Financial Planning Review, 16(4), 107-141.
  6. 김주희, 이기영, 최현자(2009). 은퇴자의 은퇴 이후 생활수준 변화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4), 73-93.
  7. 김태현, 김동배, 김미혜, 이영진, 김애순(1998).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8(1), 150-169.
  8. 남순현(2017). 노인의 은퇴 후 삶의 적응에 대한 Glaser의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1(1), 5-29.
  9.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정책뉴스(2023.07.25). 우리나라 국민기대수명 83.6년...OECD 국가 평균보다 높아. https://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18135에서 2024. 04. 인출
  10. 박현식, 최미영, 정장석(2018).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생활 계획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영리연구, 17(1), 47-64.
  11. 백지은(2018).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상실경험, 노후불안, 우울감에 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6(2), 403-413.
  12. 성미애, 최새은(2010). 남녀 은퇴자의 은퇴전이 경험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젠더차이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8(9), 13-25.
  13. 손유경, 최성문(2020). 중.고령자의 노후준비가 은퇴 후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17(2), 5-40.
  14. 신현구(2007). 노동시장 은퇴자의 은퇴 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 노동리뷰, 27, 81-93.
  15. 염인숙(2019). 중장년층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1), 472-486.
  16. 위세아(2019).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비재무적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비영리연구, 18(2), 85-98.
  17. 이종희(2001). 퇴직공무원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산정논총, 2, 409-441.
  18. 임소현, 이영광(2022). 서울시 중장년 노후준비 지원방안. https://50plus.or.kr/upload/im/2023/01/59524c5a-dbdb-402e-ba0b-8397301b73e5.pdf에서 2024. 04. 인출
  19. 정근하(2020). 노년기 안정적인 사회연계망 구축을 위한 방안연구 : 일본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사회, 4(2), 161-186.
  20. 조선일보(2022.03.12). 세계서 가장 딱한 한국의 가장... 72세까지 일해야 쉴 수 있다 [행복한 노후 탐구]. https://www.chosun.com/economy/money/2022/03/11/IWFPCSXAUZFF7IONYHF4SYXCUM/에서 2024. 04. 인출
  21. 주소현, 이지혜, 홍수아(2012). 은퇴자 가계의 상속 및 증여의 경험과 은퇴설계 및 은퇴생활 만족도. Financial Planning Review(한국FP학회), 5(1), 55-77.
  22. 최영준(2015). 베비이붐 세대의 노후준비와 경제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근거이론적 접근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16(3), 353-378.
  23. 한국고용정보원(2022). KLoSA_9차_설문지. https://survey.keis.or.kr/klosa/klosa04.jsp에서 2024. 05. 인출
  24. Kadoya. Y., & Khan. M.S.R(2020). Financial Literacy in Japan: New Evidence Using Financial Knowledge, Behavior, and Attitude. Sustainability, 2020, 12, 3683, 1-15. DOI : 10.3390/su12093683
  25. 有馬教寧(2021). 高齢者の就労と生きがいに関する研究の現状と課題. 日本労務学会誌, 2(3), 92-102.
  26. OECD雇用局医療課(2023). 図表でみる医療 2023:日本. https://www.oecd.org/health/health-at-a-glance/Healthat-a-Glance-2023-Japan-Launch.pdf에서 2024. 05. 인출
  27. NHK地域アーカイブ https://www.nhk.or.jp/chiiki/closeup/detail/19.htm에서 2024. 05. 인출
  28. 健康長寿ネット(2019). 高齢者の日常生活支援 https://www.tyojyu.or.jp/net/kenkou-tyoju/kenkochoju-torikumi/koreisha-seikatsu-shien.html에서 2024. 05. 인출
  29. 厚生労働省(2021). 高年齢者の雇用. https://www.mhlw.go.jp/stf/seisakunitsuite/bunya/koyou_roudou/koyou/jigyounushi/page09_00001.html에서 2024. 05. 인출
  30. 厚生労働省(2022). 令和4年 「高年齢者雇用状況等報告」の集計結果. https://www.mhlw.go.jp/content/11703000/000955633.pdf에서 2024. 05. 인출
  31. 生命保険文化センター(2023). 2022(令和4)年度生活保障に関する調査. https://www.jili.or.jp/files/research/chousa/pdf/r4/2022honshi_all.pdf에서 2024. 04. 인출
  32. 政府統計の綜合窓e-Stat(2023). 令和2年国政調査 https://www.e-stat.go.jp/stat-search/files?page=1&toukei=00200521&tstat=000001136464에서 2024. 04. 인출
  33. 東京大学高齢社会総合研究機構(2014). 高齢者の社会参加の実態とニーズを踏まえた社会参加促進策の開発と社会参加効果の実証に関する調査研究事業報告書. https://www.iog.u-tokyo.ac.jp/ https://www.iog.u-tokyo.ac.jp/wp-content/uploads/2021/06/h25-report01.pdf에서 2024. 05. 인출
  34. 内閣府(2012). 平成24年版高齢社会白書 https://www8.cao.go.jp/kourei/whitepaper/w-2012/gaiyou/s1_3_2.html에서 2024. 05. 인출
  35. 内閣府(2019). 高齢者の経済生活に関する調査 https://www8.cao.go.jp/kourei/ishiki/r01/zentai/index.html에서 2024. 05. 인출
  36. 内閣府(2020). 第9回高齢者の生活と意識に関する国際比較調査 https://www8.cao.go.jp/kourei/ishiki/r02/zentai/pdf/2_4.pdf에서 2024. 05. 인출
  37. 内閣府(2021). 令和3年度 高齢者の日常生活.地域社会への参加に関する調査. https://www8.cao.go.jp/kourei/ishiki/r03/zentai/pdf_index.html에서 2024. 04. 인출
  38. 内閣府(2023a). 令和5年版高齢社会白書 https://www8.cao.go.jp/kourei/whitepaper/w-2023/zenbun/05pdf_index.html에서 2024. 04. 인출
  39. 内閣府(2023b).令和4年版男女共同参画社会に関する世論調査 https://survey.gov-online.go.jp/r04/r04-danjo/https://survey.gov-online.go.jp/r04/r04-danjo/gairyaku.pdf에서 2024. 04. 인출
  40. 的場康子(2018). 定年退職前後の生活の変化, LIFE DESIGN REOIRT SPRING, 2018.4, 28-31. https://www.dlri.co.jp/pdf/ld/2017/wt1802.pdf에서 2024. 04. 인출
  41. 松浦民恵(2011). 中高年男性の不安の構造を探るーパネル調査の文責を通じて. 日本労働研究雑誌, 616, 5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