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Detailed Typology of School Outdoor Spaces - For a Recent Landscaping School in Seoul -

학교옥외공간의 세부 유형 분류 연구 - 서울시 최근 조경사업 학교를 대상으로 -

  • Ahn, Myung June (nTi Landscaping)
  • 안명준 (조경시공연구소 느티)
  • Received : 2024.03.12
  • Accepted : 2024.07.08
  • Published : 2024.08.3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rive the concept and types of school outdoor spaces in Seoul.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concept of school outdoor space can be viewed as an outdoor activity space in schools that secures the value of integrated public life and communal life, including "behavioral rights, walking rights, living rights, urban rights, landscape rights (viewing rights), and nature experience rights." It can also be defined as a basic educational space that reflects the value of education, which is the basic function of schoo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general types of outdoor spaces, it was found that the outdoor spaces of Seoul schools can be divided into three major categories: walking space (movement function), educational space (educational activities), and rest and other spaces (other services). Based on this, outdoor spaces were categorized and subcategorized to serve as the basis for policy implementation. These classifications are characterized by 1) simplifying the classification of spaces by function into three (movement functions, educational activities, and other services) to enable the use of outdoor spaces for integrated purposes; 2) reflecting the complex use of spaces by subdividing educational spaces focusing on major activities, and in particular, discovering complex spaces due to the three-dimensionalization of buildings; and 3) enabling spatial-level planning and facility element-level access according to school characteristics. It is characterized by applying the recent trends and systems of general outdoor space projects to the current situation of schools.

본 연구는 서울시 학교옥외공간의 개념과 유형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옥외공간의 개념은 "행동권, 보행권, 생활권, 도시권, 경관권(조망권), 자연체험권 등"의 통합적인 공공생활, 공동생활의 가치가 담보된 학교 내 옥외활동 공간(open spaces)으로, 학교의 기본 기능인 교육의 가치와 지역사회의 특징이 반영된 기초 교육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었다. 일반적인 옥외공간의 유형을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모든 유형이 학교옥외공간에 나타나는 것은 아니었고, 결과적으로 서울시 학교옥외공간은 보행공간(이동기능), 교육공간(교육활동), 휴게공간 및 기타 공간(기타 서비스)의 세 가지 대분류로 구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중분류, 세분류를 진행하여 정책 실행의 기반이 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분은 1) 기능별 공간 구분을 3가지(이동기능, 교육활동, 기타서비스)로 단순화하여 통합적 용도로 옥외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 2) 교육공간을 세분하고 주요 활동에 집중한 복합적인 공간 활용을 반영하였고 특히 건축물 입체화로 인한 복합공간을 발굴하였다는 점, 3) 공간 단위의 계획과 시설 요소 수준의 접근을 학교 특성에 따라 가능하게 하였다는 점 등 일반적인 옥외공간 사업의 최근 추세와 체계를 학교 현황에 적합하게 적용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계보경, 김현진, 서희전, 정종원, 이은환(2011) 미래학교 체제 도입을 위한 Future School 2030 모델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 교육부(2019) 학교공간혁신사업 가이드라인(정책 자료).
  3. 교육부(2020) 교육부.시도교육청 '그린 스마트 스쿨' 본격 추진(2020.8.18. 보도 자료).
  4. 국지하(2009) 초등학교 조경공간 현황 및 구성원의 환경의식 분석. 건국대 석사논문.
  5. 국토교통부(2014) 보행자 중심의 가로경관 가이드라인.
  6. 국토연구원 엮음(2005) 현대 공간이론의 사상가들. 한울아카데미.
  7. 김승남, 이소민(2016) 가로단위 보행환경 평가체계 개발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8. 김은영, 이은상, 계보경, 이은환(2017) 미래학교 설립 운영 모델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9.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1997) 주택단지 옥외공간의 설계 특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10. 박상선(2012) 교육과정과 연계한 초등학교 조경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논문.
  11. 서울특별시교육청(2018) 서울교육공간플랜.
  12. 서울특별시교육청(2020) 미래를 담는 학교 추진을 위한 학교옥외공간 신모델 정책기반 마련 연구.
  13. 신경준(2010) 한국의 아파트 옥외공간 변천과 조경의 시대별 특성. 단국대학교 박사논문.
  14. 안명준(2022) 학교옥외공간의 효율적인 재구조화 방안 - 서울특별시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45-47.
  15. 이동규, 고인규(2022) 초등학교 학교 정원 설계에 관한 연구. 실과교육연구 28(3): 37-54.
  16. 이아롬, 김세창, 이현정, 박봉주(2012) 학교숲조성이 중학생의 학교조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6(3) : 73-79.
  17. 이영민(2001) 환경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조경계획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논문.
  18. 이윤서, 이상민, 유용흠, 황준성, 김진욱, 김은하(2018) 미래교육에 대응하는 학교시설 개선방안. 한국교육개발원.
  19.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 최혜영, 안명준(2019) 도시 옥외공간의 품질향상 전략과 품질평가 방향. 한국조경학회 추계 학술대회 자료집.
  21.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1) 미래학교 디자인 가이드라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2. 한국조경학회 편(1999) 조경설계론. 기문당.
  23. 한국토지주택공사(2020) 아동 놀이 행태를 고려한 도시공간 조성방안 연구.
  24. 허윤선, 임승빈(2007) 아동의 상상화를 통해 본 초등학교 외부 공간 계획 요소 도출. 한국조경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5. 허윤선, 임승빈(2010) 참여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한 초등학교 옥외공간 계획모형 - 서울 돈암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8(5): 1-11.
  26. Ashihara, Y.(1962) 外部空間の構成, 김정동 역(1991) 건축의 외부공간. 기문당.
  27. Jan, G.(1987) Life between Buildings : Using Public Space. 4th ed.. 김진우, 이성미, 한민정 역(2003) 삶이 있는 도시 디자인. 푸른솔.
  28. MAYOR OF LONDON(런던시, 2017) STREETSCAPE GUIDANCE.
  29. Simonds, J. O.(1996) Landscape Architecture. 안동만(역), 조경학. 서울: 보문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