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Inscription Trends of UNESCO World Heritage Cultural Landscapes

유네스코 세계유산 문화경관 등재 경향 분석

  • Lee, Jaei (Department of Spatial & Environmental Planning, ChungNam Institute ) ;
  • Sung, Jong-Sang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제이 (충남연구원 공간환경연구실) ;
  • 성종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Received : 2024.06.04
  • Accepted : 2024.06.20
  • Published : 2024.08.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inscription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121 cultural landscapes inscribed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to ga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ir inherent values and attributes. By employing a dual methodology involv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in-depth case studies,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temporal inscription patterns, selection criteria, and typologies of these landscape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official documents and databases available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Center website, ensuring the reliability and authenticity of the information. The analysis reveals that cultural landscapes are predominantly concentrated in Europe and Asia, with a steady increase in inscriptions since 1992. These landscapes are primarily recognized for their uniqueness in reflecting human-nature interaction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culture and land-use practices, resulting in their inscription mainly under criteria (iv), (iii), (v), and (ii). Furthermore, cultural landscapes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designed landscapes, organically evolved landscapes, and associative landscapes. Among these, organically evolved landscapes, formed through long-term interactions between human activities such as agriculture and indust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constitute a significant propor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NESCO World Heritage cultural landscapes possess a complex value system encompassing nature and culture, tangible and intangible elements, and material and non-material aspects. This necessitates a fundamental shift in the perception and preservation approaches to cultural heritage, requiring an integrated approach that emphasizes the overall context rather than individual elements and focuses on the dynamic process of landscape evolution itself. Moreover, cultural landscapes have the potential to contribute to sustainable development models by fostering regional identity, strengthening community resilience, and promoting sustainable economic growth. Therefore,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cultural landscapes require a perspective that holistically views the dynamic evolution process of the landscape and a governance system based on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communities and stakeholders. This study contributes to enhancing th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cultural landscapes and provides a foundation for the selection and management of future cultural landscape heritage sites.

본 연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121개 문화경관의 등재 경향과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문화경관 유산의 특성과 가치를 이해하고, 향후 문화경관으로 등재할 유산의 선정 기준과 등재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UNESCO 세계유산센터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공식 문서와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각 문화경관의 기본 정보와 속성 정보를 수집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고, 분석 결과를 보다 입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도출된 주요 경향성과 관련된 개별 문화경관 사례를 추가적으로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경관은 유럽과 아시아에 집중되어 있으며 1992년 이후 등재 건수가 꾸준히 증가해 왔음을 확인하였다. 문화경관은 인간과 자연의 상호작용을 반영한 경관의 독특성, 전통문화와 토지 이용 방식의 중요성 등을 인정받아 주로 등재기준 (iv), (iii), (v), (ii)를 중심으로 등재되고 있다. 또한 문화경관은 크게 의도적으로 설계된 경관, 유기적으로 진화된 경관, 연상적 경관 등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그 중에서도 농업, 산업 등 인간 활동과 자연환경의 장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 유기적으로 진화된 경관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세계유산 문화경관이 자연과 문화, 유형과 무형, 물질과 비물질을 아우르는 복합적 가치 체계를 지니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문화유산 인식과 보전 방식에 근본적인 전환을 요구하는 것으로, 개별 요소가 아닌 전체적 맥락을 중시하고 경관의 동적 변화 과정 자체에 주목하는 통합적 접근을 필요로 한다. 나아가 문화경관은 지속가능한 발전 모델로서 지역 정체성 확립, 공동체 회복력 강화, 지속가능한 경제 발전 등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문화경관의 보전과 관리에는 경관의 역동적 진화 과정을 총체적으로 조망하는 관점과 지역 공동체와 이해당사자들의 적극적 참여에 기반한 거버넌스 체계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문화경관의 특성과 가치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제고하고, 향후 문화경관 유산의 선정과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4년도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의 재원으로 통일·평화 기반구축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결과물임.

References

  1. 강동진(2006) 세계문화유산의 완충구역 관리 개념 정립. 국토계획 41(1): 7-20.
  2. 김예림, 성종상(2023) 해양문화경관의 개념 고찰. 국토연구 117: 121-144. https://doi.org/10.15793/KSPR.2023.117..006
  3. 노시훈(2019) 도시재생사업에 있어서 문화경관의 보존과 활용 연구 -「경관법」과 문화영향평가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57: 7-41.
  4. 노시훈(2020) 문화경관유산의 보존을 통한 도시의 문화적 정체성 구현: 생투앙 벼룩시장의 ZPPAUP, AVAP를 중심으로. 도시연구, (18), 147-181. https://doi.org/10.34165/URBANR.2020..18.147
  5. 성종상, 이원호(2021) 조경으로 보는 역사와 전통: 보다 나은 미래를 위한 문화유산. 한국 조경의 새로운 지평. 성종상 편. 168-179. 도서출판 한숲.
  6. 성종상(2020) 세계유산으로서 문화경관의 가치와 의미, (사)이코모스 한국위원회 창립 20주년 기념 세계유산의 새로운 해석과 전망. 43-96.
  7. 오정심(2023)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문화경관' 유형과 특성 연구: 전라남도 신안군 사례를 중심으로. 文化財 56(1): 162-180. https://doi.org/10.22755/KJCHS.2022.56.1.162
  8. 이제이, 성종상, 손용훈, 김태균(2016) 조선시대 선비들의 행락공간으로서 세검정 일대의 문화경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4(2): 75-86. https://doi.org/10.14700/KITLA.2016.34.2.075
  9. 이현경, 유희준, 남수미(2023) 유네스코 세계유산 협약 50주년, 현재 및 과제.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56(2): 264-279.
  10. 정주연, 이혜은(2016) 문화경관으로 등재된 세계유산의 비교 -아시아 논농사지역을 중심으로. 경관과 지리 26(3): 87-106.
  11. 정해준(2018) 전통 원림의 세계유산 문화경관적 가치 - 분명히 규정된 경관으로서의 보길도 윤선도 원림을 대상으로.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6: 14-27.
  12. 정해준(2021) 문화경관: 인간 문화와 자연환경의 상호 작용. 한국 조경의 새로운 지평. 성종상 편. 196-209. 도서출판 한숲.
  13. 정해준(2022) 문화경관 학술 담론 재고 - 경관유산 연구 및 정책 확장과 적용을 위하여.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 26-37.
  14. 최원석(2012) 세계유산의 문화경관 유형에 관한 고찰. 문화역사지리 24(1): 27-49.
  15. WHIPIC(유네스코 세계유산 국제해석설명센터)(2023) 세계유산 등재기준 (vi)의 해석 전략에 관한 연구. 유네스코 세계유산 국제해석설명센터.
  16. Antrop, M(2005) Why landscapes of the past are important for the futur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0(1-2): 21-34.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3.10.002
  17. Aplin, G. (2007). World heritage cultural landscapes.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13(6): 427-446. https://doi.org/10.1080/13527250701570515
  18. ARUP. (2021) Budj Bim Cultural Landscape Masterplan 2022-2030.
  19. Brown, S.(2018) World heritage and cultural landscapes: An account of the 1992 La Petite Pierre meeting. Heritage & Society 11(1): 19-43. https://doi.org/10.1080/2159032X.2019.1631616
  20. Brumann, C., and A. E. Gfeller(2022) Cultural landscapes and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Perpetuating European domin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28(2): 147-162. https://doi.org/10.1080/13527258.2021.1941197
  21. Fairclough, G.(2008) New Heritage, an Introductory Essay-People, Landscape and Change. In The Heritage Reader (pp. 297-312). Graham Fairclough ... [et al.]. New York: Routledge.
  22. Fowler, P. J.(2003) World Heritage Cultural Landscapes 1992-2002. Paris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3. Gfeller, A. E.(2015) Anthropologizing and indigenizing heritage: The origins of the UNESCO global strategy for a representative, balanced and credible world heritage list. Journal of Social Archaeology 15(3), 366-386. https://doi.org/10.1177/1469605315591398
  24. Han, F.(2006) The Chinese view of nature: Tourism in China's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s (Doctoral dissertation,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25. Jones, M.(2003) The concept of cultural landscape: Discourse and narratives. In Landscape Interfaces: Cultural Heritage in Changing Landscapes, 21-51.
  26. Koch, E., and J. Gillespie(2024) Under-utilisation of the world heritage cultural landscape category? A timely ques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30(7): 768-783. https://doi.org/10.1080/13527258.2024.2334224
  27. LDNPA(2021) Lake District National Park Partnership's Management Plan 2020-2025. Kendal, UK: Lake District National Park Authority.
  28. Mitchell, N., M. Rossler, and P. M. Tricaud(2009) World Heritage Cultural Landscapes: A Handbook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aris: UNESCO.
  29. Porter, N.(2020) Strategic planning and place branding in a world heritage cultural landscape: A case study of the english lake district, UK. European Planning Studie 28(7): 1291-1314. https://doi.org/10.1080/09654313.2019.1701297
  30. Rossler, M.(2006) World heritage cultural landscapes: A UNESCO flagship programme 1992-2006. Landscape Research 31(4): 333-353. https://doi.org/10.1080/01426390601004210
  31. Taylor, K., and J. Lennon(2011) Cultural landscapes: a bridge between culture and n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17(6): 537-554. https://doi.org/10.1080/13527258.2011.618246
  32. Tost, M., G. Ammerer, A. Kot-niewiadomska, and K. Gugerell(2021) Mining and Europe's world heritage cultural landscapes. Resources (Basel) 10(2): 1-17. https://doi.org/10.3390/resources10020018
  33. UNESCO(2023) Operational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UNESCO.
  34. Wylie, J.(2007) Landscape, Oxon: Routledge.
  35.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 https://whc.unesco.org/
  36. UNESCO World Heritage Centre(2017) Decision 41 COM 8B.22 Kujataa Greenland: Norse and Inuit Farming at the Edge of the Ice Cap. Retrieved from https://whc.unesco.org/en/decisions/6894/
  37. UNESCO World Heritage Centre(n.d.) Portovenere, Cinque Terre, and the Islands (Palmaria, Tino and Tinetto). UNESCO. https://whc.unesco.org/en/list/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