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신학교육과정 재구조화를 위해 현장에서 신학교육과정을 경험하고 있는 학습자의 입장에서 신학대학 교육과정 운영 만족도를 조사했다. 이를 통해 현재 신학교육과정의 반성적 성찰과 교회와 사회 속에 영향력 있는 신학교육과정 재구조화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현재 신학대학의 학부와 신학대학원, 신학석사, 신학박사 과정에 재학 중인 학습자 80명을 대상으로 현재 신학교육과정 만족도 분석을 위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 결과를 발전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설문 참여자 중 무작위로 6인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했다. 설문결과 첫째, 현재 신학교육과정 만족도는 60%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목회 실천적 교육의 필요성 인식은 77.5%인데 반해 현재 신학교육과정에서 목회 실천적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45.5%로 필요성을 인식한 비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재 신학교육과정이 미래 사회를 위한 목회역량을 키울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73.7%가 부정적인 응답을 했다. 마지막으로 신학교육과정 재구조화를 위해 시급하게 변화되어야 할 것에는 신학교육내용, 신학교육방법, 신학교육목적 순으로 조사됐다. 결론 및 제언 : 대전환의 시대 속에 우리 사회는 빠르게 변하고 있다. 변화의 물결 앞에 신학교육과정도 새로운 시대에 걸맞는 변화가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신학교육과정은 이론 중심의 지식 전달에 초점을 맞춰 왔다. 그러나 새로운 시대의 신학교육은 대전환 시대 속에서 교회와 목회자가 역동적으로 살아낼 수 있는 목회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학교육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목회 현장과 맥랑성을 가질 수 있는 신학교육과정으로 재구조화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이론중심의 교육과정과 방법론에서 다양한 목회 문제적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성주의 기반의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교수학습방법과 대전환 시대 속에 변화되는 목회 현장에 적극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실천중심적 신학교윢과정의 재구조화가 필요하다.
Research Objective :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ological university curricula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ers experiencing the theological education curriculum in the field. The goal is to provide a basis for reflective introspection on the current theolog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for restructuring it to have influential impacts within the church and society. Content and Methodology : A survey was conducted with 80 learners currently enrolled in undergraduate, graduate,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at a theological university to analyze satisfaction with current theological education programs. To interpret the survey results progressive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randomly selected group of 6 participants. Survey Results : First, the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theological education programs was found to be 60%, indicating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Second, while 77.5% recognized the need for practical pastoral education, only 45.5% reported that practical pastoral education is currently provided in theological education programs, indicating a lower percentage than the perceived need. Third, 73.7% responded negatively regarding whether the current theological education programs can enhance pastoral competence for future society. Lastly, the areas identified as urgently requiring change for the restructuring of theological education programs were theological education content, methodology, and objectives, in that order.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 : In an era of great transformation, our society is changing rapidly. In the face of this wave of change, the theological education curriculum also requires adaptation to suit the new era. Traditional theological education courses have primarily focused on imparting theory-centered knowledge. However, theological education in the new era necessitates a curriculum that enhances the pastoral capacity of churches and pastors to dynamically navigate through this era of significant transition. To achieve this, it is imperative to restructure the curriculum to one that i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pastoral field. This involves offering a variety of constructivist-based, learner-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ithin a theory-centered curriculum and methodology. Additionally, it entails establishing a practice-oriented theological school that can actively address the evolving pastoral landscape in this era of great transition. Restructuring of the process is essential to meet these go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