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as Dried Pollack a Talisman against Evil or for Good Luck?: An Examination of the Socio-economic Origins of the Magical Symbolism of Dried Pollack

북어는 액막이 부적인가, 행운의 부적인가? -북어의 주술적 상징성의 사회경제적 기원에 관한 고찰-

  • 심형준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Received : 2024.04.25
  • Accepted : 2024.06.25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lucidate the origins of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traditional Korean talismanic ornaments such as dried pollack, bokjori (luck-bringing strainer), silk threads, and sokotture (a nose-block). Previous studies have primarily interpreted the magical meanings of these ornaments based on their shapes or functions, but such approaches are limited due to this likely being an ex-post-facto interpretation. This study argues that the symbolic meanings of these ornaments originated from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time. These items were food resources or products closely related to the economic activities of the people of the time, and therefore, could be considered symbols of abundance and fortune. In particular, dried pollack served as an important food resource and commodity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even functioning as a quasi-currency, and considering that fish are seen as symbols of abundance and fertility in various cultures around the world, its symbolic significance becomes clearer. Bokjori and sokotture acquired the meaning of abundance by being associated with major goods or properties of the time such as rice and cattle, and silk thread was linked to sericulture, a significant source of income for farmers of the time. These economic characteristics form the basis of the symbolism of these ornaments, and the function of these talismans can be seen as a secondary symbolism added in the process of social justification of these customs. This study reveals that economic motives underlie magical-religious customs and suggests that a broad consideration of the cultural and ecological environment of the time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rigins and transformations of cultural phenomena.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주술적 장식물인 북어, 복조리, 소코뚜레, 명주실의 상징성의 기원을 밝히는 것이다. 기존 연구들은 주로 이 장식물들의 모양이나 기능에 근거하여 주술적 의미를 해석했으나, 이러한 설명은 사후적 해석일 가능성이 높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장식물들의 상징성이 당시의 사회경제적 특성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 열거한 주술적 장식물들은 당대 사람들의 경제 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식량자원이나 상품이었으며, 따라서 풍요와 재복(財福)의 상징으로 여겨질 수 있었다. 특히 북어는 조선 시대에 중요한 식량자원이자 상품으로 준화폐 기능까지 했었고, 세계 여러 문화권에서 물고기가 풍요와 다산의 상징으로 여겨진 점을 고려할 때 그 상징성이 더욱 명확해진다. 복조리와 소코뚜레는 쌀과 소 같은 당대 주요 재화와 연관되어 풍요의 의미를 획득했고, 명주실은 농가의 중요한 수입원인 양잠업과 관련되었다. 이러한 사회경제적 특성이 이들 장식물 상징성의 기저를 이루며, 액막이 기능은 이러한 의미가 사회적으로 정당화되는 과정에서 추가된 2차적 상징성으로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주술-종교적 관습의 기저에 경제적 동기가 자리 잡고 있음을 드러내며, 문화 현상의 기원과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당대의 문화생태적 환경을 폭넓게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진흥사업단)을 통해 K학술확산연구소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AKS-2021-KDA-1250010). 이 글을 준비하는 데에 두 분 선생님의 조언이 큰 도움이 되었다. 서울대 최종성 선생님은 북어의 주술적 상징성에 대한 이 글의 접근법에서 성긴 사유의 한계, 개념어 선택의 문제 등에 대해서 조언해 주셨다. 서울대의 심일종 박사님은 한국의 주요 북어 연구서 및 제물로서의 북어 사용 풍속 등에 대해서 조언해 주셨다.

References

  1. 「고운당필기」 4권
  2. 「비변사등록」
  3. 「오주연문장전산고」
  4. 「임하필기」
  5. 「하재일기」
  6. 김양섭, 「임연수어.도루묵.명태의 한자표기와 설화에 대한 고증」, 「민속학연구」 38, 2016. https://doi.org/10.35638/kjfs..38.201606.001
  7. 김태홍, 「18세기 후반~19세기 초 함경도의 유통망 확장과 장시 발달」, 「역사학보」 256, 2022.
  8. 메르시에, 위고.스페르베르, 당, 「이성의 진화」, 최호영 옮김, 파주: 생각연구소, 2018.
  9. 박한선.구형찬, 「감염병 인류」, 파주: 창비, 2021.
  10. 보이어, 파스칼, 「종교 설명하기: 종교적 사유의 진화론적 기원」, 이창익 옮김, 파주: 동녘사이언스, 2015.
  11. 배영동, 「산업화에 따른 마을공동체 민속의 변화와 탈맥락화: 산업농 등장, 탈맥락적 민속, 마을 초월적 전승주체를 중심으로」, 「비교민속학」 62, 2017. http://uci.or.kr/G704-000738.2017..62.006
  12. 부경대학교 해양문화연구소, 「조선시대 해양환경과 명태」, 서울: 국학자료원, 2009.
  13. 스페르베르, 당, 「문화 설명하기: 자연주의적 접근」, 김윤성.구형찬 옮김, 서울: 이학사, 2022.
  14. 심민정, 「조선시대 명태어장과 어로기술」, 「조선시대 해양환경과 명태」, 서울: 국학자료원, 2009.
  15. 심일종, 「유교 제례의 구조와 조상관념의 의미재현: 제수와 진설의 지역적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7.
  16. 오창현, 「18~20세기 서해의 조기 어업과 어민문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17. 이영학, 「조선후기 어물의 유통」, 「한국문화」 27, 2001.
  18. 이태진, 「小氷期(1500~1750) 천변재이 연구와《朝鮮王朝實錄》: global history의 한 章」, 「역사학보」 149, 1996.
  19. 정연식, 「조선시대 이후 벼와 쌀의 상대적 가치와 용량」, 「역사와 현실」 69, 2008. http://uci.or.kr/G704-000054.2008..69.003
  20. 하이트, 조너선, 「행복의 가설」, 권오열 옮김, 안양: 물푸레, 2010.
  21. 국사편찬위원회 편, 「화폐와 경제 활동의 이중주」, 서울: 두산동아, 2006.
  22. 해양수산부, 「2020년 수산물 생산 및 유통산업 실태조사」, 2021.
  23. 윤덕노, 「Life & Culture : 년년유어(年年有魚) 생선요리에 담긴 사랑 "일년 내내 풍요롭게 사세요"」, 「CHINDIA Plus」 89, 2014.
  24. 신형준, 「110여년전 한양에선...80kg 쌀 한가마 76만원」,《조선일보》 2006. 2. 24.
  25. 전승훈, 「"명태는 말라 비틀어져도 맑은 눈을 간직하고 있습니다"」,《동아일보》2023. 2. 22.
  26. Atari, Mohammad, et. al. "Pathogens are linked to human moral systems across time and space." Current Research in Ecological and Social Psychology 3, 2022. https://doi.org/10.1016/j.cresp.2022.100060.
  27. Belcher, William, "Fish Symbolism and Fish Remains in Ancient South Asia." In Walking with the Unicorn. Summertown, Oxford: Archaeopress Archaeology, 2018.
  28. Black, Jeremy, "The Imagery of Birds in Sumerian Poetry." In Mesopotamian Poetic Language: Sumerian and Akkadian. ed. M. Vogelzang and H. Vanstiphout. Groningen: Styx Publications, 1996.
  29. Carus, Paul, "Animal Symbolism (Illustrated)." The Open Court, 191 1:2. https://opensiuc.lib.siu.edu/ocj/vol1911/iss2/2
  30. Carus, Paul, "The Fish as a Mystic Symbol in China and Japan(llustrated)." The Open Court, 1911:7, 1911. https://opensiuc.lib.siu.edu/ocj/vol1911/iss7/1/
  31. Eberhard, Wolfram, A dictionary of Chinese symbols: hidden symbols in Chinese life and thought.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1986.
  32. Ellen, Roy, "The cognitive geometry of nature: a contextual approach." in Nature and Society: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ed. by Philippe Descola, Gisli Palsson. London: Routledge, 1996.
  33. Ellen Frankel, "Fish," The Encyclopedia of Jewish Symbols, Northvale, N.J.: J. Aronson 1992.
  34. Gershman, Boris, "The economic origins of the evil eye belief." Journal of Economic Behavior & Organization, 110, 2015
  35. Kant, Laurence Harold, "The Interpretation of Religious Symbols in the Greco-Roman World: A Case Study of Early Christian Fish Symbolism," Ph. D. Dissertation, Yale University, 1993.
  36. Lawrence, Robert Means, The Magic of the Horse-Shoe, with Other Folk-Lore Notes. Boston, etc.: Houghton, Mifflin and co, 1899.
  37. Mesoudi, Alex, Cultural Evolution: How Darwinian Theory Can Explain Human Culture and Synthesize the Social Science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1.
  38. Rasimus, Tuomas, "Revisiting the Ichthys: A Suggestion concerning the origins of christological fish symbolism." in Mystery and Secrecy in the Nag Hammadi Collection and Other Ancient Literature: Ideas and Practices. ed. by Christian H. Bull, Liv Ingeborg Lied and John D. Turner. Leiden. Boston: Brill, 2012.
  39. Wisnom, Selena, "Marduk the Fisherman."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141:1, 2021.
  40. 《전통문화포털》https://url.kr
  41. 《독수공방(讀修倥訪)》https://daucksoogongbang.blogspot.com
  42. 《한국민속대백과사전》https://folkency.nfm.go.kr
  4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44. 《Britannica》https://www.britannica.com
  45. 《Sefaria》https://www.sefari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