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 a Time of Change: Reflections on Humanities Research and Methodologies

변화의 시대, 인문학적 변화 연구와 방법에 대한 고찰

  • Kim Dug-sam (College of Liberal Arts for SangSaeng, Daejin University)
  • 김덕삼 (대진대학교)
  • Received : 2024.04.25
  • Accepted : 2024.06.25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This study begins with a question about research methods in humanities. It is grounded in the humanities, focusing on the changes that have brought light and darkness to the humanities, and focusing on discourse regarding research methods that explore those changes. If the role of the humanities is to prevent the proverbial "gray rhino," unlike the sciences, and if the humanities have a role to play in moderating the uncontrollable development of the sciences, what kind of research methods should humanities pursue. Furthermore, what kind of research methods should be pursued in the humanities,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ciences and the changing environment? This study discusses research methods in the humanities as follows: first, in Section 2, I advocate for the collaboration between humanities and scientific methods, utilizing accumulated assets produced by humanities and continuously introducing scientific methods. Prediction of change is highly precise and far-reaching in engineering and the natural scienc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approach change in these fields in a macro or integrated manner. Because they are not precise, they are not welcome in disciplines that deal with the real world. This is primarily the responsibility of humanities. Where science focuses on precision, humanities focuses on questions of essence. This is because while the ends of change have varied throughout history, the nature of change has not varied that much. Section 3 then discusses the changing environment, proposals for changes to humanistic research methods, reviews and proposals inductive change research methods, and makes some suggestions for humanistic change research. The data produced by the field of humanities accumulated by humankind in the past is abundant and has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In the future, we should not only actively accept the results of scientific advances but also actively seek systematic humanistic approaches and utilize them across disciplinary boundaries to find solutions at the intersection of scientific methods and humanistic assets.

본고는 인문학적 연구 방법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한다. 그 출발은 인문학을 기초로 하면서, 인문학에게 빛과 어둠을 안긴 변화에 집중하며, 그 변화를 탐구할 연구 방법에 논의의 초점을 맞춘 토대 위에 있다. 기존과 구분하여, 인문학의 역할이 과학과 다르게 회색 코뿔소를 예방하는 데 있다고 한다면, 그리고 과학의 제어하기 어려운 발전을 조정하는 데 인문학이 해야 할 역할이 있다면, 인문학이 지향해야 할 연구 방법은 어떤 것일지, 과학의 발전과 변화한 환경에 맞춰 다시 생각해 보고자 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인문학적 측면에서의 연구 방법에 대하여 논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인문적 자산과 과학적 방법의 협업을 통하여, 축적된 인문적 자산의 활용과 과학적 방법의 지속적 도입을 주장하였다. 변화에 대한 예측은 공학과 자연과학에서는 매우 정밀하고, 그 파장이 크다. 하지만 이러한 분야에서는 거시적으로나 통합적으로 변화에 접근하기 어렵다. 거시적이거나 통합적인 것은 이들의 분야에서 정밀하지 않기에 현실적인 것을 다루는 학문에서 환영받지 못한다. 이는 주로 인문학이 담당했다. 과학이 정밀함에 집중한다면 인문학은 본질에 대한 물음에 집중한다. 오랜 역사 속에 변화의 끝은 다양했지만, 변화의 본질은 큰 차이가 없었기 때문이다. 이어서 3장에서는 변화한 환경, 인문학적 변화 연구 방법의 제안을 거론하며, 귀납적 변화 연구 방법의 검토와 제안 및 인문학적 변화 연구에 대한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과거 인류가 축적한 인문적 데이터는 무궁하고, 활용 범위는 다양하다. 현재는 과학 발전의 결과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할뿐더러, 학문의 경계를 넘어, 체계적인 인문학적 접근과 활용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며, 과학적 방법과 인문적 자산의 교집합 지점, 여기서 그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 또는 저서는 2021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분야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1S1A5A2A01070503). 본 논문은 연구자가 "변화와 장의 탐구"를 연구하고 집필하며 가졌던 아이디어에 기초한다. 그동안 일부 내용을 산발적으로 언급하며 심화시키지 못했다. 이번 기회에, 체계적으로 정리하며 근거와 논리를 보충하고, 그 적용과 의미를 확장하였다. 이러한 결과물을 긍정적으로 평가해준 익명의 심사위원분들에게 감사를 전한다.

References

  1. 그레고리 라이트스톤, 「불편한 사실: 앨 고어가 몰랐던 지구의 기후과학」, 박석순 옮김, 서울: 어문학사, 2021.
  2. 김덕삼, 「중국 도가사(道家史) 서설(序說)I」, 서울: 경인문화사, 2004.
  3. 김덕삼, 「변화와 장의 탐구: 중국의 사람.사회.문화를 중심으로」, 파주: 한국학술정보, 2022.
  4. 네이트 실버, 「신호와 소음: 미래는 어떻게 당신 손에 잡히는가」, 이경식 옮김, 서울: 더퀘스트, 2014.
  5. 마이클 셸런버거, 「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종말론적 환경주의는 어떻게 지구를 망치는가」, 노정태 옮김, 서울: 부키, 2021.
  6. 막스 베버, 「직업으로서의 정치.직업으로서의 학문」, 박문재 옮김, 서울: 현대지성, 2024.
  7. 미치오 카쿠, 「초공간」, 박병철 옮김, 파주: 김영사, 2019.
  8. 새뮤얼 아브스만, 「지식의 반감기」, 이창희 옮김, 서울: 책읽는수요일, 2014.
  9. 손철성, 「허버트 마르쿠제」, 서울: 살림, 2007.
  10. 앙리 베르그송, 「사유와 운동」, 이광래 옮김, 서울: 문예출판사, 1993.
  11. 이언 모리스, 「가치관의 탄생」, 이재경 옮김, 서울: 반니, 2016.
  12. 이영의, 「객관성을 향한 베이즈주의의 여정」, 「과학철학」, 19-3, 2016. http://uci.or.kr/G704-001239.2016.19.3.008
  13. 이일권, 「헴펠 정량 입증 이론 연구」, 전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23.
  14. 장다이녠, 「중국철학사 방법론」, 양재혁 외 옮김, 서울: 이론과 실천, 1988.
  15. 전영삼, 「베이즈주의: 귀납 논리와 귀납 방법론의 역할 관계로부터 살펴보기」, 「과학철학」 14-2, 2011. http://uci.or.kr/G704-001239.2011.14.2.001
  16. 전영삼, 「총체적 입증도, 입증도의 증가, 그리고 귀납의 방법론」, 「과학철학」 15-2, 2012. http://uci.or.kr/G704-001239.2012.15.2.003
  17. 카이스트 디지털인문사회과학센터, 「디지털인문사회과학 교육 프로그램의 현재와미래」, 2023 UNIST-한국연구재단 공동연구 디지털 인문학 워크샵, 2022.
  18. 톰 올리버, 「우리는 연결되어 있다: 우리가 연결되어 있는 이유와 그 연결에 숨어 있는 놀라운 과학」, 권은현 옮김, 서울: 브론스테인, 2022.
  19. 프랑수아 도스, 「구조주의 역사I, 기호의 세계: 50년대」, 이봉지.송기정 외 옮김, 서울: 동문선, 1998.
  20. 피터 브래넌, 「대멸종 연대기: 멸종의 비밀을 파헤친 지구 부검 프로젝트」, 김미선 옮김, 서울: 흐름출판사, 2019.
  21. 함인선, 「정의와 비용 그리고 도시와 건축: 근대 건축으로 한국사회를 읽다」, 서울: 마티, 2014.
  22. 헤르베르트 마르쿠제, 「해방론」, 김택 옮김, 서울: 울력, 2004.
  23. 강기헌, 「휴머노이드 로봇, 자동차 공장 접수 작전」,《중앙경제》2024. 6. 11. B3면.
  24. 김철웅, 「AI가 복제한 77세 정치학자, 말투까지 따라했다」,《중앙일보》 2024. 6. 17. 16면.
  25. 「한국외대의 변신, 통번역과 줄이고 언어.AI융합학부」,《중앙일보》 2024. 4. 30. 8면.
  26. Sheldrake, P., A Brief History of Spirituality, Hoboken: WileyBlackwell, 2007.
  27.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https://www.riss.kr
  28. 《구글 엔그램 뷰어(Google Ngram Viewer)》https://books.goog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