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Exploring Service Example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t Content Platform

국내외 아트 콘텐츠 플랫폼의 서비스 사례 고찰

  • Jun Hee Park (Hongik University, International Design School for Adavanced Studies) ;
  • Seung In Kim (Hongik University, International Design School for Adavanced Studies)
  • 박준희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자인경영전공) ;
  • 김승인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지털미디어디자인전공)
  • Received : 2024.06.12
  • Accepted : 2024.07.16
  • Published : 2024.07.31

Abstract

Since the COVID-19 pandemic, art content platforms have evolved into content venues for the holistic experience of art, which is distinct from offline experiences, and possesses unique characteristics that are no longer just auxiliary means of information deliv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platform development for art content in order to revitalize art experience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y analyzing functional utility cases of art content platform services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To achieve this, factors for analyzing the functional utility of art content platforms were extra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n, the functions and services of domestic and foreign art content platform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nd based on the analysis factors of 'interaction', 'reliability', 'convenience', and 'diversity' extracted from the literatu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art content platforms was examined through a service and function analys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analyzed the overall user experience online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art content platforms through functional utility analysis. Through this, it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various utilization possibilities of art content platforms and the perspective of users who experience art in the media environment.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아트 콘텐츠 플랫폼은 오프라인과 차별화되는 예술의 총체적 경험을 위한 콘텐츠의 장으로 전환되었고, 더 이상 정보 전달을 위한 보조 수단이 아닌 고유한 특징을 가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아트콘텐츠 플랫폼 서비스의 기능 효용 사례 분석을 통해 고찰을 통해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예술 경험을 활성화하기 위해 아트 콘텐츠의 플랫폼 발전 방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통해 아트 콘텐츠 플랫폼의 서비스와 기능 효용을 분석하기 위한 요인을 추출하였다. 이후 국내외 아트 콘텐츠 플랫폼 기능, 서비스를 3가지로 분류하였고, 문헌 연구를 통해 추출한 분석 요인 '상호작용', '신뢰성', '편리성' '다양성'을 토대로 서비스, 기능 분석을 통해 아트 콘텐츠 플랫폼의 발전 방향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아트 콘텐츠 플랫폼의 기능 효용 분석을 통해 온라인에서 사용자의 총제적 경험과 플랫폼의 발전 방향을 연구한 데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아트 콘텐츠 플랫폼의 폭넓은 활용 가능성과 미디어 환경에서 예술을 경험하는 사용자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혜연.박신의(2021), 시각예술분야 온라인 콘텐츠 성공 요인 분석, 문화예술경영학연구, 14(1), pp.9-33.
  2. 김은미.박현아.임소영(2017), 모바일 콘텐츠에 대한 주목 행동,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7), pp.12-21. https://doi.org/10.5392/JKCA.2017.17.07.012
  3. 김휘택.이창영.이태현(2015), 플랫폼 기반으로 한 문화콘텐츠 창업, 다문화콘텐츠연구, 19, pp.25-44.
  4. 오나예.윤혜인.박진완(2022), 콘텐츠 큐레이션을 위한 추천시스템이 접목된 가상 전시 플랫폼 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3(11), pp.2191-2198.
  5. 조종혁.배태준(2022), 온라인 예술 플랫폼 기업 사례:비지니스 모델 분석, 벤처창업연구, 17(6), pp.175-193. https://doi.org/10.16972/APJBVE.17.6.202212.175
  6. 김혜정.박종우(2016), 아트 아카이브 플랫폼 이용자의 상호작용성 지각이 수용과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8), pp.540-555. https://doi.org/10.5392/JKCA.2016.16.08.540
  7. 최양화(2021), 온라인 갤러리 플랫폼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성훈.민슬기(2017),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콘텐츠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UXD 방법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3(4), pp.115-124.
  9. 정애리(2015), 소셜 미디어의 공공적 활용을 위한 콘텐츠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51, pp.59-76.
  10. Jin Woo Lee.So Hee Lee(2019), User Participation and Valuation in Digital Art Platforms: The Case of Saatchi Art,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53(6), pp.1125-1151. https://doi.org/10.1108/EJM-12-2016-0788
  11. 이성희(2021), 뮤지엄 온라인 영상 콘텐츠 시청동기 요인이 행동의도 및 몰입에 미치는 영향:국립 현대미술관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이지현(2022), 팬데믹 상황에서 온라인 문화예술콘텐츠 관람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속성 요인 분석,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최정은(2019), 디지털시대의 문화예술콘텐츠 플랫 폼에 관한 연구-구글 아트앤컬처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0(3), pp.433-446.
  14. 권은용(2021), 포스트 코로나, 코로나 이후 온라인 미술시장,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10, pp.15-29.
  15. 장정훈.이광형.노규성(2016), 플랫폼비지니스 성공요서의 경쟁력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4(3), pp.243-250. https://doi.org/10.14400/JDC.2016.14.3.243
  16. 김진우(2021), P2C 관례에서의 온라인 중개플랫폼의 책임-비교법적 고찰을 중심으로-, 민사법학, 97, pp.89-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