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Balance Factors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Technology-Based Companies: Focusing on the Case of Daedeok Cluster Successful and Unsuccessful Companies

기술기반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균형요인 연구: 대덕클러스터 성공실패 사례 중심으로

  • Received : 2024.05.23
  • Accepted : 2024.06.21
  • Published : 2024.07.31

Abstract

This study approached the factors affecting companies's sustainable growth by overcoming the valley of death after starting a business from the perspective of technology, market, location, cluster, and INC model, and conducted a case study on success and failure companies in Daedeok Cluster to explore the adequacy and suitability of the main factors of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ocation accessibility-based collaboration between innovators is important for the growth of companies in the cluster, and balanced growth such as innovative ideas, market needs, and capability to meet needs is necessary for companies' products and services to create innovative value in the market. This study is worth in that it presents factors for sustainable corporate growth through the analyses of success and failure cases for companies in the Daedeok Cluster. In addition, the research is successful in that it proposed a policy support plan based on collaboration among companies to foster companies in the cluster.

본 연구는 기업이 창업 후 죽음의 계곡을 극복하여 지속가능한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기술, 시장, 입지, 클러스터, INC모델 관점에서 접근하였으며, 대덕클러스터 내 기술기반 기업을 대상으로 성공·실패기업에 대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여 선행연구의 주요 요인과의 적정성 및 적합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클러스터 내 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혁신 주체 간 입지 접근성 기반 협업이 중요하며, 기업의 제품·서비스가 시장에서 혁신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아이디어(Idea), 시장의 요구(Needs),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역량(Capability) 등 균형적 성장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대덕클러스터 내 기업 대상 성공·실패 사례분석으로 지속 가능한 기업 성장을 위한 요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있다. 그리고 클러스터 내 기업육성을 위해 기업 간 협업 기반 정책적 지원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성과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봉강호. (2023). 우리나라 및 주요국 인공지능(AI) 기술 수준의 최근 변화 추이,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디지털통계센터. https://spri.kr/posts/view/23555?code=data_all
  2. 국회예산정책처, (2017). 창업기반 및 중소기업 성장 대책 분석. https://www.nabo.go.kr
  3. Anil K. Gupta, Vijay Govindarajan. (1991). Knowledge Flows and The Structure of Control within Multinational Corpor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6, No. 4, pp. 769-792.
  4. 김나미.이종선.김동수. (2020). 기업가의 창업 실패 경험과 재교육이 재창업에 미치는 영향: 창업 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5(2), 33-45. https://doi.org/10.16972/APJBVE.15.2.202004.33
  5. 김수진.한정화.이상명. (2016). 예비창업자의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11(3), 49-61. https://doi.org/10.16972/APJBVE.11.3.201606.49
  6. 관계부처합동 보도자료. (2024). 지역 성장지원 서비스 경쟁력 강화방안. http://mss.go.kr/site/smba/ex/bbs/View.do?cbIdx=86&bcIdx=1050315&parentSeq=1050315
  7. 황두희.정영철.정선양. (2018). 혁신클러스터의 진화 :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21(4), 1207-1236.
  8. Borch, F. J. (1957). The Marketing concept: Its meaning to management. Marketing series, 99.
  9. Lambin, E. F., Rounsevell, M. D., & Geist, H. J. (2000). Are agricultural land-use models able to predict changes in land-use intensity?. Agriculture, Ecosystems & Environment, 82(1-3):321-331. https://doi.org/10.1016/S0167-8809(00)00235-8
  10. Jawad, S.U.R.S., Naushad, S., Yousaf, S. & Yousaf, Z. (2019), "Exploring Performance of Software Houses", World Journal of Entrepreneurs hip, Manage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16(1), 1-11. https://doi.org/10.1108/WJEMSD-05-2019-0033
  11. Jeong, I., J. H. Pae, & D. Zhou. (2006).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he Strategic Orientations in NewProduct Development: The Case of Chinese Manufacturers",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35, 348-358. https://doi.org/10.1016/j.indmarman.2005.06.010
  12. 안홍재. (2019). 기술창업기업의 입지환경 특성이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서울.
  13. Florida, R. (2002).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Vol. 9). New York: Basic books.
  14. 박건철.이승하. (2017). 서울시 벤처생태계 현황 및 성과 분석. 서울디지털재단 연구보고서, (2), 3-65.
  15. 윤재만.최종인. (2023). 기술창업기업의 기술지향 성과 시장지향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입지환경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8(2), 95-111. https://doi.org/10.16972/APJBVE.18.2.202304.95
  16. OECD. (1999). Boosting Innovation. The Cluster Approach, OECD Proceedings, Paris.
  17. 임덕순(2002), 인도소프트웨어산업의 혁신클러스터 형성과정: 개발인가, 진화인가?, 「기술혁신학회지」, 5(2) : 167-188.
  18. 홍성범.임덕순(2000), 혁신클러스터의 특성 및 성장요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 Cooke, P. (2008). Regional Innovation Systems. Clean Technology & Jacobian Cluster-Platform Policies. Regional Science Policy & Practice, 1(1), 23-45. https://doi.org/10.1111/j.1757-7802.2008.00002.x
  20. Cohen, W. M. and D. A. Levinthal. (1990), "Absorptive capacity: A new perspective on learning and innov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5(1), pp. 128-152. https://doi.org/10.2307/2393553
  21. Zahra, S. A., George, G. (2002). Absorptive Capacity: A Review, Reconceptualization, and Extens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7(2): 185-203. https://doi.org/10.2307/4134351
  22. 최종인. (2016). 죽음의 계곡을 건너다 : 기술사업화, 서울:한경사. 97-100.
  23. 한국기업데이터 (https://www.cretop.com/)
  24.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21). 바이오인더스트리 글로벌 체외진단 시장 현황 및 전망, (176), 1-12. https://www.bioin.or.kr/board.do?num=313042&cmd=view&bid=watch
  25. 써트렉아이 홈페이지. https://www.satreci.com/korean/sub0105
  26. 더중앙경제.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14690#home
  27. 렙포티언. https://www.rapportian.com/news/articleView.html?idxno=140947
  28. 한국거래소 원텍사업보고서.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10406000737&docno=&viewerhost=&view
  29. 한국기업데이터. https://www.cretop.com/
  30. 한국기업평가. http://www.korearatings.com/component/webzine/667/a1.pdf
  31. 중소기업청.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16). 창의적모바일 제품개발 지원사업 사례, 50-60.
  32. 트렌드 리포트. https://www.sipremium.com/fairBbs.do?selAction=view&FAIRMENU_IDX=12674&BOARD_IDX=53182&BOARD_NO=26&selPageNo=1&hl=KOR
  33. 이뉴스투데이. https://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4060
  34. 코리아사이언스.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1734158357335.pdf
  35. 임종빈.조형례.정선양. (2012). 혁신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정책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판교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판교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5(3), 675-699.
  36. 최종인.박준병.김응규. (2008). 혁신클러스터 성공 요인: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혁신클러스터연구, 1(1), 67-90.
  37. 정선양, 황두희, & 임종빈. (2016). 혁신클러스터의 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판교테크노밸리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9(4), 848-872.
  38. 김현우.이수정.송영화. (2017). 기업생태계 관점에 서의 클러스터 분석: 판교와 런던을 중심으로. 한국 창업학회지, 12(1), 364-382.
  39. 하규수.박배진. (2023). 벤처기업 스케일 업을 위한 판교테크노밸리와 실리콘밸리의 비교연구.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7(2), 51-64.
  40. 에이스바이옴. https://www.bioneer.co.kr/literatures/ir_file/pr/kr_pr_20191001.pdf
  41. 헬로DD.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102146
  42. 한화에어로스페이스. https://www.hanwhaaerospace.com/kor/media/newsroom/view.do?seq=113
  43. 정부일.현병환. (2018).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기술이전사업화 성공요인 분석.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8(1), 79-90.
  44. 조덕희.(2018). 창업기업의 지속성장 역량분석과 생존율 제고 방안. 통권, 1-139.
  45. Gagn , M., Townsend, S. H., Bourgeois, I. and Hart, R. E. (2010). Technology Cluster Evaluation and Growth Factors: Literature Review, Research Evaluation, 19(2): 82-90 https://doi.org/10.3152/095820210X510124
  46. Giuliani, E. (2013), Network Dynamics in Regional Clusters: Evidence from Chile, Research Policy, 42(8): 1406-1419. https://doi.org/10.1016/j.respol.2013.04.002
  47. Acosta, M., Azagra-Caro, J. M. and Coronado, D. (2016), Access to Universities' Public Knowledge: Who is More Regionalist?, Regional Studies, 50(3): 446-459. https://doi.org/10.1080/00343404.2014.923094
  48. 한정화.신중경.(2004).창업실패 요인분석 : Dynamic ERIS. 한국전략경영학회(학술대회발표논문집), 75-97.
  49. 김찬호.고창룡.설성수. (2012). 기술사업화 실패 사례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5(1), 203-223.
  50. 국회입법조사처. (2020). "우리나라와 유럽 주요국의 기업생멸 현황과 시사점. 「국제통계 동향과 분석」10(13), 1-10.
  51. 중소벤처기업부. https://www.mss.go.kr/site/smba/ex/bbs/View.do?cbIdx=86&bcIdx=1026105
  52. 김춘근.이충석.김진수. (2014). 기술창업기업 초기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청년창업사관학교 졸업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영연구, 21(5), 63-86.
  53. 김재근. (2015). 지역혁신을 위한 테크노파크 조성의 효과 분석: 입주기업의 경영성과를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29(3), 161-187. https://doi.org/10.22783/KRILA.2015.29.3.161
  54. 배영임. (2016), 창업보육센터 지원서비스와 매니저 역량이 입주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11(2), 145-155. https://doi.org/10.16972/APJBVE.11.2.201604.145
  55. 중도일보. https://m.joongdo.co.kr/view.php?key=20230504010001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