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aily History and Self-consciousness of Jeonju Citizens: Two Examples of Reading Groups

전주 시민의 일상사와 자기의식 『혼불』과 공유지(Commons)의 사례

  • Oh, Hangnyeong
  • 오항녕 (전주대학교 대학원(사학과) )
  • Received : 2024.06.12
  • Accepted : 2024.07.22
  • Published : 2024.07.30

Abstract

This paper is an experience and observation report on the activities of Jeonju citizens, who are 'kleine leutes'. Text or Born-digital materials such as diaries, group chat rooms, memos, and interviews showing citizens' contemporary and daily history (Alltagsgeschichite) were used for this purpose. These civic groups are reading groups we can find easily and they also enjoy walking, hiking, and movies, and so to speak ordinary local people are their members. One team read Choi Myung-hee's "Honbul" for about a year and a half, while another team read several books under the theme of "commons," and enjoyed exploring, exhibiting, or watching movies together. The main text is composed of three parts. First, I looked at the methods and perspectives to examine the daily life of local people. To this end, the views of Detlev Peukert and Alf Lüdtke, who captured the prospects and the possibilities of theories of daily history, and James C. Scott, who provided insight into infra-politics, were reviewed. This work was to find the perspective and method of daily history research that could observe the activities of Jeonju citizens. Second, we looked at the experience of the "Honbool" meeting. The reading of "Honbool" which took place during the period of confrontation with Covid19 began in connection with its intense locality. As the criticism of "a great writer born in our local land" relieved the uncomfortable feelings, the members' critical mind was revealed after Volume3 of "Honbool" and stood out after Volume6. It seemed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f-consciousness (Eigensinn) of citizens who choose dynamics rather than being stuck to a specific form of empathy (Betroffenheit). I think it showed the difficulty and hope to face in the description and research of local history at the same time. Third, I observed citizens who gathered on the subject of public land. This meeting showed the actuality and accumulation process of the infra-political capabilities of citizens in Jeonju. Reading-commons did not suffer from 'heart trouble' as a local citizen compared to "Honbool". Rather, the difficulty of related books was an obstacle, and the difficulty was easily resolved. As the meeting progressed, awareness of the commons became more sophisticated and issues and discussions were independently shared with each other, and a wealth of hidden transcripts were accumulated through its practice and problem consciousness. It is difficult to think about modern daily life apart from the capitalist era. More fundamentally, it is here and now in everyday life that humans enjoy or suffer from. All history passes through my body here and now. This is the universality of daily history. It depends on the ability of citizens to create daily history to experience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 the distance of criticism.

본고는 전주 시민들의 활동에 대한 체험 및 관찰 보고이다. 이를 위해 시민들의 당대사이자 '작은 사람들(kleine Leute)'의 일상사(Alltagsgeschichite)를 보여주는 일기, 단체카톡방, 메모, 인터뷰 등 텍스트 또는 본디지털(born-digital)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들 시민 모임은 독서모임이자, 등산, 영화 같은 취미도 함께 즐기고 있다. 회원은 평범한 동네 사람들이다. 한 팀은 최명희(崔明姬)의 《혼불》을 약 1년 반 동안 읽으면서 답사를 겸하였고, 또 한 팀은 '공유지(commons)'를 주제로 몇 권의 책을 읽으며 답사, 전시나 영화를 함께 보고 누렸다. 본문은 모두 세 부분 구성하였다. 첫째, 지역민의 일상사를 살필 수 있는 방법과 관점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일상사의 전망과 이론의 가능성을 포착한 포이케르트(Detlev Peukert)와 뤼트케(Alf Lüdtke), 하부정치에 통찰력을 제공한 스콧(James C. Scot)의 견해를 검토하였다. 전주 시민들의 활동을 관찰할 수 있는 일상사 연구의 관점과 방법을 찾기 위해서였다. 이를 토대로, 둘째, 《혼불》 모임의 경험을 살폈다. 코비드(Covid)19와 대결하는 시기에 이루어진 《혼불》 읽기는 강렬한 지역성과 연관되어 시작했다. '지역이 낳은 위대한 작가'에 대한 비판이 불편했던 마음을 내려놓으면서, 회원들의 비판의식은 《혼불》 3권 이후 드러나고 6권 이후 두드러졌다. 특정한 형태의 공감(상심, Betroffenheit)에 고착되기보다 역동성을 택하는 시민들의 자기의식(고집, 아집, Eigensinn)의 성격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였다. 지역사의 서술과 연구에서 맞닥뜨릴 난점이자 희망을 동시에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셋째, 공유지를 주제로 모인 시민들을 관찰하였다. 이 모임은 전주 지역 시민들의 하부정치(infra-politics) 역량의 실제와 축적 과정을 보여주었다. 공유지 읽기는 《혼불》에 비해 지역 시민으로서의 '마음 고생'을 겪지 않았다. 그보다 사유 재산의 이데올로기 속에서 살면서도, 모임이 진행됨에 따라 공유지에 대한 인식이 정교해지고 주체적으로 이슈와 논의를 서로 공유하였고, 그 실천과 문제의식을 통해 풍부한 은닉 대본(hidden transcript)을 축적해갔다. 현대의 일상은 자본주의 시대와 떼어서 생각하기 어렵다. 더 근본적으로 인간이 즐기거나 고통을 당하는 것은 일상 속에서, 지금 여기에서이다. 모든 역사는 지금 여기 있는 내 몸을 거친다. 이것이 일상사의 보편성이다. 일상을 살면서 동시에 비판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은 일상사를 만드는 시민의 역량에 달려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도 전주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따라 이루어졌음.

References

  1. 알프 뤼트케 (1995). The history of everyday life: reconstructing historical experiences and ways of life. 송충기 옮김 (2020). 알프 뤼트케의 일상사 연구와 '아집', 고양: 역사비평사.
  2. 알프 뤼트케 외, Alltagsgeschichte: zur Rekonstruktion historischer Erfahrungen und Lebensweisen. 이동기 외 옮김 (2002), 일상사란 무엇인가, 서울: 청년사.
  3. 앙리 르페브르 (1968), Vie quotidienne dans le monde moderne. 박정자 옮김 (2005). 현대세계의 일상성, 서울: 기파랑.
  4. 이반 일리치 (1981), Shadow work. 노승영 옮김 (2015). 그림자 노동, 고양: 사월의책.
  5. 데이비드 볼리어 (2014). Think like a commoner. 배수현 옮김 (2015), 공유인으로 사고하라, 서울: 갈무리.
  6. 데틀레프 포이케르트 (1982), Volksgenossen und Gemeinschaftsfremde. 김학이 옮김 (2003). 나치 시대의 일상사, 서울: 개마고원.
  7. James C. Scott, (1985). Weapons of the Weak-Everyday Forms of Peasnat Resistanc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8. 제임스 C. 스콧 (1992), Domination and the arts of resistance: hidden transcripts. 전상인 옮김 (2020), 은닉 대본: 지배, 그리고 저항의 예술, 서울: 후마니타스.
  9. 마리아 미즈 (1986), Patriarchy and accumulation on a world scale. 최재인 옮김, (2014).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서울: 갈무리.
  10. 폴 벤느 (1996), Comment on ecrit l'histoire. 김현경, 이상길 옮김 (2004), 역사를 어떻게 쓰는가, 서울: 새물결.
  11. 피터 라인보우 (2014), 서창현 옮김 (2021), 도둑이야!, 서울: 갈무리.
  12. 김귀옥 (2014). 구술사 연구, 파주: 한울아카데미.
  13. 김승종 (2018). 전북지역 문화유산의 활용 방안: 최명희 〈혼불〉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24.
  14. 김윤식 (1999), 헤겔의 시선으로 본 「혼불」. 현대문학이론연구, 12,
  15. 안병직 (2012), 한국 생활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歐美학계의 일상사 연구경향과 비교의 관점에서. 역사학보, 213.
  16. 윤세병 (2020). 경계를 넘어서는 지역사 교육의 모색, 역사교육논집, 75.
  17. 윤택림 편역 (2010), 구술사, 기억으로 쓰는 역사, 서울: 아르케.
  18. 이용기 (2009), 역사학, 구술사를 만나다, 역사와현실, 71.
  19. 이유재 (2020). 독일 일상사 연구와 알프 뤼트케의 삶, 알프 뤼트케의 일상사 연구와 '아집', 고양: 역사비평사.
  20. 이훈상 (2009), 지역사, 지역사의 특성, 그리고 지역사회의 '정체성 만들기', 영남학, 16.
  21. 정호웅 (1997), 박물지(博物誌)의 형식: 최명희 대하소설 「혼불」론. 황해문화, 14.
  22. 최명희 (1996), 혼불, 서울: 한길사.
  23. 허영란 (2013). 한국 구술사의 현황과 대안적 역사쓰기, 역사비평.
  24. 홍성덕 (2015). 전주의 역사문화 정체성과 전주학 연구, 역사와실학, 56.
  25. 오항녕 (2023-1). 「벌건 대낮에 서성대는 도둑들」, 인권연대 발자국통신, 2023년 5월 24일.
  26. 오항녕 (2023-2). '충청 역사'의 시민권과 위상: 지역사의 갈림돌과 권위에 대한 시론, 충청 국학 연구의 현황과 새 지평, 한국유교문화진흥원.
  27. 오항녕 (2023-3). 공유지(the Commons), 문명사 전환의 키워드. 생태환경과 역사, 11.
  28. 오항녕 (2024-1). 「"갈라 묵고 살아야제": 이 세상이 지탱되는 이유」, 인권연대 발자국 통신, 2024년 2월 7일.
  29. 오항녕 (2024-2). 역사학 1교시, 사실과 해석. 서울: 푸른역사.
  30. 오항녕 (2024-3). 기록학, 역사학의 또다른 영역. 서울: 푸른역사.
  31. 오항녕(2024-4). 역사의 오류를 읽는 방법. 파주: 김영사.
  32. 마커스 래디커 (2024). 〈「육식, 노예제, 성별위계를 거부한 생태적 저항의 화신, 벤저민 레이」, 「죽음의 왕, 대서양의 해적들」 출간 기념 마커스 레디커, 데이비드 레스터 화상강연〉, 서울: 갈무리. 2024년 6월 2일.
  33. 피터 라인보우 (2021), "기후 재난의 한복판에 있는 공통장(The Commons in the Midst of Climate Disaster)" https://youtu.be/n2cFbShwfVI. 2021년 11월 6일(토) 강연.
  34. 남원 혼불 문학관
  35. 전주 시민, 혼불 단톡방, 2021~2022년
  36. 전주 시민, '이제는 같이 살자' 단톡방, 2023~2024년
  37. 커먼즈 번역 네트워크(http://commonstrans.net/)
  38. 커먼즈 홈페이지(OnTheCommons.org)
  39. 「전라도닷컴」(http://jeonlado.com/)
  40. 「국가유산기본법」[법률 제20309호]
  41.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법률 제19573호]
  42. 한겨레신문, 한겨레21, 문화일보, 서울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