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부(2022).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8].
- 김민정, 이경화, 송상헌(2008). 초등 수학영재의 대수적 사고 특성에 관한 분석. 학교수학, 10(1), 23-42.
- 김성준(2002). 대수적 사고와 대수 기호에 관한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12(2), 229-246.
- 김성준(2003a). 패턴과 일반화를 강조한 대수 접근법 고찰. 학교수학, 5(3), 343-360.
- 김성준(2003b). '초기대수'를 중심으로 한 초등대수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13(3), 309-327.
- 도주원, 백석윤(2020). 초등 수학에서의 미지수 표현방식에 대한 다차원 교육과정적 관점에서의 논의. 학교수학, 22(2), 355-372.
- 방정숙, 김승민(2018). 수와 연산 성질의 일반화에 대한 초등 수학 교과서 분석. 학교수학, 20(1), 251-267.
- 선우진, 방정숙(2019). 곱셈의 연산 성질을 강조한 초등 수학 수업에 따른 3학년 학생들의 이해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3(1), 143-168.
- 송영무, 양두레(1997). 산술에서 대수로의 이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장애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5, 423-442.
- 우정호, 김성준(2007). 대수의 사고 요소 분석 및 학습-지도 방안의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17(4), 453-475.
- 이지영(2010). 초기 대수(Early Algebra)적 관점에 따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분수 연산 감각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현주(2016).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일반화된 산술로서의 대수적 추론 능력 신장 방안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화영, 장경윤(2012). 초등학생의 대수 추론 능력과 조기 대수(Early Algebra) 지도(1). 학교수학, 14(4), 445-468.
- 이혜민(2011). 산술과 대수적 사고의 연결을 위한 분수 scheme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14(3), 261-275.
- 임미인, 장혜원(2018). 수와 연산 영역에서 부진을 경험한 중학생의 산술적 사고 수준 변화 및 대수적 사고로의 이행에 관한 사례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8(3), 345-365.
- 정선아(2014). 나눗셈 문장제 해결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문장제 구성요인 및 오류의 심리적 배경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선미(2021). 대수적 사고를 강조한 분수 나눗셈 수업 및 학생들의 이해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최지선, 나귀수(2023). 한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초기대수 내용의 변화. 수학교육학연구, 33(2), 447-477.
- 최지영(2011). 초등학교에서의 대수적 추론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방향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태순영(2012). 시선 추적 기법을 활용한 초등 수학 문장제 읽기 과정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Blanton, M. L., & Kaput, J. (2005). Characterizing a classroom practice that promotes algebraic reason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6(5), 412-446.
- Blanton, M., Levi, L., Crites, T., & Dougherty, B. (2011). Developing essential understanding of algebraic thinking for teaching mathematics in grades 3-5. NCTM.
- Blanton, M. L., Stephens, A., Knuth, E., & Gardiner, A. M. (2015). Development of children's algebraic thinking: The impact of comprehensive early algebra intervention in third grade.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6(1), 39-87. https://doi.org/10.5951/jresematheduc.46.1.0039
- Booth, J. L., Newton, K. J., & Twiss-Garrity, L. K. (2014). The impact of fraction magnitude knowledge on algebra performance and learning.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118, 110-118. https://doi.org/10.1016/j.jecp.2013.09.001
- Carpenter, T. P., Franke, M. L., & Levi, L. (2003). Thinking mathematically. Heinemann.
- Carpenter, T. P., & Levi, L. (2000). Developing conception of algebraic reasoning in the primary grades(Research Report No. 00-2). National Center for Improving Student Learning and Achievement in Mathematics and Science.
- Empson, S. B., Levi, L., & Carpenter, T. P. (2011). The algebraic nature of fractions: Developing relational thinking in elementary school. In J. Cai, & E. Knuth (Eds.), Early algebraization: A global dialogue from multiple perspectives (pp. 277-301). Springer.
- Kaput, J. J. (1998). Transforming algebra from an engine of inequity to an engine of mathematical power by "algebrafying" the K-12 curriculum. In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 Mathematical Sciences Education Board (Eds.), The nature and role of algebra in the K-14 curriculum: Proceedings of a National Symposium (pp. 25-26). National Academies Press.
- Kaput, J. J. (2008). What is algebra? What is algebraic reasoning? In J. J. Kaput, D. W. Carraher, & M. L. Blanton(Eds.), Algebra in the early grades (pp. 5-18).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Kaput, J. J., & Blanton, M. L. (2001). Student achievement in algebraic thinking: A comparison of 3rd graders' performance on a 4th grade assessment. In R. Speiser, C. A. Maher, & C. N. Walter (Eds.), Proceedings of the 23rd Annual Meeting of the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Vol.1 (pp.99-108). ERIC Clearinghouse for Science, Mathematic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Lee, M. Y. (2019). A case study examining links between fractional knowledge and linear equation writing of seventh-grade students and whether to introduce linear equations in an earlier grade. International Electronic Journal of Mathematics Education, 14(1), 109-122.
- Mason, J. (2008). Making use of children's powerst produce algebraic thinking, In J. J. Kaput, D. W. Carraher, & M. L. Blanton (Eds.), Algebra in the early grades (pp. 19-55). Lawrence Erlbaum.
- Russell, S. J., Schifter, D., & Bastable, V. (2011). Developing algebraic thinking in the context of arithmetic. In J. Cai & E. Knuth (Eds.), Early algebraization: A global dialogue from multiple perspectives (pp. 43-69). Springer.
- Siegler, R., Duncan, G., Davis-Kean, P., Duckworth, K., Claessens, A., Engel, M., & Chen, M. (2012). Early predictors of high school mathematics achievement. Psychological Science, 23(10), 691-697. https://doi.org/10.1177/0956797612440101
- Silla, E. M., Barbieri, C. A., & Newton, K. J. (2024). Procedural flexibility on fraction arithmetic and word problems predicts middle-schoolers' differential algebra skill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16(2), 195-211. https://doi.org/10.1037/edu0000822
- Usiskin, Z. (1988). Conceptions of school algebra and uses of variables. In A. Coxford, & A, Shulte (Eds.), The ideas of algebra, K-12 (pp. 8-19). NCTM.
- Warren, E. (2004). Generalizing arithmetic: Supporting the process in the early years. In M. J. Hoines, & A. B. Fuglestad (Eds.), Proceedings of the 28th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Vol 4, pp. 417-424). Bergen University College.
- Wu, H. (2001). How to prepare students for algebra. American Educator, 25(2), 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