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ooking One Year Back at the Work of the Science Chief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Focus on Planning, Implementation, Management, and Supplementation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부장 업무 1년 돌아보기 - 계획·실행과 관리·보충의 관점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24.04.16
  • Accepted : 2024.05.23
  • Published : 2024.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Science Chief Teachers in schools, focusing on the specific activities in which they engage during the school year as a part of the science curriculum in the school. To do so, fiv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who were in charge of the activities of the Science Chief Teacher in elementary schools. After the interviews, their activities and roles were categorized into "planning and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and supplementation." In addit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sked to bring documents they had drafted and provide information about accomplishments related to science contests, lists of materials and equipment used in science labs, and other materials to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the research. As prompted by the research, the category of "planning and implementation," which represented the activities conducted by the Science Chief Teachers, was further classified into "operation of the intramural events for the Month of Science at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participation in contests sponsor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the intramural events," " the operation of the science club in school," and "preparation for the end of the year evaluation of the science education performance." As for the category of "management and supplementation," it was further classified into "constant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the science lab," "maintenance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service officials present at science lab," and "management of other matters related to the science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look into the activities of the Science Chief Teachers who supported the smooth progress of science education in schools.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of the Chief Science Teachers and indicate the difficulties expect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학교 과학교과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과학부장들의 업무에 초점을 두고 1년 동안 구체적으로 어떠한 일을 하는지 경험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서 과학부장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5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고 연구자와 면담을 통해 과학부장의 업무와 역할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과 관리하고 보충하는 것으로 범주화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에게 자신이 기안한 문서, 과학대회 관련 성과물, 과학실 기자재 목록 등을 가져오게 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데 참고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부장들이 계획하고 실행하는 부분에서는 '학년 초 과학의 달 교내 행사 운영', '교내 행사 결과에 따른 교육청 대회 출전', '교내 과학동아리 운영', '연말 과학교육 실적 심사 준비'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관리하고 보충하는 부분에서는 '수시로 이루어지는 과학실 관리 및 개선', '과학실 상주 교육공무직과의 관계 유지', '과학교육과 관련 있는 기타 사항 관리'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에서 과학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과학부장의 업무를 살펴볼 수 있었고 추후 업무의 효율성과 어려움 개선을 위하여 여러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희(2020). 학교 규모에 따른 교사 업무량과 시간 차이 비교 분석: 인천 공립 초등학교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동렬(2019). 초등학교 '과학의 달' 가정 통신문의 안내말 및 행사 분석. 교육논총, 39(1), 123-142.
  3. 김명희, 김영신(2012). 초, 중등학교 과학 실험실 및 교수환경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선호와 실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0), 1567-1579.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10.1567
  4. 김영천, 정정훈(2003). 잔인한 3월: 한국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3월의 삶에 대한 생애사 연구. 초등교육학연구, 10(1), 49-78.
  5. 김용재(2005). 과학행사에 관한 중⋅고등학교 과학부장교사의 인식 비교.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욱(2004). 학교 규모에 따른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수준 비교.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은하, 권혁순(2016). 과학전람회에 참여하는 초등학생들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 (1), 113-123.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1.0113
  8. 김지나, 주은정(2021). 어포던스를 활용하여 학교 가는 길의 일상적 경험을 생태적 경험으로 전환하기. 환경교육, 34(4), 377-394. https://doi.org/10.17965/KJEE.2021.34.4.377
  9. 김진욱, 이종진, 백영경, 안유민(2023). 지도교사의 목소리를 통한 학교 밖 과학 탐구 활동으로서 전국과학전람회의 현주소.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6(2), 196-209. https://doi.org/10.15523/JKSESE.2023.16.2.196
  10. 김형욱, 강신철, 홍옥수(2022). 미래교육을 위한 과학관의 역할 탐색: 과학관 이용 경험 및 공간 수요 조사를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26(1), 68-79. https://doi.org/10.24231/RICI.2022.26.1.68
  11. 박남기, 김선미(2006). 초등학교 학년부장교사의 학년 및 학교업무 부담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3(2), 5-36.
  12. 박승재, 조희형(1999). 교수-학습 이론과 과학교육. 교육과학사.
  13. 박재정(2014). 초등학교 체육부장의 1년 업무 돌아보기.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9(4), 65-81.
  14. 박종덕, 조흥순(2021). 중학교 교사가 경험하는 학교 업무갈등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 방법의 적용. 교육정치학연구, 28(2), 111-139.
  15. 박희진, 남미, 권동택(2018). 국내 혁신학교 기본가치와 운영 평가 비교 연구. 비교교육연구, 28(6), 131-152.
  16. 소연희(2017). 초등교사가 지각한 학교조직 창의적 작업환경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변화신념의 매개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35(3), 103-127.
  17. 신영준, 곽영순(2021).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비한 과학과 통합과학 및 과학탐구실험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45(2), 143-155. https://doi.org/10.21796/JSE.2021.45.2.143
  18. 오원근, 김재우, 금주혜, 김병로, 김순주, 성을선, 신지은, 이정원, 이현자, 정지원, 조선희, 조현재, 주석, 최은경(2003). 중학교 과학 실험실 및 기자재 실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새물리, 47(1), 1-9.
  19. 이남희, 임희준(2016). 과학경연대회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35(1), 89-97.
  20. 이은주, 김병찬(2013). 초등학교 교사문화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 초등교육연구, 26(2), 1-28.
  21. 이재용, 최준섭, 권용준, 김기홍, 이세중(2022). 미래형 혁신학교의 행정혁신을 위한 교육활동지원공동체 운영방안 탐색. 학교와 수업 연구, 7(1), 141-177. https://doi.org/10.23041/JSST.2022.7.1.006
  22. 이정아, 맹승호, 김찬종(2007). 과학의 달 행사에 대한 다섯 목소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7), 612-625.
  23. 임차미, 양성호(2022).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실험실 활용수업 실태와 인식 분석, 그리고 증진 방안 탐색. 현장과학교육, 16(4), 459-471. https://doi.org/10.15737/SSJ.16.4.202210.459
  24. 전해영, 정혜영(2023). 초등학교 교무부장이 인식하는 업무 특성과 경험 탐색: 온라인 단체대화방 내용을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27(5), 452-466. https://doi.org/10.24231/RICI.2023.27.5.452
  25. 정형수, 양정호(2016). 초등학교 신규교사의 학교업무 수행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3(4), 297-328. https://doi.org/10.24211/TJKTE.2016.33.4.297
  26. 채동현, 이수영(2003). 과학동산 운영에 관한 질적 연구. 초등과학교육, 21(2), 263-288.
  27. 채희인, 노석구(2023). 초등학교 교사의 2015 개정 과학과 검정 교과서 선정 경험 분석. 초등과학교육, 42(1), 194-209.
  28. 하봉운(2022). 학교 비정규직 연구: 교육공무직원을 중심으로. 교육비평, 49, 44-75.
  29. 홍옥수, 김경미, 이재영, 김율(2022). 지능형 과학실의 개념과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2), 177-184. https://doi.org/10.14697/JKASE.2022.42.2.177
  30. 황선필, 김병찬(2021). 초등학교 업무 부장교사 리더십 현상과 의미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교육행정학연구, 39 (1), 217-250.
  31. Elliott, M. (2006). On the role of the laboratory in learning chemistry. Ph.D. Thesis,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32. Hirca, N. (2014). Effect of summer science camp on Turkish gifted students' views of nature of science. Gifted and Talented International, 29(1-2), 21-31. https://doi.org/10.1080/15332276.2014.11678426
  33. Hodson, D. (1998).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Towards a personalized approach. Buckingham, PA: Open University Press.
  34. Lorties, D. (1975). Schoolteacher: A sociological study.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and London.
  35. Merriam, S. B. (2009).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San Francisco, CA: Jossey Bass.
  36. The National Science Teacher Association (NSTA). (1998). Informal science education: Position statement of the National Science Teacher Association.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28, 17-18.
  37. Wellin, C. (2007). Narrative interviewing. Gerontology & Geriatrics Education, 28(1), 79-99. https://doi.org/10.1300/J021v28n01_06
  38. Wellington, J. (1994). Using information learning to enrich science education. In Secondary science: Contemporary issues and practical approaches (pp. 284-294). Routledge: London &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