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a Project-Based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on Young Children's Awareness of Sustainable Development, Ecological Literacy,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프로젝트 접근법에 기반한 유아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지속가능발전인식, 생태소양,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 Gowoon Park ;
  • Jihyun Kim
  • 박고운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
  • 김지현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 Received : 2024.02.01
  • Accepted : 2024.07.25
  • Published : 2024.07.31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implement an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a project approach, to investigate its effectiveness in enhancing sustainable development awareness, ecological literacy, and problem-solving skills. Methods: In this study, 56 five-year-old children from a preschool in S City were assigned to either a quasi-experimental group or a control group, with 28 children in each group. The project-based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was conducted from July 14 to September 15, 2023. The experimental group explored the themes of 'marine life' and 'pets and animal welfare,' while the control group focused on different topics. The research employed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project-based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effectively enhanced young children's awareness of sustainable development, ecological literacy, and problem-solving skill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developing an integrated, project-based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within a play-centered curriculum. It demonstrates how sustainable values can be effectively incorporated into play. Furthermore, the findings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implementing educational and childcare programs that nurture young children to become ecological citizens, leading sustainable futures.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숙, 문혁준 (2014).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녹색성장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자연환경 감수성 및 환경보전태도에 미치는 효과. 보육지원학회지, 10(5), 113-158.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5.133
  2. 교육부 (2020). 유치원 교육과정. https://www.law.go.kr/행정규칙/유치원교육과정/(2019-189,20190724)에서 2023년 8월 23일 인출
  3. 교육부 (2021). 교육기본법. https://www.law.go.kr/법령/교육기본법에서 2023년 8월 23일 인출
  4. 김다원, 김세미, 문은주, 윤정, 최규식, 한효의 (2022). 지속가능발전교육, 어떻게 할까? 서울: 푸른길.
  5. 김미숙 (2005).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을 통한 유아의 수학적 사고과정의 변화.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세루 (2023). 놀이중심 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생태소양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32(2), 5-19.
  7. 안종복 (2022). 생태전환교육 목표 체계 구축 및 성과관리 방안 연구. 서울: 서울교육정책연구소. https://sjeec.or.kr/bdread/policy/248?에서 2024년 9월 3일 인출
  8. 김은혜 (2019). 유아 지속가능발전인식 검사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김은혜, 김경철 (2020). 유아 지속가능발전인식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40(2), 65-95.
  10. 문은자 (2000). 소집단 과학 활동이 전개유형이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박인영 (2017). PBL(Problem Based Learning) 접근에 기초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대인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부은순 (2021). 유아를 위한 제주형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제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서울시 교육청 (2020). 생태전환교육 중장기 발전계획. 서울: 서울특별시 교육청. https://buseo.sen.go.kr/buseo/bu12/user/bbs/BD_selectBbs.do?q_bbsSn=1266&q_bbsDocNo=20200619085853000에서 2023년 8월 23일 인출
  14. 서울시 교육청 (2021). 생태전환교육 목표 체계 구축 및 성과관리 방안 연구 (위탁연구 보고서).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https://sjeec.or.kr/board/2023/06/16/1686903044_f496bb0165e73bf7a69c.pdf 에서2023년 8월 23일 인출
  15. 신미숙 (2015). 유아를 위한 지역사회자원 활용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안경숙 (1992). 전통적 과학교수방법과 지적갈등 유도에 의한 과학교수방법의 효과연구.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오채선, 김경철, 한유진, 김은혜, 김지성, 김영연, 은연아 (202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실천적 유아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 유아교육 진흥원.
  18. 유광재, 김지현 (2023). 유아 대상 프로젝트 접근법 기반 공학적 STEAM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수학적 문제해결력,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9(4), 29-52. https://doi.org/10.14698/jkcce.2023.19.04.029
  19. 이문강 (2002). 교수학습유형에 따른 과학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력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 이미진, 김지은 (2014). 녹색성장교육에 기초한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태도 및 행동에미치는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2).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2.153
  21. 이정미 (2014). <자원재활용>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유아의 환경보전 인식 및 실천적 태도 형성. 대구교육대학교석사학위논문.
  22. 임진경 (2017). 유아 생태소양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가천대학교 국내박사학위논문.
  23. 장경혜 (1994). 탐구학습중심 과학교수 방법이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에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정기섭 (2010).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발도르프교육연구, 2(1), 65-96.
  25. 정미애, 손영수 (2009). 프로젝트 접근법 교육활동을 통한 유아 문제해결력 발달에 관한 해석학적 연구. 아동교육, 18(4), 185-200.
  26. 정애경, 서윤희, 지옥정, 조부경 (2015).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지속가능발전지향유아환경교육 관련 활동 분석. 유아교육연구, 35(4), 59-79.
  27. 정해현 (2015). 만 5세 유아의 환경에 대한 태도 향상을 위한 '우리 동네 공원' 프로젝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조부경, 지옥정, 김경철, 정아림 (2016). 유아환경교육관과 연계한 유치원의 멸종위기동물 환경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감수성 및 생명존중인식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6(2), 345-367.
  29. 조소현 (2013).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조형숙, 지성애, 남기원, 고선아, 최재원 (2015). 서울형 유아교육과정 지원을 위한 유아자연친화교육 프로그램. 서울: 유아교육진흥원.
  31. 지옥정 (2011). '지속가능성을 위한 유아교육' 사례로서의 '무심천 프로젝트'에 나타난 유아들의지역사회 참여 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6(6), 363-382.
  32. 최가영 (2023).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 내용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최은영, 도남희, 김은정, 장혜진, 김민주, 이솔미 (2020). 영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34. 채순희 (2002). 프로젝트 접근법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환경부 (2019).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 수립 보고서 2019. 서울: 환경부. https://kostat-sdg-kor.github.io/sdg-indicators/public/report/1572586046142_K-SDGs_report.pdf에서 2023년 8월 23일 인출
  36. 홍서영 (2020). 텃밭 가꾸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생태 소양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3), 595-618.
  37. Brundtland, G. H. (1987). Our common future-call for action. Environmental Conservation, 14(4), 291-294.
  38. Capra, F. (1995). The web of life. Harper Collins. USA, NY: Anchor Books.
  39. Davis, J. (2010). What is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and why does it matter? In J. M. Davis (Ed.), Young children and the environment: Early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pp. 21-42). Cambridge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1017/cbo9781107280236.004
  40. Davis, J., & Elliott, S. (2003).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Making it mainstream. Early Childhood Australia Inc.
  41. Katz, L. G., & Chard, S. C. (1993). The Project Approach. In J. L. Roopnarine & J. E. Johnson (Eds.), Approache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2nd ed. (pp. 209-222). NY: Merrill.
  42. Lang, J. (2007). How to succeed with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Curricutum Cooperation.
  43. Orr, W.D. (1992). Ecological literacy: Education and the transition to a postmodern world, SUNY Press.
  44. Saraj-Blatchford, J., Smith, K. C., & Samuelson I. P. (2012).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박은혜 신은수 역).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원서 2010년 출판).
  45. Taylor, N., Littledyke, M., & Eames, C. (2009). Why do we need to teach edcaution for sustainability at the primary school level? In M. Littledyke, N. Taylor, & C. Eames. (Eds.),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in the primary curriculum: A guide for teachers. (pp. 1-7). South Yarra, Australia: Palgrave Macmillan.
  46. Tegano, D.W., Sawyers, J.K., & Moran, J.D. (1989). Problem-finding and solving in play. Childhood Education, 66(2), 92-97.
  47. Tillbury, D. (1994).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a basis for a teacher education model?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nformation, 13(1): 1-20.
  48. Trepanier-Street. M (1993). What's so new adout the projrct approach? Childhood Education, 70(2), 25-28.
  49. UNESCO. (2008). The contribu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a sustainable society. https://unesdoc.unesco.org/ark:/48223/pf0000159355에서 2023년 9월 3일 인출
  50.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1987). Our common futur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https://sustainabledevelopment.un.org/content/documents/5987our-commonfuture.pdf에서 2023년 9월 3일 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