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경력단절여성 진로장벽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areer Barrier Scale for Career Interruption Women

  • Ae Ri Kim (Mind Builders, Coaching Psychological Counseling Institute) ;
  • Jin Kook Tak (Kwangwoon University)
  • 투고 : 2024.03.19
  • 심사 : 2024.04.04
  • 발행 : 2024.04.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여성 대상 진로장벽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조사 대상은 과거 취업 경험이 있고, 재취업을 희망하고 있으며, 결혼, 임신, 출산, 육아, 가족 돌봄 등의 이유로 퇴직을 경험한 만 20세~54세까지의 기혼여성으로 경력단절 기간은 1년 이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1에서는 문헌 검토, 경력단절여성 10명 대상 일대일 심층 인터뷰, 경력단절여성 100명 대상 개방형 설문을 실시 하여 7개요인 63개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도출한 63개 문항으로 경력단절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6개 요인 39문항을 도출하였다. 연구 3에서는 연구 2에서 최종 도출된 39문항과 연구대상에게 중요한 문항이라 판단되었으나 제거된 일부 문항을 추가하여 44문항으로 본조사를 실시 하였다. 경력단절여성 6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본조사에서는 본 검사의 구성개념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전체 표집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 1(G1, N=309)은 탐색적 요인분석, 집단 2(G2, N=291)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집단 1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6요인 34문항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요인의 모형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해 집단 2(G2)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 하였으며 모형적합도 기준에 충족됨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진로장벽 척도의 수렴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기존 여자 대학생 진로장벽 검사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 경력단절여성 진로장벽 척도와 여자 대학생 진로장벽 검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준거 관련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취업준비행동, 취업스트레스, 상태불안, 삶의 만족도 변인들과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실무적, 정책적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areer barrier factors experienced by career interruption women, develop a tool to measure career barrier, and verify their validity. To this end,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by reviewing literature, conducting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ith 10 women on career interruption, and conducting an open questionnaire with 100 women on career interrup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arried women aged 20 to 54 who had past employment experience, wanted to be re-employed, and experienced retirement due to marriage, pregnancy, childbirth, childcare, and family care, and the period of career interruption was selected for more than one year. After that, 63 questions were selected for 7 factors.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300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 in Korea, and as a result, 63 questions of 6 factors were deriv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with 44 questions of 6 factors by partially modifying the questions reflecting the important concepts in each factor. In this survey of 600 people,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onstituent concept of this test, the entire sample was divided into two groups, and group 1 (G1, N=309)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group 2 (G2, N=291) conduc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Group 1, 34 questions of 6 factors were finally derived,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Group 2(G2)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model fit of the derived factor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el fit criteria were met. In order to verify the convergence validity of the developed career barrier scale,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career barrier test for female college students,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areer barrier scale for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 and the career barrier test for female college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riterion, the results of a correlation analysis with variables of job preparation behavior, job stress, state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were all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the academic, practical, and policy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민정, 김은지, 장미혜, 김동식 (2022). 새 정부 양성평등 정책의 전망과 과제. 개원 39주년 기념세미나. 한국여성정책연구원. https://www.kwdi.re.kr/research/seminarView.do?p=2&idx=129983 보도자료.
  2. 강인혜, 유금란 (2020).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취업불안의 관계에서 지각 된 진로장벽을 통한 삶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33(1), 21-42. DOI : 10.32341/JCER.2020.03.33.1.21
  3. 강현철 (2013). 구성타당도 평가에 있어서 요인분석의 활용. 대한간호학회지, 43(5), 587-594.
  4. 국미애, 박은하, 안유진 (2014). 서울여성의 복합적 빈곤력 분석을 통한 지원 방안 연구.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2014.
  5. 국미애 (2018). 경력단절여성, 왜 직장을 그만 두는가. 여성학연구, 28(1), 251-282. https://doi.org/10.22772/pnujws.28.1.201804.251
  6. 김경수, 김장환, 최명수, 박진기, 엄대영(2011). 체육전공자 진로장벽 검사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20(4), 153-167.
  7. 김계수 (2007).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한나래.
  8. 김민선, 박희진(2022). 다문화 청년들의 진로장벽과 삶의 관계에서 진로목표 불일치,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진로교육연구, 35(3), 1-27.
  9. 김봉환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애리, 탁진국 (2022). 대학생의 강점인식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연구. 청소년학연구, 29(8), 247-271. https://doi.org/10.21509/KJYS.2022.08.29.8.247
  11. 김언희, 김병석 (2017). 경력단절여성의 역할지향성에 따른 직업가치 인식과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학력 차이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1), 173-193.
  12. 김영경 (2007).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경력개발계획과 재취업교육 요구분석 연구. 여성연구, 73(2), 85-118. DOI : 10.33949/tws.2007.73.2.003
  13. 김원호, 김동일 (2011). 장애 대학생용 진로장벽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장애인 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1(2), 5-25. http://dx.doi.org/10.15707/disem.2011.21.2.001
  14. 김은영 (2002). 한국 대학생 진로탐색장애검사(KCBI)의 개발 및 타당화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1), 219-240. UCI : G704-000523.2002.14.1.003 G704-000523.2002.14.1.003
  15. 김정민, 이희수 (2023).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숭실대학교 평생교육․HRD연구, 19(1), 111-140. https://doi.org/10.35637/klehrd.2023.19.1.005
  16. 김정원, 조대연, 박지원, 장은하 (2023). 경력단절여성에게 필요한 성인역량에 관한 요구 분석. 문화와 융합, 45(3), 403-416.
  17. 김정택, 신동균 (1978). STAI 한국표준화에 관한 연구. 최신의학사, 21(11), 69-75.
  18. 김정희, 변상해 (2016). 직업교육과 경력단절여성의 창업의지, 재취업욕구의 관계 연구, 벤처창업연구, 11(4), 237-246. https://doi.org/10.16972/apjbve.11.4.201608.237
  19. 김주섭 (2017).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진로장벽 및 취업준비행동 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24(2), 141-166. https://doi.org/10.21509/KJYS.2017.01.24.2.141
  20. 김진미 (2013). 특성화고등학생 진로장벽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3(8), 179-187. https://www.riss.kr/link?id=A108284257
  21. 김향수, 채규만(2014).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1(2), 1-26. UCI : I410-ECN-0102-2015-300-000581508 I410-ECN-0102-2015-300-000581508
  22. 김현정, 이순화, 천성문 (2018). 경력단절여성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42(1), 153-174. https://doi.org/10.33071/ssricb.42.1.201804.153
  23. 김홍석 (2013). 대학생의 취업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관계 분석. 상담학연구, 14(2), 1165-1187. https://doi.org/10.15703/kjc.14.2.201304.1165
  24. 나이스경제(2022). [나이스 경제학개론] 비경제활동인구, 실업자, 쉬었음 등...개념 차이는? 2020년 11월 4일자.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9879511&memberNo=42894257&vType=VERTICAL
  25. 동아일보. "한국여성 고용률은 M자형 곡선, 20대에 최고점 → 30대 급락." 2021년 3월 19일자.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319/105954061/1
  26. 머니투데이. "韓 여성 경제활동, OECD 38개 국가 중 31위 日에 뒤처져" 2022년 9월 17일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091613513675378
  27. 문란영 (2013).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문은식 (2005).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 및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교육심리학연구 19(4), 1087-1108.
  29. 박노동 (2011). 대전시 고학력 경력단절여성 실태분석 및 재취업 활성화 방안. 대전발전연구원.
  30.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박태정 (2019). 재취업구직자의 진로정체감, 회복탄력성, 취업역량, 구직행동 간의 관계 연구. 서울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2. 박혜주, 김은주, 천성문 (2012). 대학생 취업장벽 척도개발. 대학생연구, 18(1), 1-27.
  33. 박효진, 은선경 (2012). 경력단절 경험을 가진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미취학 자녀를 둔 여성의 일-가족양립정책과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7(1), 5-29. UCI : G704-001932.2012.17.1.007
  34. 배병렬 (2014). Amos 21 구조방정식모델링:원리와 실제. 청람
  35. 법제처 (2022).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
  36. 서용한, 야부토스하루 (2017). NCS 확산을 위한 경력단절여성 직업교육과 커리어 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정보학회, 36(2), 207-221. https://doi.org/10.29214/damis.2019.38.3.009
  37. 선곡유화, 서우석 (2022). 다문화 초등학생의 진로장벽 측정 도구 개발 및 타당화. 다문화교육연구, 15(4), 49-75. https://doi.org/10.14328/MES.2022.12.31.49
  38. 성태제, 시가자 (2020). 연구방법론. 학지사.
  39. 소용준, 박준성 (2016). 대학생활 적응에 따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취업불안의 매개효과 검증. 취업진로연구, 6(4), 23-44. https://doi.org/10.35273/jec.2016.6.4.002
  40. 손은령 (2001). 女子大學生이 知覺한 進路障壁.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UCI : I410-ECN-0102-2014-300-001739144
  41. 손은령 (2004). 진로선택과정에서 지각된 진로장벽의 역할. 상담학연구, 5(3), 623-635. UCI : I410-ECN-0102-2014-300-001740467 10-ECN-0102-2014-300-001740467
  42. 손은령, 김계현 (2002). 여자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14(1), 121-139. UCI : G704-000523.2002.14.1.004 G704-000523.2002.14.1.004
  43. 신수정, 이인희 (2018). 미용전공대학생의 미용교육만족도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취업준비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 25(2), 446-454. UCI : I410-ECN-0102-2019-500-001353502
  44. 신연하, 이동명 (2018). 사회적 지지가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8(7), 138-152. https://doi.org/10.5392/JKCA.2018.18.07.138
  45. 여성가족부, 고용노동부 (2020).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사업지침. 여성가족부 경력단절여성지원과. https://www.mogef.go.kr/mp/pcd/mp_pcd_s001ddo?mid=plc500&bbtSn=704829
  46. 오민아, 강태훈 (2020).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중복부하 문항 활용을 위한 통계적 방법 탐색. 교육평가연구, 33(3), 603-627.
  47. 유수복, 윤혜미 (2014).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9(3), 405-421. UCI : I410-ECN-0102-2015-300-000208455 I410-ECN-0102-2015-300-000208455
  48. 유정이, 김수리, 이수림 (2016). 30대 대졸 경력단절 기혼 여성의 재취업 시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4), 931-964. UCI : G704-001586.2016.16.4.008 G704-001586.2016.16.4.008
  49. 유희정 (2015).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장벽 지각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의 매개 효과. 교육치료연구, 7(2), 261-280.
  50. 이건석, 배활립, 김대호 (2008). 불안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판 상태불안척도의 요인분석. 대한불안의학회지, 4(2), 104-110.
  51. 이수분, 박수홍 (2020). 경력단절여성의 경력개발행동 척도개발 및 유형탐색: 고용가능성, 사회적지지, 진로장벽 지각을 중심으로. 평생교육․HRD연구, 16(3), 31-62. https://doi.org/10.35637/klehrd.2020.16.3.002
  52. 이숙자 (2022). 경력단절여성이 인식하는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13(6), 4667-4678. https://doi.org/10.22143/HSS21.13.6.323
  53. 이순묵 (2010). 요인분석의 기초. 파주: 교육과학사.
  54. 이아라, 손보영, 이주영 (2018). 다문화 청소년 진로장벽 척도 개발 연구. 상담학연구, 19(5), 257-272. https://doi.org/10.15703/kjc.19.5.201810.257
  55. 이아라, 이주영 (2020). 고령자용 진로장벽 척도 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3), 221-241.
  56. 이연정, 이장희, 이상민 (2023). 초심상담자 진로장벽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심리학회, 35(1), 63-83. https://doi.org/10.23844/kjcp.2023.02.35.1.63
  57. 이재은, 조영아 (2017). 대학생의 강점인식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9(3), 113-132. https://doi.org/10.23840/agehrd.2017.49.3.113
  58. 이정희 (2014). 일․가족 양립 문제의 시대적 변화에 대한 고찰. 여성연구, 86(1), 281-3, 24. https://doi.org/10.33949/tws.2014..1.009
  59. 임영진 (2012). 한국판 삶의 만족도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경찰공무원, 학생,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31(3), 877-896. UCI : G704-001037.2012.31.3.015 1037.2012.31.3.015
  60. 전연숙, 강혜영 (2010). 탈북여성의 진로장벽 지각: 연령별, 학력별, 남한거주기간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3), 469-487. https://doi.org/10.18205/kpa.2010.15.3.008
  61. 정성미 (2023). 경력단절 예방을 통한 여성고용확대 방안. 한국노동연구원, 215, 42-60. 
  62. 정선형, 탁진국 (2011). 성인용 구직장애요인탐색 검사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4), 1165-1188. UCI : G704-001037.2011.30.4.012 G704-001037.2011.30.4.012
  63. 정환호 (2020). 음악전공자용 진로장벽검사도구(MCBI)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음악교육공학, 44, 23-41.
  64. 조규판 (2008). 취업불안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46(2), 53-75.
  65. 조명한, 차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집문당
  66. 천만봉, 이종구 (2013). 대졸 취업 예정자들의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진로의식성숙과 자기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20(6), 191-214.
  67. 최명옥, 류정희 (2021). 경력단절여성의 자기성장주도성이 경력계획에 미치는 영향: 진로장벽 인식의 매개효과. 인문사회21, 12(1), 1533-1544. https://doi.org/10.22143/HSS21.12.1.108
  68. 최윤정, 정해숙, 반가운, 김상미 (2016). 취업 및 비취업 여성의 역량 실태와 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6, 1-318.
  69. 탁진국 (2020). 코칭심리학. 서울: 학지사
  70. 탁진국 (2022). 심리검사: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학지사.
  71. 통계청 (2022). 2022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 KDI 경제정보센터.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32306&topic= 보도자료.
  72. 하애란 (2010). 여성고용지원을 위한 노동법적 과제-여성의 경력단절요인과 재취업욕구를 중심으로. 여성정책논집, 10, 471-508. https://doi.org/10.5392/JKCA.2017.17.09.310
  73. 헤드라인뉴스. "한국 여성 경제활동참가율․ 고용율, OECD 37개국 중 최하위권" 2021년 3월 18일자. https://www.iheadlin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492
  74. 한국경제연구원(2021). 35~39세 여성고용률, 韓 59.9% vs. G5 76.5%... 16.6%p 격차. https://www.keri.org/forum/press-release/2021-03-18-35-39se-yeoseonggoyongryul-han-59-9-vs-g5-76-5-16-6-p-gyeogca 보도자료.
  75. 홍진주, 정세미, 조수민, 김은정 (2023).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성과평가 지표개발 연구. 인문사회21, 14(1), 3539-3554. UCI : I410-ECN-0102-2023-300-001113587 I410-ECN-0102-2023-300-001113587
  76. 황매향, 이은설, 유성경 (2005). 진로 상담 청소년용 여성 진로장벽 척도의 개발 및 구인타당도 검증. 상담학연구, 6(4), 1205-1223. UCI : G704-001281.2005.6.4.009
  77. 황수경, 권혜자, 김인선 (2006).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을 위한 맞춤형 직업훈련 지원연구. 교육인적자원부.
  78. Adler, N.J. (1993).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on the barriers to the advancement of women managers. Applied Psychology, 42 (4), 289-300. https://doi.org/10.1111/j.1464-0597.1993.tb00745.x
  79.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80. Bandura, A. (1999). Social cognitive theory of personality. Handbook of personality, 2(1), 154-196.
  81. Betz, N. E. (2006). Basic issues and Concepts in the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of Women. In B. Walsh & M. J. Heppner(Eds.), Handbook of career counseling for women, 45(74), Mahwah, NJ: Lawrence Erlbaum. https://psycnet.apa.org/record/2006-00546-002
  82.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136-162. Newbury Park, CA: Sage.
  83. Cansu, A. S. (2013). Career Barriers for Women Executives and the Glass Ceiling Syndrome: The Case Study Comparison between French and Turkish Women Executives.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75(3), 488-497. https://doi.org/10.1016/j.sbspro.2013.04.053
  84. Caroline, L. D., & Marilyn, J. D. (1994). Policies and Practices to Encourage Women Returners: A Case study, Women in Management Review, 9(7), 4-14.
  85. Cohen, S. & Hoberman, H.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86. Cohen, J. (1992). A power primer. Psychological Bulletin, 112(1), 155-159. https://doi.org/10.1037/0033-2909.112.1.155
  87. Costello, A. B., & Osborne, J. (2005). Best practice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r recommendations for getting the most from your analysis.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and Evaluation, 10(1), 7. https://doi.org/10.7275/jyj1-4868
  88. Crawford, CB. (1975). Determining the number of interpretable factors. Psychological Bulletin, 82(2), 226-237. https://doi.org/10.1037/h0076374
  89. Crites(1969). Vocational Psychology New York: Mc Graw-Hill.
  90.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91.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92.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https://doi.org/10.2307/3151312
  93. Gaston Godin & Gerjo Kok (1996).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 Review of its Applications to Health-Related Behaviors Gaston.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1(2), 87-98. DOI: 10.4278/0890-1171-11.2.87
  94. Hair, J. F. Jr., Anderson, R. E., Tatham, R. L., & Black, W. C. (1995). Multivariate data analysis (4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https://www.scirp.org/reference/referencespapers?referenceid=435421
  95. Holland, J. L., Daiger, D. C., & Power, P. G.(1980). My Vocational Situation. Palo Alto, CA: Consilting Psychologists Press.
  96. House, J. 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London: Addison Wesley.
  97. Illeris, K. (2018). Contemporary theories of learning(Learning theories in their own words) (2nd ed.). In M. Tennant (Ed.), The life history of the self, 166-178. Oxford, UK: Routledge. https://doi.org/10.4324/9781315147277
  98. Jeffey H. G., Gerard A. C., & Veronica M. G. (2002). 경력개발 및 관리 {Career Management}. (탁진국 역). 시그마프레스(원전은 2000년에 출판).
  99. Koivumaa-Honkanen, H., Honkanen, R., Viinamaki, H., Heikkila, K., Kaprio, J., & Koskenvuo, M. (2000). Self-reported life satisfaction and 20-year mortality in healthy Finnish adult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52(10), 983-991. https://doi.org/10.1093/aje/152.10.983
  100. Kong, F., Zhao, J., & You, X. (2013). Corrigendum to "Emotional intelligence and life satisfaction i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4(6), 797. https://doi.org/10.1016/j.paid.2013.01.007
  101. Lent, R. W., Brown, S. D., & Hackett, G. (1994).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Ja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5(1), 79-122. https://doi.org/10.1006/jvbe.1994.1027
  102. Lent, R. W., Brown, S. D., & Hackett, G. (2000).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areer choice: A social cognitive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1), 36-49. https://doi.org/10.1037/0022-0167.47.1.36
  103. Lori D. Lindley. (2005). Perceived Barriers to Career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3(3). https://doi.org/10.1177/1069072705274953
  104. Lucas, M. S., & Epperson, D. L. (1990). Types of vocational underdecidedness: A replication and refinement. Ja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7, 382-388. https://doi.org/10.1037/0022-0167.37.4.382
  105. Lyubomirsky, S., King, L., & Diener, E. (2005).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131(6), 803-855. https://doi.org/10.1037/0033-2909.131.6.803
  106. Marco Weber, Claudia Harzer, E. Scott Huebner, Kimberly J. Hills(2015) . Chapter 5 - Measures of Life Satisfaction Across the Lifespan. Editor(s): Gregory J. Boyle, Donald H. Saklofske, Gerald Matthews, Measures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ical Constructs, Academic Press, 101-130. https://doi.org/10.1016/B978-0-12-386915-9.00005-X
  107. Mason, R. (2000). Beyond the career break: women returner's perception of the skills they bring from the home and barriers to their return to and advancement in paid work. am exploratory analysis. A thesis presented in partial fulfi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Business Studies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at Massey University. http://hdl.handle.net/10179/6037
  108. Mcwhirter, E.H., Hackett, G., & Bandalos, D. L. (1998). A casual model of the educational plans and career esectations of mexican american high school girl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2), 166-181. https://doi.org/10.1037/0022-0167.45.2.166
  109. Myrtle Campbell & Gloria D. Campbell-Whatley (2020). Strategies and Barriers: Career Advancement for Women Administrators. Journal of Applied Educational and Policy Research 5(1).
  110. O'Brien, K. M., & Fassinger, R. E.(1993). A causal model of the career orientation and career choice of adolescent wome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0(4), 456-469. https://doi.org/10.1037/0022-0167.40.4.456
  111. Orbell, S., Hodgkins, S., & Sheeran, P. (1997). Implementation intentions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3(9), 945-954. https://doi.org/10.1177/0146167297239004
  112. Purdam, K., Olsen, W. K., Tomlinson, J., Neff, D., & S, Mehta (2005). Examining the Potential for Women Returners to Work in Areas of High Occupational Gender Segregation. London: Department for Trade and Industry, Women and Equality Unit.
  113. Seligman, M. E. P., & Csikszentmihalyi, M. (2001).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Reply. American Psychologist, 56(1), 89-90. https://doi.org/10.1037/0003-066X.56.1.89
  114. Slaney, R. B. (1980). An investigation of racial differences on vocational varables among college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6, 197-207. https://doi.org/10.1016/0001-8791(80)90050-0
  115. Swanson, J. K., & Tokar, D. M. (1991).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barriers to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8, 92-106. https://doi.org/10.1016/0001-8791(91)90020-M
  116. Swanson, J. L., Daniels, K, K., & Tokar, D. M. (1996). Assessing Perceptions of Career-Related Barriers: The Career Barriers Inventory. Journal of Cateer Assessment, 4(2), 219-244. https://doi.org/10.1177/106907279600400207
  117. Tabachnick, B. G., & Fidell, L. S. (2007).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5thed.). Boston, MA: Pearson/Allyn & Bacon.
  118. Tine, H. S. (1998). Development Initial Validation Of Chiness Career Barriers Inventory.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San Francisco, LA. https://doi.org/10.1177/106907279600400207
  119. Whiston, S, C., & Keller, B. K. (2004). The influences of the family of origin on career development: A review and analysi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2(4), 493-568. https://doi.org/10.1177/0011000004265660
  120. Yap M. & Konrad. A.M. (2009). Gender and Racial Differentials in Promotions: Is There a Sticky Floor, a Mid-Level Bottleneck, or a Glass Ceiling? Departement des relations industrielles, Universite Laval, 64(4), 593-619. https://doi.org/10.7202/038875ar
  121. Zwick, W., & Velicer, W. (1986). Comparison of five rules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components to retain. Psychological Bulletin, 99, 432-442. https://doi.org/10.1037/0033-2909.99.3.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