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민정, 김은지, 장미혜, 김동식 (2022). 새 정부 양성평등 정책의 전망과 과제. 개원 39주년 기념세미나. 한국여성정책연구원. https://www.kwdi.re.kr/research/seminarView.do?p=2&idx=129983 보도자료.
- 강인혜, 유금란 (2020).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취업불안의 관계에서 지각 된 진로장벽을 통한 삶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33(1), 21-42. DOI : 10.32341/JCER.2020.03.33.1.21
- 강현철 (2013). 구성타당도 평가에 있어서 요인분석의 활용. 대한간호학회지, 43(5), 587-594.
- 국미애, 박은하, 안유진 (2014). 서울여성의 복합적 빈곤력 분석을 통한 지원 방안 연구.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2014.
- 국미애 (2018). 경력단절여성, 왜 직장을 그만 두는가. 여성학연구, 28(1), 251-282. https://doi.org/10.22772/pnujws.28.1.201804.251
- 김경수, 김장환, 최명수, 박진기, 엄대영(2011). 체육전공자 진로장벽 검사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20(4), 153-167.
- 김계수 (2007).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한나래.
- 김민선, 박희진(2022). 다문화 청년들의 진로장벽과 삶의 관계에서 진로목표 불일치,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진로교육연구, 35(3), 1-27.
- 김봉환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애리, 탁진국 (2022). 대학생의 강점인식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연구. 청소년학연구, 29(8), 247-271. https://doi.org/10.21509/KJYS.2022.08.29.8.247
- 김언희, 김병석 (2017). 경력단절여성의 역할지향성에 따른 직업가치 인식과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학력 차이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1), 173-193.
- 김영경 (2007).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경력개발계획과 재취업교육 요구분석 연구. 여성연구, 73(2), 85-118. DOI : 10.33949/tws.2007.73.2.003
- 김원호, 김동일 (2011). 장애 대학생용 진로장벽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장애인 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1(2), 5-25. http://dx.doi.org/10.15707/disem.2011.21.2.001
- 김은영 (2002). 한국 대학생 진로탐색장애검사(KCBI)의 개발 및 타당화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1), 219-240. UCI : G704-000523.2002.14.1.003 G704-000523.2002.14.1.003
- 김정민, 이희수 (2023).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숭실대학교 평생교육․HRD연구, 19(1), 111-140. https://doi.org/10.35637/klehrd.2023.19.1.005
- 김정원, 조대연, 박지원, 장은하 (2023). 경력단절여성에게 필요한 성인역량에 관한 요구 분석. 문화와 융합, 45(3), 403-416.
- 김정택, 신동균 (1978). STAI 한국표준화에 관한 연구. 최신의학사, 21(11), 69-75.
- 김정희, 변상해 (2016). 직업교육과 경력단절여성의 창업의지, 재취업욕구의 관계 연구, 벤처창업연구, 11(4), 237-246. https://doi.org/10.16972/apjbve.11.4.201608.237
- 김주섭 (2017).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진로장벽 및 취업준비행동 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24(2), 141-166. https://doi.org/10.21509/KJYS.2017.01.24.2.141
- 김진미 (2013). 특성화고등학생 진로장벽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3(8), 179-187. https://www.riss.kr/link?id=A108284257
- 김향수, 채규만(2014).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1(2), 1-26. UCI : I410-ECN-0102-2015-300-000581508 I410-ECN-0102-2015-300-000581508
- 김현정, 이순화, 천성문 (2018). 경력단절여성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42(1), 153-174. https://doi.org/10.33071/ssricb.42.1.201804.153
- 김홍석 (2013). 대학생의 취업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관계 분석. 상담학연구, 14(2), 1165-1187. https://doi.org/10.15703/kjc.14.2.201304.1165
- 나이스경제(2022). [나이스 경제학개론] 비경제활동인구, 실업자, 쉬었음 등...개념 차이는? 2020년 11월 4일자.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9879511&memberNo=42894257&vType=VERTICAL
- 동아일보. "한국여성 고용률은 M자형 곡선, 20대에 최고점 → 30대 급락." 2021년 3월 19일자.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319/105954061/1
- 머니투데이. "韓 여성 경제활동, OECD 38개 국가 중 31위 日에 뒤처져" 2022년 9월 17일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091613513675378
- 문란영 (2013).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문은식 (2005).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 및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교육심리학연구 19(4), 1087-1108.
- 박노동 (2011). 대전시 고학력 경력단절여성 실태분석 및 재취업 활성화 방안. 대전발전연구원.
-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태정 (2019). 재취업구직자의 진로정체감, 회복탄력성, 취업역량, 구직행동 간의 관계 연구. 서울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박혜주, 김은주, 천성문 (2012). 대학생 취업장벽 척도개발. 대학생연구, 18(1), 1-27.
- 박효진, 은선경 (2012). 경력단절 경험을 가진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미취학 자녀를 둔 여성의 일-가족양립정책과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7(1), 5-29. UCI : G704-001932.2012.17.1.007
- 배병렬 (2014). Amos 21 구조방정식모델링:원리와 실제. 청람
- 법제처 (2022).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
- 서용한, 야부토스하루 (2017). NCS 확산을 위한 경력단절여성 직업교육과 커리어 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정보학회, 36(2), 207-221. https://doi.org/10.29214/damis.2019.38.3.009
- 선곡유화, 서우석 (2022). 다문화 초등학생의 진로장벽 측정 도구 개발 및 타당화. 다문화교육연구, 15(4), 49-75. https://doi.org/10.14328/MES.2022.12.31.49
- 성태제, 시가자 (2020). 연구방법론. 학지사.
- 소용준, 박준성 (2016). 대학생활 적응에 따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취업불안의 매개효과 검증. 취업진로연구, 6(4), 23-44. https://doi.org/10.35273/jec.2016.6.4.002
- 손은령 (2001). 女子大學生이 知覺한 進路障壁.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UCI : I410-ECN-0102-2014-300-001739144
- 손은령 (2004). 진로선택과정에서 지각된 진로장벽의 역할. 상담학연구, 5(3), 623-635. UCI : I410-ECN-0102-2014-300-001740467 10-ECN-0102-2014-300-001740467
- 손은령, 김계현 (2002). 여자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14(1), 121-139. UCI : G704-000523.2002.14.1.004 G704-000523.2002.14.1.004
- 신수정, 이인희 (2018). 미용전공대학생의 미용교육만족도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취업준비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 25(2), 446-454. UCI : I410-ECN-0102-2019-500-001353502
- 신연하, 이동명 (2018). 사회적 지지가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8(7), 138-152. https://doi.org/10.5392/JKCA.2018.18.07.138
- 여성가족부, 고용노동부 (2020).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사업지침. 여성가족부 경력단절여성지원과. https://www.mogef.go.kr/mp/pcd/mp_pcd_s001ddo?mid=plc500&bbtSn=704829
- 오민아, 강태훈 (2020).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중복부하 문항 활용을 위한 통계적 방법 탐색. 교육평가연구, 33(3), 603-627.
- 유수복, 윤혜미 (2014).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9(3), 405-421. UCI : I410-ECN-0102-2015-300-000208455 I410-ECN-0102-2015-300-000208455
- 유정이, 김수리, 이수림 (2016). 30대 대졸 경력단절 기혼 여성의 재취업 시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4), 931-964. UCI : G704-001586.2016.16.4.008 G704-001586.2016.16.4.008
- 유희정 (2015).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장벽 지각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의 매개 효과. 교육치료연구, 7(2), 261-280.
- 이건석, 배활립, 김대호 (2008). 불안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판 상태불안척도의 요인분석. 대한불안의학회지, 4(2), 104-110.
- 이수분, 박수홍 (2020). 경력단절여성의 경력개발행동 척도개발 및 유형탐색: 고용가능성, 사회적지지, 진로장벽 지각을 중심으로. 평생교육․HRD연구, 16(3), 31-62. https://doi.org/10.35637/klehrd.2020.16.3.002
- 이숙자 (2022). 경력단절여성이 인식하는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13(6), 4667-4678. https://doi.org/10.22143/HSS21.13.6.323
- 이순묵 (2010). 요인분석의 기초. 파주: 교육과학사.
- 이아라, 손보영, 이주영 (2018). 다문화 청소년 진로장벽 척도 개발 연구. 상담학연구, 19(5), 257-272. https://doi.org/10.15703/kjc.19.5.201810.257
- 이아라, 이주영 (2020). 고령자용 진로장벽 척도 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3), 221-241.
- 이연정, 이장희, 이상민 (2023). 초심상담자 진로장벽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심리학회, 35(1), 63-83. https://doi.org/10.23844/kjcp.2023.02.35.1.63
- 이재은, 조영아 (2017). 대학생의 강점인식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9(3), 113-132. https://doi.org/10.23840/agehrd.2017.49.3.113
- 이정희 (2014). 일․가족 양립 문제의 시대적 변화에 대한 고찰. 여성연구, 86(1), 281-3, 24. https://doi.org/10.33949/tws.2014..1.009
- 임영진 (2012). 한국판 삶의 만족도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경찰공무원, 학생,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31(3), 877-896. UCI : G704-001037.2012.31.3.015 1037.2012.31.3.015
- 전연숙, 강혜영 (2010). 탈북여성의 진로장벽 지각: 연령별, 학력별, 남한거주기간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3), 469-487. https://doi.org/10.18205/kpa.2010.15.3.008
- 정성미 (2023). 경력단절 예방을 통한 여성고용확대 방안. 한국노동연구원, 215, 42-60.
- 정선형, 탁진국 (2011). 성인용 구직장애요인탐색 검사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4), 1165-1188. UCI : G704-001037.2011.30.4.012 G704-001037.2011.30.4.012
- 정환호 (2020). 음악전공자용 진로장벽검사도구(MCBI)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음악교육공학, 44, 23-41.
- 조규판 (2008). 취업불안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46(2), 53-75.
- 조명한, 차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집문당
- 천만봉, 이종구 (2013). 대졸 취업 예정자들의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진로의식성숙과 자기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20(6), 191-214.
- 최명옥, 류정희 (2021). 경력단절여성의 자기성장주도성이 경력계획에 미치는 영향: 진로장벽 인식의 매개효과. 인문사회21, 12(1), 1533-1544. https://doi.org/10.22143/HSS21.12.1.108
- 최윤정, 정해숙, 반가운, 김상미 (2016). 취업 및 비취업 여성의 역량 실태와 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6, 1-318.
- 탁진국 (2020). 코칭심리학. 서울: 학지사
- 탁진국 (2022). 심리검사: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학지사.
- 통계청 (2022). 2022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 KDI 경제정보센터.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32306&topic= 보도자료.
- 하애란 (2010). 여성고용지원을 위한 노동법적 과제-여성의 경력단절요인과 재취업욕구를 중심으로. 여성정책논집, 10, 471-508. https://doi.org/10.5392/JKCA.2017.17.09.310
- 헤드라인뉴스. "한국 여성 경제활동참가율․ 고용율, OECD 37개국 중 최하위권" 2021년 3월 18일자. https://www.iheadlin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492
- 한국경제연구원(2021). 35~39세 여성고용률, 韓 59.9% vs. G5 76.5%... 16.6%p 격차. https://www.keri.org/forum/press-release/2021-03-18-35-39se-yeoseonggoyongryul-han-59-9-vs-g5-76-5-16-6-p-gyeogca 보도자료.
- 홍진주, 정세미, 조수민, 김은정 (2023).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성과평가 지표개발 연구. 인문사회21, 14(1), 3539-3554. UCI : I410-ECN-0102-2023-300-001113587 I410-ECN-0102-2023-300-001113587
- 황매향, 이은설, 유성경 (2005). 진로 상담 청소년용 여성 진로장벽 척도의 개발 및 구인타당도 검증. 상담학연구, 6(4), 1205-1223. UCI : G704-001281.2005.6.4.009
- 황수경, 권혜자, 김인선 (2006).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을 위한 맞춤형 직업훈련 지원연구. 교육인적자원부.
- Adler, N.J. (1993).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on the barriers to the advancement of women managers. Applied Psychology, 42 (4), 289-300. https://doi.org/10.1111/j.1464-0597.1993.tb00745.x
-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 Bandura, A. (1999). Social cognitive theory of personality. Handbook of personality, 2(1), 154-196.
- Betz, N. E. (2006). Basic issues and Concepts in the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of Women. In B. Walsh & M. J. Heppner(Eds.), Handbook of career counseling for women, 45(74), Mahwah, NJ: Lawrence Erlbaum. https://psycnet.apa.org/record/2006-00546-002
-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136-162. Newbury Park, CA: Sage.
- Cansu, A. S. (2013). Career Barriers for Women Executives and the Glass Ceiling Syndrome: The Case Study Comparison between French and Turkish Women Executives.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75(3), 488-497. https://doi.org/10.1016/j.sbspro.2013.04.053
- Caroline, L. D., & Marilyn, J. D. (1994). Policies and Practices to Encourage Women Returners: A Case study, Women in Management Review, 9(7), 4-14.
- Cohen, S. & Hoberman, H.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 Cohen, J. (1992). A power primer. Psychological Bulletin, 112(1), 155-159. https://doi.org/10.1037/0033-2909.112.1.155
- Costello, A. B., & Osborne, J. (2005). Best practice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r recommendations for getting the most from your analysis.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and Evaluation, 10(1), 7. https://doi.org/10.7275/jyj1-4868
- Crawford, CB. (1975). Determining the number of interpretable factors. Psychological Bulletin, 82(2), 226-237. https://doi.org/10.1037/h0076374
- Crites(1969). Vocational Psychology New York: Mc Graw-Hill.
-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https://doi.org/10.2307/3151312
- Gaston Godin & Gerjo Kok (1996).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 Review of its Applications to Health-Related Behaviors Gaston.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1(2), 87-98. DOI: 10.4278/0890-1171-11.2.87
- Hair, J. F. Jr., Anderson, R. E., Tatham, R. L., & Black, W. C. (1995). Multivariate data analysis (4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https://www.scirp.org/reference/referencespapers?referenceid=435421
- Holland, J. L., Daiger, D. C., & Power, P. G.(1980). My Vocational Situation. Palo Alto, CA: Consilting Psychologists Press.
- House, J. 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London: Addison Wesley.
- Illeris, K. (2018). Contemporary theories of learning(Learning theories in their own words) (2nd ed.). In M. Tennant (Ed.), The life history of the self, 166-178. Oxford, UK: Routledge. https://doi.org/10.4324/9781315147277
- Jeffey H. G., Gerard A. C., & Veronica M. G. (2002). 경력개발 및 관리 {Career Management}. (탁진국 역). 시그마프레스(원전은 2000년에 출판).
- Koivumaa-Honkanen, H., Honkanen, R., Viinamaki, H., Heikkila, K., Kaprio, J., & Koskenvuo, M. (2000). Self-reported life satisfaction and 20-year mortality in healthy Finnish adult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52(10), 983-991. https://doi.org/10.1093/aje/152.10.983
- Kong, F., Zhao, J., & You, X. (2013). Corrigendum to "Emotional intelligence and life satisfaction i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4(6), 797. https://doi.org/10.1016/j.paid.2013.01.007
- Lent, R. W., Brown, S. D., & Hackett, G. (1994).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Ja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5(1), 79-122. https://doi.org/10.1006/jvbe.1994.1027
- Lent, R. W., Brown, S. D., & Hackett, G. (2000).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areer choice: A social cognitive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1), 36-49. https://doi.org/10.1037/0022-0167.47.1.36
- Lori D. Lindley. (2005). Perceived Barriers to Career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3(3). https://doi.org/10.1177/1069072705274953
- Lucas, M. S., & Epperson, D. L. (1990). Types of vocational underdecidedness: A replication and refinement. Ja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7, 382-388. https://doi.org/10.1037/0022-0167.37.4.382
- Lyubomirsky, S., King, L., & Diener, E. (2005).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131(6), 803-855. https://doi.org/10.1037/0033-2909.131.6.803
- Marco Weber, Claudia Harzer, E. Scott Huebner, Kimberly J. Hills(2015) . Chapter 5 - Measures of Life Satisfaction Across the Lifespan. Editor(s): Gregory J. Boyle, Donald H. Saklofske, Gerald Matthews, Measures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ical Constructs, Academic Press, 101-130. https://doi.org/10.1016/B978-0-12-386915-9.00005-X
- Mason, R. (2000). Beyond the career break: women returner's perception of the skills they bring from the home and barriers to their return to and advancement in paid work. am exploratory analysis. A thesis presented in partial fulfi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Business Studies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at Massey University. http://hdl.handle.net/10179/6037
- Mcwhirter, E.H., Hackett, G., & Bandalos, D. L. (1998). A casual model of the educational plans and career esectations of mexican american high school girl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2), 166-181. https://doi.org/10.1037/0022-0167.45.2.166
- Myrtle Campbell & Gloria D. Campbell-Whatley (2020). Strategies and Barriers: Career Advancement for Women Administrators. Journal of Applied Educational and Policy Research 5(1).
- O'Brien, K. M., & Fassinger, R. E.(1993). A causal model of the career orientation and career choice of adolescent wome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0(4), 456-469. https://doi.org/10.1037/0022-0167.40.4.456
- Orbell, S., Hodgkins, S., & Sheeran, P. (1997). Implementation intentions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3(9), 945-954. https://doi.org/10.1177/0146167297239004
- Purdam, K., Olsen, W. K., Tomlinson, J., Neff, D., & S, Mehta (2005). Examining the Potential for Women Returners to Work in Areas of High Occupational Gender Segregation. London: Department for Trade and Industry, Women and Equality Unit.
- Seligman, M. E. P., & Csikszentmihalyi, M. (2001).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Reply. American Psychologist, 56(1), 89-90. https://doi.org/10.1037/0003-066X.56.1.89
- Slaney, R. B. (1980). An investigation of racial differences on vocational varables among college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6, 197-207. https://doi.org/10.1016/0001-8791(80)90050-0
- Swanson, J. K., & Tokar, D. M. (1991).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barriers to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8, 92-106. https://doi.org/10.1016/0001-8791(91)90020-M
- Swanson, J. L., Daniels, K, K., & Tokar, D. M. (1996). Assessing Perceptions of Career-Related Barriers: The Career Barriers Inventory. Journal of Cateer Assessment, 4(2), 219-244. https://doi.org/10.1177/106907279600400207
- Tabachnick, B. G., & Fidell, L. S. (2007).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5thed.). Boston, MA: Pearson/Allyn & Bacon.
- Tine, H. S. (1998). Development Initial Validation Of Chiness Career Barriers Inventory.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San Francisco, LA. https://doi.org/10.1177/106907279600400207
- Whiston, S, C., & Keller, B. K. (2004). The influences of the family of origin on career development: A review and analysi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2(4), 493-568. https://doi.org/10.1177/0011000004265660
- Yap M. & Konrad. A.M. (2009). Gender and Racial Differentials in Promotions: Is There a Sticky Floor, a Mid-Level Bottleneck, or a Glass Ceiling? Departement des relations industrielles, Universite Laval, 64(4), 593-619. https://doi.org/10.7202/038875ar
- Zwick, W., & Velicer, W. (1986). Comparison of five rules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components to retain. Psychological Bulletin, 99, 432-442. https://doi.org/10.1037/0033-2909.99.3.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