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PU 소재 3D 출력물을 이용한 도자기 맞춤형 포장 기술 개발 및 적용성 연구

Development and applicability study of customized porcelain packaging technology using 3D printed TPU material

  • 오승준 (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센터)
  • Oh Seungjun (The Research Center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Hanseo University)
  • 투고 : 2024.04.09
  • 심사 : 2024.05.24
  • 발행 : 2024.05.31

초록

솜포 포장재를 이용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도자기 포장 기술을 3차원 디지털 기술로의 대체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TPU 소재를 이용해 출력한 3D 포장재의 충격 흡수성과 내진동성, 압축 저항성 확인을 위해 복합진동, 포장압축, 포장낙하 시험을 진행하였다. 시험 결과 3D 포장재가 복합진동시험 감쇠비 기준 약 10~20% 증진된 내진동성을 가지고, 약 5배 이상의 압축 저항 성능을 보여주었으며, 6면의 낙하 시험에서 파손되지 않아 충격 흡수 성능도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 도자기 포장재의 재사용성을 확보하고 포장 기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포장재 및 포장 기술의 다양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We wanted to check The feasibility of substituting the manual ceramic packaging technology with 3D digital technology using cotton pad packaging material was examined. To examine the shock absorption, vibration resistance and compression resistance of 3D packaging material printed out by using TPU material, composite vibration, and packaging compression and drop tests were conducted. As the results of the tests, the 3D packaging material displayed vibration resistance that has been improved by approximately 10~20% based on the damping ratio of the composite vibration test, compression resistance performances that are more than 5 times higher, and shock absorption performance was also improved as the packaged object was not broken in the six-sided drop test.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determin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secure the reusability of the ceramic packaging materials and simplify packaging techniques, and to present diversity in the packaging materials and packaging technologies.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No.2020R1I1A1A01071331)

참고문헌

  1.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Preventive Conservation, GCI Newsletter 7(1), p4-5, (1992).
  2. Nathan Stolow, Conservation standards for Works of art in transit and on exhibition, Unesco, p15, (1979).
  3. 이내옥, 문화재 다루기, p166-178, 열화당미술책방, 경기, (2000).
  4. 전종진, 소장품 포장 사례 및 포장재 개선 연구: 미국, 유럽 문화재 포장방식 및 재료 사례, 국립경주박물관 학술 심포지엄, p10-12, (2018).
  5. 신화용, 소장품 포장 사례 및 포장재 개선 연구: 국내 문화재 포장 방법에 대한 연구, 국립경주박물관 학술 심포지엄, p74-76, (2018).
  6. 신민경, 문화재 포장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5, (2001).
  7. 정재웅, 박인식, 허일권, 문화재 밀폐 포장용 고차단성 필름의 보존환경 제어 특성 비교, 박물관보존과학 16, p96-113, (2015).
  8. 오승준, 위광철, Basic research on 3D cultural heritage packaging technology using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s, 보존과학회지 37(1), p55-62, (2021). https://doi.org/10.12654/JCS.2021.37.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