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21년 성남시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References
- 통계청. 2023 고령자 통계, 26 September 2023. Available from: https://kostat.go.kr/board.es?mid=a10301010000&bid=10820&act=view&list_no=427252 [accessed on March 17, 2024].
- 전용호.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도입 의미와 과제. 한국노년학. 2020;40(4):599-616. https://doi.org/10.31888/JKGS.2020.40.4.599
- 전용호, 이석환.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도입 초기 이슈에 대한 질적연구. 노인복지연구. 2020;77(1):225-252. https://doi.org/10.21194/kjgsw.77.1.202203.225
- 조현, 고준기. 치매노인의 현황과 노인장기요양보험법상의 개선방안.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12;13(12):5816- 5825. https://doi.org/10.5762/KAIS.2012.13.12.5816
- 보건복지부, 2021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 사업 설명자료, 26 January 2021. Available from: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107010000&bid=0037&act=view&list_no=363256&tag=&cg_code=&list_depth=1 [accessed on March 17, 2024].
- 중앙치매센터. 2020 대한민국치매현황, 21 May 2021. Available from: https://ansim.nid.or.kr/community/pds_view.aspx?page=&BID=221 [accessed on March 18, 2024].
- 보건복지부. '재가 지역사회 중심으로 사회 서비스 제공' 커뮤니티케어(Community care) 본격 추진, 12 May 2018. Available from: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257944#pressRelease [accessed on March 18, 2024].
- 이선희. 노인돌봄서비스 관련 현행제도의 실태와 개선 방안. 보건복지포럼, 2014:54.
- 보건복지부. 2020 노인맞춤돌봄서비스, January 2020. https://www.mohw.go.kr/menu.es?mid=a10712010400 [accessed on March 18, 2024].
- 전용호. 노인 돌봄의 연속성 측면에서 바라본 의료.보건.복지 서비스의 이용과 연계. 한국보건사회연구. 2018;38(4):10-39. https://doi.org/10.15709/hswr.2018.38.4.10
- 박세경, 강은나, 황주희, 김정현, 하태정, 이정은 등. 돌봄보건의료 연합서비스(Joined-up Services) 공급모형에 관한 전망과 과제. 2015.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은정. 사회서비스정책 현황분석과 정책적 과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013;24(1):111-136.
- 오종묵, 박주희, 황종남. 노인 돌봄서비스 제공자의 의사소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도.농 복합 지역사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학교 지역보건교육학회지. 2023;24(3):37-50. https://doi.org/10.35133/kssche.20230831.04
- 신경림, 장연집, 김영경, 이금재, 최명민, 김혜영 등. 포커스 그룹(질적연구방법), 2004, 현문사:서울.
- Krueger RA. Casey MA.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Los Angeles: Sage Publications; 2014. 280 p.
- Braun V, Clarke V.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2006;3(2):77-101. https://doi.org/10.1191/1478088706qp063oa
- Sandelowski M.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86;8(3):27-37. https://doi.org/10.1097/00012272-198604000-00005
- 김은정, 이신영. 노인의 가족유형별 돌봄서비스 이용의향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2010;22(2):1-30. https://doi.org/10.21478/family.22.2.201006.001
- 박세경, 강혜규, 이윤경, 김진우, 이진면, 장은진. 유망사회 서비스 수요 실태조사,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 김민영, 백승주, 금현섭. 기관경쟁과 이용자선택이 사회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 서비스투자사업 중 아동대상 대인서비스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011;15(4):153-176.
- Baxter K, Caroline G, Ian G. The implications of personal budgets for the home care market. Public Money & Management. 2011;31(2):91-98. https://doi.org/10.1080/09540962.2011.560702
- 박해긍, 김주희, 정신모. 독거노인 돌봄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주관적 경험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 21. 2020;11(5):497-506. https://doi.org/10.22143/HSS21.11.5.36
- 정진경, 정세희. 이용자 중심(User-Centered) 서비스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2013;65(1):325-346. https://doi.org/10.20970/kasw.2013.65.1.014
- 정진경, 정세희.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이용자의 선택경험과 돌보미와의 관계의 질이 서비스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015;67:7-31. https://doi.org/10.21194/kjgsw..67.201503.7
- 허라금. 관계적 돌봄의 철학: '필요의 노동을' 넘어 '정치적 행위'로. 사회와철학. 2018;35:67-90. https://doi.org/10.22858/sp.2018..35.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