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Transition from the Imperial Museum to the Yi Royal Household Art Museum: Changes in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ion as Seen through Its Inventory

제실 박물관에서 이왕가 미술관으로: 컬렉션 목록으로 본 소장품의 구성과 특성 변화

  • Mok Soohyun (Institute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 목수현 (근현대미술연구소)
  • Received : 2024.02.22
  • Accepted : 2024.05.02
  • Published : 2024.06.20

Abstract

Established in 1909, the Imperial Museum was the forerunner of Korean museums, and its collection formed the foundation of today's National Museum of Korea. However, when the Imperial Museum was first established in Changgyeonggung Palace, a zoo and botanical garden were created in addition to the museum. From 1911 onward, these three facilities we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Changgyeongwon Park. The zoo and botanical garden remained at Changgyeongwon when the museum was relocated in 1938, as did some of the items from the collection of the Yi Royal Household Museum. Among them were palanquins used by the royal family and folk items such as armor, as well as taxidermized birds. These stuffed birds were displayed in the corridor of Myeongjeongjeon Hall in Changgyeongwon, and were also displayed in the specimen hall at the back of Myeongjeongjeon Hall. The stuffed birds in particular should prompt a reconsideration of the nature of the Imperial Museum (Yi Royal Household Museum). The museum had been known as a prominent art museum, mainly collecting masterpieces of ceramics (such as Goryeo celadon), Buddhist sculptures, and paintings. However, this character seems to have been just one aspect of the museum. Along with the zoo, which housed live animals, and the botanical garden, which included greenhouses for tropical plants, the museum also featured specimens like taxidermy, suggesting that its initial aim, from a museological perspective, was to be a more comprehensive museum. Notably, Shimogoriyama Seiichi, who managed the general affairs of the museum, collected and cataloged Korean avian specimens from 1908 to 1917. This suggests that the zoo and botanical garden were not merely for entertainment purposes, but also served a museological purpose. However, the Imperial Museum (Yi Royal Household Museum) lacked the essential research and educational functions necessary for a museum, beyond its collecting and exhibition roles. For instance, although specimens of stuffed Korean birds were collected, they were not thoroughly researched. This indicates that while the museum's collection was acquired from a museological perspective, it did not advance into more specialized research.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Yi Royal Household Museum have evolved by analyzing the inventory of the museum's collections and the list of Korean bird specimens it held.

1909년에 설립된 제실박물관은 한국 박물관의 효시이자 그 컬렉션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그런데 제실 박물관이 창경궁에 설립될 때에는 박물관만 설립된 것이 아니라 동물원, 식물원이 함께 설립되었다. 이 세 시설은 1911년 이후 함께 창경원으로 불리기도 했으나, 동물원과 식물원은 1938년에 박물관 소장품이 이전될 때에 창경원에 남게 되었고 이왕가 박물관 소장품 중 일부도 창경원에 남게 되었다. 이때 남겨진 소장품 가운데에는 왕실에서 사용하던 가마나 갑옷 등 민속품도 있었고 조류박제 등도 있었다. 이 조류 박제는 창경원 명정전의 회랑에 전시되기도 하였으며, 명정전 뒤쪽에 있는 표본실에도 전시되었다. 특히 조류 박제는 제실 박물관(이왕가 박물관)의 특성을 재고하게 하는 것이다. 제실 박물관은 설립 초기부터 고려 청자 등 도자기, 불상, 회화의 명품을 주로 수집하여 미술박물관의 성격이 두드러진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성격은 제실 박물관의 특성의 하나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제실 박물관은 살아 있는 동물을 수용한 동물원, 열대 식물을 기르는 온실 등을 포함한 식물원과 더불어 조류박제 등 표본을 수집함으로써 초기에는 박물학적 관점에서 종합 박물관의 특성을 지향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박물관의 일반 사무를 담당한 시모고리야마 세이이치는 1908년부터 1917년까지 조선산 조류 표본을 수집하고 이를 목록화함으로써, 동물원과 식물원이 단순한 놀이 동산의 성격만 지닌 것이 아니라 박물학적 목적도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게 한다. 다만, 제실 박물관(이왕가 박물관)은 박물관이 지녀야 할 수집, 전시 기능에 더해 연구와 교육 기능을 해야 하는 근대 박물관의 특성에서 연구와 교육 기능은 상대적으로 미비했다. 조선산 조류 박제 등은 수집은 이루어졌으나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점은 이 박물관의 소장품이 박물학적 관점에서 수집되었으나, 보다 전문적인 연구로는 나아가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이왕가 박물관 소장품 목록과 이왕가 박물관 소장 조선산 조류 목록 등을 통해 이 박물관의 특성이 변화했음을 고찰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共立新聞」
  2. 「國立博物館 所藏品 目錄 - 舊 德壽宮美術館」, 國立博物館, 1971.12
  3. 「大韓每日申報」
  4. 「德壽宮美術館 所藏品 目錄」 第1冊, 1967, 德壽宮 美術館
  5. 「德壽宮美術館 所藏品 目錄」 第2冊, 1968.8, 德壽宮 美術館
  6. 「東亞日報」
  7. 「東京科學博物館 要覽」, 1931, 東京: 東京科學博物館
  8. 「每日申報」
  9. 「純宗實錄 附錄」
  10. 「恩賜記念 科學館 案內」, 1935, 恩賜記念科學館
  11. 「恩賜記念 科學館 陳列品 目錄」, 1935, 恩賜記念科學館
  12. 「李王家博物館 所藏品 目錄(甲之部)」, 1911, 李王家博物館
  13. 「李王家博物館 所藏品 寫眞帖」, 1912, 李王家博物館
  14. 「李王家博物館 所藏 朝鮮産 鳥類 目錄」, 1918, 李王家博物館
  15. 李王職 編, 「李王家 美術館 要覽」, 1938, 李王職
  16. 「朝鮮博物學 標本 展覽會 出品 目錄」, 1923, 朝鮮博物學會
  17. 「皇城新聞」
  18. 국립중앙과학관, 2013, 「국립중앙과학관 소장 희귀조류 표본(1907-1917) 도록」, 국립중앙과학관
  19. 국립중앙박물관 편, 2009, 「한국 박물관 100년사」, 사회평론
  20. 국성하, 2007, 「우리 박물관의 역사와 교육」, 혜안
  21. 권행가, 2015, 「컬렉션, 시장, 취향: 이왕가미술관 일본근대미술 컬렉션 재고」, 「미술자료」 87, 국립중앙박물관
  22. 김인덕, 2007, 「식민지시대 근대공간 국립박물관」, 국학자료원
  23. 김찬송, 2018, 「창경궁박물관(昌慶宮博物館)의 설립과 변천과정 연구」, 「古宮文化」 11, 국립고궁박물관
  24. 목수현, 2000, 「일제하 이왕가 박물관의 식민지적 성격」, 「미술사학연구」 227
  25. 목수현, 2009, 「이왕가 미술관과 조선총독부 미술관」, 「한국 박물관 100년사(본문편)」, 국립중앙박물관 편, 224-249쪽, 사회평론
  26. 박계리, 2003, 「他者로서의 李王家博物館과 傳統觀」, 「美術史學硏究」 240
  27. 박계리, 2009, 「제실 박물관과 어원」, 「한국 박물관 100년사(본문편)」, 국립중앙박물관 편, 34-81쪽, 사회평론
  28. 박훈하, 2007, 「한국 근대박물관의 계보학」, 「인문학논총」 12(1),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9. 서태정, 2014, 「대한제국기 일제의 동물원 설립과 그 성격」, 「한국근현대사연구」 68, 한근현대사학회
  30. 서태정, 2016, 「1910년대 '창경원'의 운영과 그 성격」, 「한국민족운동사연구」 89, 한국민족운동사학회
  31. 세끼 히데오, 2008, 「일본 국립 박물관 탄생의 드라마」, 최석영 역, 민속원
  32. 손영옥, 2018, 「이왕가박물관 도자기 수집 목록에 대한 고찰」, 「한국근현대미술사학」 35
  33. 야마나시 에미코, 2015, 「作風과 '美術' 개념 수용의 관점에서 고찰한 이왕가컬렉션」, 「미술자료」 87, 국립중앙박물관
  34. 오영찬, 2018, 「식민지 박물관의 역사 만들기: 조선총독부 박물관 상설전시의 변천」, 「역사와 현실」 110
  35. 오영찬, 2020, 「조선총독부 박물관 초기 소장품의 형성과 성격」, 「역사학보」 246
  36. 오창영 편, 1983, 「한국 동물원 80년사: 창경원 편」, 서울특별시
  37. 이강근, 2009, 「장서각 소장 도면에 대하여」, 「근대건축도면집(해설편)」, 7-22쪽,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38. 이강근, 2014, 「근대기(近代期) 창덕궁(昌德宮) 건축의 변천에 대한 연구」, 「강좌미술사」 42
  39. 이경선, 2012, 「식민지에 설립된 제국의 과학관: 일제강점기 恩賜記念科學館의 과학보급사업, 1925-1945」 ,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이규철, 2010, 「대한제국기 근대적 측량의 도입과 측량도면의 성격」, 「건축역사연구」 19(6)
  41. 이승혜, 2021, 「李王家博物館 佛像 컬렉션의 형성과 의미」, 「美術史學硏究」 309
  42. 이숙희, 2020, 「하남 천왕사지 철불좌상의 출현과 의미」, 「한국중세고고학」 8, 한국중세고고학회
  43. 이정, 2013, 「식민지 조선의 식물연구, 1910-1945 : 조일 연구자의 상호작용을 통한 상이한 근대 식물학의 형성」 ,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4. 전경목 외, 2009, 「近代建築圖面集」 , 한국학중앙연구원
  45. 전봉희 외, 2012, 「한국 근대 도면의 원점: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근대 측량도와 건축도 1861~1910」,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46. 정인경, 2004, 「한국 근현대 과학기술문화의 식민지성: 국립과학관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7. 천혜봉 외, 1996, 「藏書閣의 歷史와 資料的 特性」, 韓國精神文化硏究院
  48. 최석영, 2008, 「한국박물관 역사와 전망」, 민속원
  49. 최현애, 2017, 「이왕가박물관의 조직과 운영」,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 金山喜昭, 2001, 「日本の博物館史」, 東京:慶友社
  51. 東京國立博物館 編, 1973, 「東京國立博物館百年史」, 東京:東京國立博物館
  52. 藤田亮策, 1963, 「朝鮮學論考」, 奈良:春日野國立文化硏究所內藤田先生記念事業會
  53. 森爲三, 1933, 「朝鮮の鳥類」, 「文敎の朝鮮」 93號, 朝鮮敎育會
  54. 李美那, 1999, 「李王家徳寿宮日本美術品展示 - 植民地朝鮮における美術の役割」, 「東アジア/絵画の近代- 油画の誕生とその展開」, pp. 110-118, 静岡; 静岡県立美術館
  55. 椎名仙卓, 1988, 「日本 博物館 發達史」, 東京:雄山閣
  56. 黃貞燕, 2003, 「日本における官主導による博物館政策に関する-考察:明治初期における内務省の博物館と文部省の教育博物館の設立と運営を通して」, 「デザイン理論」 43
  57. 「李王家の収集について(上) - 下郡山誠-さんに聞く」, 「やきもの趣味」, 昭和39年(1964) 4月號(第1券 第2號), pp. 1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