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ortance of Preliminary Validation of Exterior Wall Thermal Resistance in the Evaluation Context of Building Energy Retrofit Projects

그린리모델링 성과 평가 관점에서 본 준공 시점 단열 성능 검증의 중요성

  • Seungmin Lim ;
  • Soyeon Kim ;
  • Changoh Kang ;
  • Gain Kim ;
  • Jongyeon Lim
  • 임승민 (강원대학교 건축학과 ) ;
  • 김소연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에너지인프라융합학과) ;
  • 강창오 (강원대학교 건축토목환경공학부 ) ;
  • 김가인 (강원대학교 건축토목환경공학부 ) ;
  • 임종연 (강원대학교 건축토목환경공학부)
  • Received : 2024.05.29
  • Accepted : 2024.06.20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density of expanded polystyrene insulation materials collected from buildings under going energy retrofit projects. Due to the absence of initial thermal conductivity data, determining precise long-term patterns was challenging. Analysis based on design documents revealed that expanded polystyrene insulation maintained consistent performance over ten years. Notably, the thermal conductivity measurements of insulation samples of the same grade and age varied significantly. Additionally, the insulation density was found to be substantially below the standard specified in the design document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indicate that performance management during both construction and operation phases is lacking. It is crucial to apply building commissioning, which involves performance verification throughout the building's life cycle, to properly evaluat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improvements, such as building energy retrofit projects.

본 논문에서는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과정에서 철거되는 단열재 샘플을 수거하여 열전도율과 밀도 등 단열성능과 관련된 물성치에 대한 측정 결과를 제시하였다. 단열재의 장기 열저항은 제조 초기 단계의 열전도율을 추정하기 위한 자료가 남아있지 않다는 한계로 인해 정확한 변화 양상을 도출하기 어려웠지만, 설계도서를 통해 추정한 정보에 기반하여 비드법 단열재의 경우 기존 지식과 동일하게 설치 후 10년 이상 경과 시 성능변화가 크지 않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동일 등급, 동일 경과 기간의 단열재에서 측정된 열전도율의 편차가 크고, 특히 단열재 샘플의 밀도가 설계도서상에 기재된 설치 단열재의 등급 기준에 크게 못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다. 준공 시점 및 운영 단계의 성능 관리가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실험 결과이며, 그린리모델링 등 건축물에너지 성능 개선을 적절히 평가하기 위해서는 건물생애주기에 걸친 성능 검증인 빌딩커미셔닝의 적용이 중요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의 재원으로 국토안전관리원의 지원(그린리모델링 지역거점 플랫폼)을 받아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국토교통부(2023), "용도별 건축물 현황 및 인허가 추이 현황", 세종. 
  2. 권영철(2023), 「건축환경계획」, 세종: 한솔아카데미. 
  3. 권영철.김석(2019), "고성능 진공단열재의 건축적인 적용에 관한 연구", 「LHI Journal」, 10(3): 23~32. 
  4. 김수민.조현미(2020), "기존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화 및 리트로핏 패키지 방안", 「LHI Journal」, 11(1): 95~101. 
  5. 김진희.김상명.김준태(2020), "가속도화 시험에 따른 건축용 단열재의 단열성능 및 경시변화 특성 비교 분석", 「한국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14(6): 791~802. 
  6. 김현진.최세진(2019), "20년 이상 경과된 노후건축물의 단열재 성능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지」, 19(6): 539~547. 
  7. 이종성.유정현.임주호.김효진(2010), "친환경주택평가기법개발 및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LHI Journal」, 1(1): 27~34. 
  8. 임종연(2021),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건축물 에너지 소비량 절감에 대한 기대와 과제", 「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22(2): 33~38. 
  9. 최현중.허정호.강재식.최경석.안호상(2021), "건축용 단열재의 장기 경시변화 보정계수 산정",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8(2): 199~210. 
  10. KS(2021), "KS M 3808 발포 폴리스티렌(PS) 단열재". 
  11. KS(2022), "KS L 9016 보온재의 열전도율 측정 방법". 
  12. ISO(2019), "ISO 11561 Ageing of Thermal Insulation Materials: Determination of the Long-Term Change in Thermal Resistance of Closed-Cell Plastics (Accelerated Laboratory Test Methods)". 
  13. UN Environment Programme (2022), Global Status Report for Buildings and Construction, Nairobi. 
  14. Wang, J., L. Hu, W. Li and Y. Ouyang (2022), "Development and Perspectives of Thermal Conductive Polymer Composites", Nanomaterials, 12(20): 35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