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Development Project Conditions and Potential Demand Characteristics in High-Speed Rail Station Areas

전국 고속철도 역세권의 개발 사업여건 및 잠재수요 특성 분석

  • Bae, Seong-Ho ;
  • Ma, Kang-Rae ;
  • Kim, Chan-Ho
  • 배성호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토목공학과.(도시공)) ;
  • 마강래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 김찬호 (중앙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Received : 2024.02.06
  • Accepted : 2024.03.25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As the problem of lowering the efficiency of urban service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the non-metropolitan area intensifie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railway station area is being emphasized to form a compressed urban space through regional bases. Although major station areas in large cities are being developed in the form of complex, the analysis of the development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city station areas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project conditions and potential demand in the high-speed rail station areas across the country, identify the differences in location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city, such as 'metropolitan city', 'large city in non-metropolitan city', 'medium and small city in non-metropolitan city', and find out the appropriate development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the 'metropolitan area metropolitan area' has high potential demand and poor business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non-metropolitan area, it was analyzed that the 'small and medium-sized city station area' has good business conditions and low potential demand characteristics, and the 'large city station area' has intermediate characteristics. This suggests the need for different development methods in the development of metropolitan and small and medium-sized city station area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t is desirable to encourage private participation in large-scale metropolitan station areas, which require large-scale input, to maximize potential demand, and to encourage private participation through public-led projects based on favorable business conditions or development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비수도권 중소도시의 도시서비스 효율성 저하 문제가 심화됨에 따라 지역거점을 통한 압축적 도시 공간을 형성하고자 철도역세권 개발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대도시 주요 역세권은 복합단지 형태로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중소도시 역세권의 개발 입지적 특성에 대한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전국의 고속철도 역세권을 대상으로 개발 사업여건과 잠재수요의 특성을 분석하여 수도권 대도시, 비수도권 대도시, 비수도권 중소도시의 도시유형에 따른 입지적 특성 차이를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개발방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수도권 대도시 역세권'은 높은 잠재수요와 열악한 사업여건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비수도권의 경우에는, '중소도시 역세권'은 양호한 사업여건과 낮은 잠재수요의 특징, '대도시 역세권'은 중간적 성격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도시와 중소도시 역세권 개발에 있어 서로 다른 개발방식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대규모 비용의 투입이 필요한 대도시 역세권은 잠재수요를 극대화하기 위한 민간참여형 사업을, 중소도시 역세권은 양호한 사업여건을 바탕으로 공공주도형 사업을 진행하거나 지역 특성에 기반한 개발을 통해 민간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보여주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철도공단, 2023,"KTX GTX 철도역 TOD 중심 역세권 복합개발 방안 포럼".
  2. 김동준.김기중.이승일, 2020, "서울시 도시철도 역세권 유형별 상업.업무 개발양상 실증 연구", 「국토계획」, 55(3), 56-68.
  3. 남국현, 2022, "대기업 지방 이전과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연구-노동생산성을 중심으로", 지역개발연구, 54(2), 33-57.
  4. 박도이.박경아.이재현, 2022,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개소 이후 역세권 지역 변화 분석: 인구구조와 토지이용변화 비교를 중심으로(2016-2021)", 한국지도학회지, 22(2), 37-49.
  5. 박세훈.손동욱.이진희, 2009, "대중교통중심형 도시로의 개편을 위한 역세권 도시공간구조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29(1D), 111-120.
  6. 배동걸.황욱선.김용수, 2006, "부동산개발사업 평가를 위한 의사결정기준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8(3), 101-108.
  7. 서민호 외, 2019, "에너지 절약형 도시 구현을 위한 역세권 도시재생 활성화 방안", 국토연구원.
  8. 서민호.배유진.박대한, 2020, "역세권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계획모델 및 사업화 방안", 국토정책 Brief, 1-12.
  9. 성현곤.김옥연.김진유, 2008, "대중교통지향형개발(TOD)의 의의와 바람직한 개발방향", 도시정보, (321), 3-15.
  10. 송성재.황희연, 2006, "고속철도 역세권 도입기능의 중요도 평가지표 개발 및 오송역세권 사례 적용", 한국도시지리학회지, 9(2), 31-40.
  11. 신예철.김태호, 2012, "역세권개발 Paradigm 변화에 따른 KTX 역세권 개발방향 제시", 철도저널, 15(1), 49-52.
  12. 심상우.이규진.최기주.전성민, 2015, "AHP 분석을 통한 역세권 개발 입지 평가 지표 개발 및 적용",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5(2), 447-453.
  13. 안아림.임보영.마강래, 2019, "지방 중소도시 유출.유입인구 특성 비교에 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37(2).
  14. 윤병훈.남진, 2016, "서울시 시가화지역 유형별 적정개발밀도 산정: 도로수용력을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17(3), 45-60.
  15. 이명훈.김철, 2002, "도시개발사업에 있어 도시기반시설의 비용부담 실태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7(1), 219-229.
  16. 이병대.심재승, 2013, "역세권 재생사례를 통한 지방 구도심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지, 15(1), 77-95.
  17. 이연수.진창종.추상호, 2012, "공간계량분석을 이용한 대중교통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적 특성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시 행정동을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13(4), 97-111.
  18. 이우섭.강민희.송재인.황기연, 2021, "클러스터링을 통한 역세권 잠재 개발역량 평가 연구: 서울시 2호선 대중교통 용량 및 토지 특성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6(6), 113-127.
  19. 이윤상.남진, 2014, "서울시 상업지역의 개발밀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9(8), 63-77.
  20. 이응현.오덕성, 2008, "도심재생 측면에서 본 고속철도 역세권 개발 (계획)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4(6), 253-264.
  21. 이재영.송태수, 2004, "수도권 신도시의 역세권과 지하철 이용행태 변화분석", 국토계획, 39(4), 93-103.
  22. 이지은, 2011, "서울시 지역특성이 실현용적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octoral dissertation, 한양대학교).
  23. 이창중.이창수.김찬호, 2022, "AHP 분석을 이용한 도시재생사업의 민간자본 참여 의사결정요인 분석: 사업성과 사업구조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25-48.
  24. 정은주.정봉현, 2015, "고속철도 환승센터 주변 역세권 아파트 가격 변화에 관한 연구: 광주송정역을 사례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7(5), 245-262.
  25. 조영진, 2008, "보행접근 특성을 고려한 지하철역세권 지가입지특성 분석 연구" (Doctoral dissertation, 한양대학교).
  26. 조재욱.우명제, 2014, "고속철도 개통이 지역경제 및 균형발전에 미치는 영향: 대한민국 KTX 경부선.경전선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9(5), 263-278.
  27. 최수범, 2016, "역세권 복합개발과 지역 활성화의 구조적 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서울.
  28. 최호순.윤상오, 2021, "기초지방자치단체 내의 지역격차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천안시 원도심-신도심 지역격차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33(4), 659-686.
  29. 통계청, 2022, "장래인구추계(시도편): 2020~2050년", 보도자료.
  30. 허창무, 2010, "복합민자역사 개발로 인한 주변 상업시설 지가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9.
  31. Bhattacharjee, S., & Goetz, A. R., 2016, The rail transit system and land use change in the Denver metro region.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54, 440-450.
  32. Daneshpour, A., & Shakibamanesh, A., 2011, Compact city; dose it create an obligatory context for urban sustainab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 urban planning, 21(2), 110-118.
  33. Huang, X., Liang, Q., Feng, Z., & Chai, S., 2020, A TOD planning model integrating transport and land use in urban rail transit station areas, IEEE Access, 9, 1103-1115.
  34. Kidokoro, T., 2020,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TOD) policies and station area development in Asian cities, In IOP Conference Series: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Vol. 532, No. 1, p. 012001). IOP Publishing.
  35. Ma, X., Chen, X., Li, X., Ding, C., & Wang, Y., 2018, Sustainable station-level planning: An integrated transport and land use design model for transit-oriented development.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170, 1052-1063.
  36. Monajem, S., & Nosratian, F. E., 2015, The evaluation of the spatial integration of station areas via the node place model; an application to subway station areas in Tehran,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Transport and Environment, 40, 14-27.
  37. Mouratidis, K., 2019, Compact city, urban sprawl, and subjective well-being, Cities, 92, 261-272.
  38. van Eggermond, M. A., & Erath, A., 2016, Pedestrian and transit accessibility on a micro level: Results and challenges. Journal of Transport and Land Use, 9(3), 127-143.
  39. Yao, Y., Pan, H., Cui, X., & Wang, Z., 2022, Do compact cities have higher efficiencies of agglomeration economies? A dynamic panel model with compactness indicators, Land Use Policy, 115, 106005.
  40. Zhao, Z., Yan, J. B., Liang, D., & Ye, S. Q., 2014, Pedestrian flow characteristic of typical metro station near the commercial property, Procedia engineering, 71, 8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