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Artificial Menopause on Diagnosis of Common Cancers in Women: Focusing on Thyroid Cancer, Breast Cancer, and Cervical Cancer

인공폐경이 여성의 다빈도암 진단에 미치는 영향: 갑상선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을 중심으로

  • Hyun-Jung Jung (Dept. of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Dongguk University Wise Campus) ;
  • Ji-Kyeong Park (Dept. of Healthcare Management, Dong-eui University)
  • 정현정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보건의료정보학과) ;
  • 박지경 (동의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Received : 2024.04.24
  • Accepted : 2024.05.08
  • Published : 2024.05.31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artificial menopause on the diagnosis of thyroid cancer, breast cancer, and cervical cancer,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cancer prevention and early diagnosis in women. Methods: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aw data from the 2011-2020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mong the 79,262 people surveyed in the 2011-2020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0,207 people were selected as the final research subjects, excluding men, those under 18 years old, those over 80 years old,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health survey, those with missing data, and those who were not in menopause. Among them, 248 people were diagnosed with thyroid cancer (2.7%), 225 people were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2.5%), and 143 people were diagnosed with cervical cancer (21.5%). Results: First, there appeared to be differences between the thyroid cancer diagnosed group and the non-diagnosed group depending on educational level, childbirth experience, and menopause type. Second, there appeared to be differences between the breast cancer diagnosis group and the non-diagnosis group depending on educational level, menopause age, pregnancy experience, childbirth experienc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menopause type. Third, there appeared to be differences between the cervical cancer diagnosis group and the non-diagnosis group depending on menopause ag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menopause type. Fourth, compared to natural menopause, in the case of artificial menopause, the diagnosis probability of women increased by 2.010 times for thyroid cancer, 3.872 times for breast cancer, and 14.902 times for cervical cancer. Conclusion: For thyroid cancer, breast cancer, and cervical cancer, the probability of cancer diagnosis increases in the case of artificial menopause compared to natural menopause, so it is considered important to avoid experiencing artificial menopause to prevent cancer.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폐경이 갑상선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진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여성의 암 예방과 조기진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2011년-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011년-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조사대상자 79,262명 중 남성, 18세 이하, 80세 이상, 건강설문 미참여자, 결측치, 폐경 상태가 아닌 자를 제외하고 10,207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 중 갑상선암 진단자 248명(2.7%), 유방암 진단자 225명(2.2%), 자궁경부암 진단자 143명(1.5%)으로 나타났다. 결과: 첫째, 갑상선암 진단군과 비진단군 간에 교육수준, 출산경험, 폐경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방암 진단군과 비진단군 간에 교육수준, 폐경 연령, 임신경험, 출산경험, 주관적 건강상태, 폐경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궁경부암 진단군과 비진단군 간에 폐경 연령, 주관적 건강상태, 폐경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연폐경에 비해서 인공폐경의 경우 여성의 진단 확률은 갑상선암이 2.010배, 유방암이 3.872배, 자궁경부암이 14.90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갑상선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모두에서 자연폐경에 비해서 인공폐경의 경우에 암 진단 확률이 증가하므로 암의 예방을 위하여 인공폐경을 경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구혜자. (2019). 한국 성인 여성의 폐경 여부가 유방암에 미치는 영향. 융합정보논문지, 9(5), 65-76. 
  2. 국가암정보센터. (2024a). 암 발생률. Retrived from https://www.cancer.go.kr/lay1/S1T639C640/contents.do 
  3. 국가암정보센터. (2024b). 갑상선암. Retrived from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12/cancer/view.do?cancer_seq=3341&menu_seq=3346 
  4. 김정애. (2008). 유방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박사학위논문]. 서울: 중앙대학교 대학원.
  5. 김현순. (2015). 폐경 여성의 정신건강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박사학위논문]. 경산: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6. 남궁성은, 맹광호. (1996). 우리나라에서 암 조기진단의 현황과 전망. 대한의사학회지, 39(8), 914-919. 
  7. 남영희. (2023). 유방암 환자 사망의 역학적 특성과 건강증진 방안 : 국가 암등록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24(1), 1-15. 
  8.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부인과학. 서울: 고려의학.
  9. 대한산부인과학회. (2024). 자궁경부암의 발생. Retrived from https://www.ksog.org/public/index.php?sub=4&third=4 
  10. 대한폐경학회. (2011). 폐경 후 여성에서 호르몬 치료와 유방암에 대한 대한폐경학회의 입장. 대한폐경학회지, 17(3), 125-126. 
  11. 문순화, 최수용, 이태용, 정영채. (1997). 여성의 유방암, 자궁경부암 및 난소암 발생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역학회, 19(2), 161-179. 
  12. 박미남. (2019). 인공폐경 유방암 여성과 자연폐경 여성의 갱년기 증상과 삶의 질[석사학위논문]. 수원: 아주대학교 대학원.
  13. 송노순, 박희옥. (2012). 자연폐경과 인공폐경의 갱년기 증상과 갱년기 적응 비교: 양적연구, 계명간호과학, 16(1), 1-11. 
  14. 신현숙, 이은주. (2020). 폐경 여성의 삶의 질 영향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6(4). 336-345. 
  15. 신혜숙. (1995). 폐경기 경험에 관한 연구 : Q 방법론적 접근. J Korean Acad Nurs, 5(4), 807-824. 
  16. 안응식. (1990). 자궁내막암의 역학과 진단, 대한산부인과학회지, 33, 1649. 
  17. 오현경. (2018). 남성과 여성의 갑상선암과 환경적 위험요인의 관계 비교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8. 이예진, 노영민, 이주현, 강홍익, 노진원. (2018). 여성의 폐경연령과 건강 요인 및 건강 행태의 연관성. 미래사회, 9(1), 35-45. 
  19. 이윤아. (2022). 일반암과 여성암에서의 정신질환 이환에 대한 차이 분석[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 이은해, 김정범. (2015). 선호음악 감상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성인 유방암환자의 우울 및 수면에 미치는 효과. 의료케뮤니케이션, 10(2), 115-126. 
  21. 임정자. (2001). 일 농촌지역 중년여성의 스트레스와 여성암 예방행위[석사학위논문]. 광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22. 전희정, 강승엽. (2023). 3대 사망원인 사망률을 통한 지역 간 건강격차 비교연구. 국토계획, 58(2), 38-51. 
  23. 최성인, 성미혜. (2024). 보조적 항암요법을 받은 여성 유방암 생존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구조모형. 글로벌 건강과 간호, 14(1), 71-83. 
  24. 통계청. (2024). 2022년 사망원인통계 결과. Retrived from https://kostat.go.kr/board.es?mid=a10301060200&bid=218&act=view&list_no=427216 
  25. Allegra JC, Lippman ME, Thompson EB, Simon R, Barlock A, et al. (1979). Distribution, frequency, and quantitiative analysis of estrogen, progesterone, androgen, and glucocorticoid reseptors in human breast cancer. Cancer Res, 39(5), 1447-1454. 
  26. Avis NE, Crawford S, Stellato R, Longscope C. (2001). Longitudinal study of hormone levels and depression among women transitioning through menopause. Climacteric, 4(3), 243-249. 
  27. Gonzalez-Palacios Torres C, Barrios-Rodriguez R, Munoz-Bravo C, Toledo E, Dierssen T, et al. (2023). Mediterranean diet and risk of breast cancer: An umbrella review. Clin Nutr, 42(4), 600-608. 
  28. Cordina-Duverger E, Leux C, Neri M, Tcheandjieu C, Guizard AV, et al. (2017). Hormonal and reproductive risk factors of papillary thyroid cancer: A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in France. Cancer Epidemiol, 48, 78-84. 
  29. Marcela GD Carmen, Laurel WR. (2017). Management of menopausal symptoms in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s. Gynecol Oncol., 146(2), 427-435. 
  30. Shin S, Sawada N, Saito E, Yamaji T, Iwasaki M, et al. (2018). Menstrual and reproductive factors in the risk of thyroid cancer in Japanese women: the Japan Public Health Center-Based Prospective Study. Eur J Cancer Prev, 27(4), 361-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