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청소년의 생활습관과 흡연경험의 연관성: 흡연경험자와 비경험자의 비교 중심으로

Association between adolescents lifestyle habits and smoking experience: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smokers

  • 강세리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의무기록팀) ;
  • 이경희 (을지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 조상옥 (우송대학교 보건의료경영학과)
  • Seri Kang (Department of Medical Record, Seoul Medical center,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
  • Kyunghee Lee (Department of Healthcare Management, Eulji University) ;
  • Sangok Cho (Department of Healthcare Management, Woosong University)
  • 투고 : 2024.03.30
  • 심사 : 2024.04.19
  • 발행 : 2024.05.31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생활습관과 흡연경험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청소년 흡연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제17차(2021년) 자료를 활용한 2차 자료 분석으로 설계하였다. 연구대상은 796개 학교 54,848명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변수는 일반적특성, 흡연유무와 생활습관인 식습관, 신체활동습관, 수면습관, 스트레스인지정도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 흡연유무에 따른 일반적특성과 생활습관의 차이는 빈도분석과 Pearson Chis-square 검정을 실시하였다. 생활습관이 흡연경험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8을 이용하였고 p<0.05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결과: 일반적 특성에서 흡연경험이 있는 그룹에서 흡연경험이 없는 그룹보다 남학생이 더 많았다(67.4% : 50.1%)(p<0.001). 흡연경험 유무에 따른 생활습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흡연경험이 있는 그룹에서 아침식사를 0일 하는 경우(27.7%), 과일섭취를 0번하는 경우(17.8%), 패스트푸드를 매일 3번이상 먹는 경우(0.9%)가 더 많았다(p<.001). 흡연경험 유무에 따른 신체활동습관은 흡연경험이 있는 그룹에서 60분 이상 숨이 찬 정도의 신체활동을 주 7회 하는 경우(8.4%), 고강도 신체활동을 주 5일 이상 하는 경우가(18.7%)가 더 많았다(p<.001). 수면을 통해 피로회복 정도는 흡연경험이 있는 그룹에서 전혀 충분하지 않다(21.6%)와 평상시 스트레스를 느끼는 정도가 아주 심한 경우(17.2%)가 흡연경험이 있는 그룹에서 더 많았다(p<.001). 생활습관과 흡연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아침식사를 0일 하는 경우가 매일 하는 경우 보다 흡연가능성이 증가하였으며(OR=1.759, p<.001), 과일섭취를 0번 섭취하는 경우가 매일 3번 이상 섭취하는 경우보다 흡연경험 가능성이 증가하였다(OR=1.921, p<.001). 패스트푸드 섭취를 0번 하는 경우는 매일 3번 이상하는 경우보다 흡연경험 가능성이 감소하였다(OR=0.206, p<.001). 수면으로 피로회복정도가 충분한 경우는 충분하지 않는 경우보다 흡연경험 가능성이 감소하였으며(OR=0.458, p<.001),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느끼는 경우는 스트레스를 느끼지 않는 경우보다 흡연경험 가능성이 증가하였다(OR=1.260, p<.05). 결론: 청소년의 생활습관은 흡연경험과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흡연 예방을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 시 흡연행위 뿐만아니라 생활습관을 고려하여 다각적인 측면으로 교육 및 지도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가 건강하고 올바른 생활습관 개선을 통한 청소년의 흡연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preventing adolescents smoking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lifestyles and smoking experiences and identifying influencing factors. Methods: Secondar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17th (2021)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data, encompassing 54,848 students from 796 schools. Variables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smoking status, lifestyle habits, physical activity, sleep patterns, and stress perception.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general characteristics, while further analysis employed frequency analysis and the Pearson Chi-square test to compare lifestyle differences based on smoking presenc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determine factors influencing smoking experience, with IBM SPSS Statistics 28 used for all analyses at a significance level of p<.05. Results: Analysis revealed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the group with smoking experience exhibited a higher proportion of male students (67.4%) compared to the non-smoking group (50.1%) (p<.001). Analysis revealed that the smoking group was more likely to skip breakfast (27.7%), not consume fruit (17.8%), and consume fast food more than three times daily (0.9%). Furthermore, a higher percentage of smokers engaged in 60 minutes or more of breathless physical activity (8.4%) seven times a week, reported insufficient fatigue recovery through sleep (21.6%), and experienced very severe normal stress (17.2%) (p<.001).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smoking indicated increased likelihood of smoking with zero breakfast consumption (OR=1.759, p<.001) and increased fruit consumption (OR=1.921, p<.001), while zero fast food consumption decreased smoking likelihood (OR=0.206, p<.001). Adequate sleep-related fatigue recovery reduced smoking likelihood (OR=0.458, p<.001), whereas increased stress elevated it (OR=1.260, p<.05). Conclusion: Adolescents' lifestyle habit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smoking experiences, highlighting the necessity of considering lifestyle factors in smoking prevention strategies. This study provides crucial insights for promoting healthy lifestyle changes to prevent smoking among youth.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연희, 김태준. (2011). 청소년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과 친구요인에 관한 연구. The Journal of Transactional Analysis & Counseling, 1(1), 47-71. 
  2. 김동순 외 5명. (2012). 우리나라 청소년의 흡연경험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련성.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7(4), 937-944.  https://doi.org/10.13067/JKIECS.2012.7.4.937
  3. 김선미. (2016). 중학교 남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에 대한 연구: 흡연, 금연, 비흡연 집단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인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4. 남형경.(2022). 청소년의 수면에 따른 수면의 질과 식습관 및 건강행태 분석.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8(12), 60-72. 
  5. 라진숙, 조윤희. (2014). 신체활동이 고등학생의 흡연경험 및 흡연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7(3), 181-188  https://doi.org/10.15434/KSSH.2014.27.3.181
  6. 송혜영, 두은영, 최수진. (2017). 한국 청소년의 건강행태 및 정신건강과 흡연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7), 557-570.  https://doi.org/10.5392/JKCA.2017.17.07.557
  7. 신문기사(인터넷): 최서은. 뉴질랜드 '담배금지법' 통과, 09년생부터 담배 못산다…"담배 없는 미래 향한 한 걸음" 경향신문 2022년 12월 14일자 
  8. 윤석준, 하범만, 강종원, 장혜정. (2001). 우리나라 흡연으로 인한 조기 사망의 질병부담. 예방의학회지, 34(3), 191-199. 
  9. 이경상, 이순래, 김지연. (2013). 청소년 흡연관련 정책현황 및 개선방향. 청소년보호연구, 22, 285-317. 
  10. 이경희, 정우진, 이선미. (2006). 스트레스 수준과 흡연 여부의 관련성. 가정의학회지, 27(1), 42-48 
  11. 이윤경, 류소연. (2018). 우리나라 흡연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흡연유형 관련요인: 제 11차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2), 303-311. 
  12. 이진화, 권민. (2021). 코로나 19 팬데믹 전후 청소년의 건강행태 비교: 2019~2020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를 이용한 2차 자료분석.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제, 34(3), 179-189.  https://doi.org/10.15434/KSSH.2021.34.3.179
  13. 이현석, 허정훈. (2017). 신체활동 기반 흡연 예방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흡연에 대한 생각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6(3), 771-781, 
  14. 정은희. (2002). 경기 일부 지역 고등학생의 흡연실태와 식습관.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3(3), 39-51. 
  15. 정혜경. (2001).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High School Student's Smoking Experienc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610-618 
  16. 조규희, 목형균. (2019). 청소년의 흡연경험과 관련요인 분석: 가족구조, 가정 내 간접흡연경험, 친한친구 흡연 중심으로. 대한보건연구 (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45(3), 69-82 
  17. 조선희, 엄애용, 전경숙. (2012). 청소년의 흡연 및 음주행태와 사회경제적 수준과의 관계. 보건의료산업학회지, 6(4), 12. 
  18. 질병관리청, 2023. https://www.phwr.org/journal/view.html?uid=145&vmd=Full 
  19. 최지혜, 박아현, 김혜경. (2020). 청소년의 흡연시작과 상시흡연경험 탐색. 보건과 사회과학, 55(1), 31-56. 
  20. 최지희, 전진아. (2017). 청소년의 정신건강 현황과 건강행태와의 관련성. 보건복지포럼, 2017(3), 72-83.  https://doi.org/10.23062/2017.03.7
  21.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21.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 5차. 서울: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2. 황병덕, 김윤정. (2021). 청소년의 신체활동과 음주, 흡연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5(2), 79-90. 
  23. Aredo, J.V., Luo, S.J., Gardner, R.M., Sanyal, N., Choi, E., et al. (2021). Tobacco Smoking and Risk of Second Primary Lung Cancer. J Thorac Oncol,16(6), 968-979.  https://doi.org/10.1016/j.jtho.2021.02.024
  24. Eisenhauer, E.A., Schwartz, R., Cunningham, R., Hagen, L., Fong, G.T., et al. (2022). Perspective on Cancer Control: Whither the Tobacco Endgame for Canada? Curr Oncol, 29(3), 2081-2090.  https://doi.org/10.3390/curroncol29030168
  25. Jain, D., Chaudhary, P., Varshney, N., Bin Razzak, K.S., Verma, D., et al. (2021). Tobacco Smoking and Liver Cancer Risk: Potential Avenues for Carcinogenesis. Journal Oncol, 2021, 11.
  26. Lee, Gyuil.(2021). The necessity of youth physical activity and role and task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COVID 19.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28, 175-198  https://doi.org/10.21812/kjsp.2021.1.28.1.175
  27. Park, Min-Hee.(2022).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ho smoke daily.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4(6), 2343-2354  https://doi.org/10.37727/jkdas.2022.24.6.2343
  28. Walters, E. H., & Barnsley, K. (2015). Tobacco-free generation legislation. Med J Aust,202(10), 509-510. https://doi.org/10.5694/mja15.0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