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arrier Free in Library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Case of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University Library -

도서관 건축에 있어서 베리어프리 적용 현황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대학 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

  • 김채이 (광주여대 대학원, 실내건축학과) ;
  • 김홍배 (광주여자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
  • Received : 2024.04.01
  • Accepted : 2024.04.29
  • Published : 2024.05.25

Abstract

This study is to use B.F. certification standards to identify the application and differences of B.F. facilities according to various approaches, and to use the analysis results as basic data for the expansion and renovation of new facilities, the National University (Jeonnam University Library), which underwent remodeling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two newly established private universities (Joseon University Library) that were subject to legal application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certification system. First, Chosun University met more B.F. certification standards tha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mainly intermediary facilities belonged to the best to the best. Second, Chosun University and Chonnam National University's internal facilities met many B.F. certification standards, and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ad many areas to improve and found areas to remodel. Third, information facilities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Chosun University only had facilities for the hearing impaired, and there were no information facilit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Facilit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had to be installed, and compared to Chosun Univers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fell short of the B.F. certification standard, so there were many areas that needed to be remodeled.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24학년도 광주여자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김보일,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3), 2010. 
  2. 민경석, 지방대학 캠퍼스의 Barrier Free Design을 위한 설계 VE품질모델 및 가중치 제안,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8(1), 2006. 
  3. 조영행, 대학도서관의 유니버셜디자인 원리에 따른 적용성 평가,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4(10), 2008. 
  4. 문지원, 김상희, 최동식, K대학 캠퍼스 보행공간에 대한 유니버셜 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6(2), 2011. 
  5. 전용석, 유니버설디자인의 관점에서 분석한 국내 공공도서관의 무장애 환경 평가,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51), 2015. 
  6. 배경재, 강지혜, 차성종, 도서관장애인서비스의 매뉴얼구성요소에 한 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2(2), 2018. 
  7. 최승철, 배리어프리 인증 건축물에 대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4(5), 2013. 
  8. 박시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의 개요와 인증현황, 2009. 
  9. 배동식,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에 따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17(3), 2022. 
  10. 이경성,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공공건축물 분석을 통한 B.F 인증 지표 개선방안에 관한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1. 한국장애인개발원 홈페이지,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제10조의 2 제3항. 
  12. [네이버 지식백과] 조선대학교 [Chosun University, 朝鮮大學校]. 
  13. 네이버 기관단체사전 : 학교, 굿모닝미디어. 
  14. 조선대학교 중앙도서관 홈페이지/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