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제 음악축제의 지역 애착도, 사전지식, 관여도가 지역 이미지, 축제에 대한 태도 및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xamining the Impact of Local Attachment, Prior Knowledge, and Involvement in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on Destination Image, Attitude and Support

  • 정젤나 (우송대학교 글로벌호텔매니지먼트학과) ;
  • 김우혁 (국립인천대학교 소비자학과 ) ;
  • 김나연 (국립인천대학교 소비자학과) ;
  • 김성범 (인하대학교 경영학과)
  • Jellna Chung (Department of Global Hotel Management, Woosong University) ;
  • Woohyuk Kim (Department of Consumer Science,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 Nayeon Kim (Department of Consumer Science,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 Sung-Bum Kim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Inha University)
  • 투고 : 2024.02.29
  • 심사 : 2024.03.24
  • 발행 : 2024.03.31

초록

Purpose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attachment, prior knowledge and involvement in the festival, and local image, attitudes toward and support for the festival among people who have visited the Incheon Pentaport Music Festival, the largest music festival in Korea. Design/methodology/approach - A total of 250 sampl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SPSS 26.0 and AMOS 21.0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Findings -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only local attachmen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local image. On the other hand, prior knowledge or involvement in the Incheon Pentaport Music Festival was found to be unrelated to local image. Second, local attachment and involvemen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but prior knowledge was not significant. Last, this paper examined the influence of festival area image and attitude toward the festival on festival support, and found that both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support.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study expands the scope of research on music festivals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ourist attraction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revitalization of music festivals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광민, 김생수(2018). 광주지역 자원기반 관광 콘텐츠가 지역이미지와 지역주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기업경영리뷰, 9(1), 71-89.
  2. 강순화, 이경모(2009). 축제서비스품질이 고객유지와 구전에 미치는 영향연구. 대한경영학회 학술연구발표대회, 2009(1), 1127-1145.
  3. 고계성, 이영진, 고미영(2011). 제주도 해양관광개발에 대한 영향인식과 지지도 관계 분석, 편인과 비용차원 관점 적용. 관광학연구, 35(9), 139-161.
  4. 고민환, 김미영, 이충기(2019). 대학교육서비스 품질이 교육서비스 가치, 학생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VAB 모델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1(9), 445-461.
  5. 김도훈, 김진국(2014). 스포츠이벤트 개최에 따른 지역사회 기여도와 지역이미지, 스포츠경기 유치의사와의 관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19(3), 149-160.
  6. 김미정 (2020). 지역 축제이미지가 방문객만족 및 지역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진도 신비의 바닷길 축제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2(11), 145-162.
  7. 김범진, & 고호석(2019). 지역축제의 매력성 및 관여도가 관광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2018 마산어시장수산물축제를 중심으로. 지역산업연구, 42(1), 315-337.
  8. 김성범, 권기준(2022). 축제 방문동기, 사전지식, 관여도가 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국하얼빈국제빙설축제를 중심으로. 아태비지니스연구, 13(1), 317-333.
  9. 김성조, 임재문, 유창근(2014). 음악축제의 방문 동기와 태도가 만족도,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인천 펜타포트락 페스티벌을 중심으로-관광학연구, 38(9), 315-337.
  10. 김영표 (2019). 축제방문동기에 따른 축제방문객 시장세분화: 강릉단오축제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1(6), 151-165.
  11. 김용대, 김재석(2016). 축제태도가 참여수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8(6), 215-233.
  12. 김정준(2016). 지역축제 관광객들의 방문동기가 관여도, 축제만족도, 그리고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보령머드축제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8(9), 429-445.
  13. 김종규(2012). 해양스포츠이벤트 개최지 지역주민의 지역애착도와 태도 관계. 관광경영연구, 51, 27-46.
  14. 김지희, 윤설민(2011). 테마파크 내 체험에 따른 인지적, 정서적 구성개념의 영향력 검증. 고객만족경영연구, 13(3), 65-84.
  15. 김진완(2014). 지역축제 환경단서에 따른 지역사회 애착도가 지역축제 태도와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2014 은평누리축제를 사례로. 관광경영연구, 18(4), 167-190.
  16. 김헌철(2014). 철마한우 불고기 축제 방문객 방문 동기에 기초한 시장세분화와 만족도, 재방문에 관한 연구. 호텔관광연구, 16(5), 334-350.
  17. 김홍길(2012). 지역축제 평가속성과 방문객 만족 및 행동의도와의 관계-부산국제영화제를 대상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19(2), 409-434.
  18. 노윤구(2006). 축제에 대한 지역사회 애착도가 주민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19. 도현래, 나상필, 박정익(2016). 지역애착도에 따른 개최효과인식이 축제 개최지 지역민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역산업연구, 39(3), 323-340.
  20. 류인평, 김정준(2010). 관광동기와 관여도에 따른 관광목적지 매력성 연구. 관광경영연구, 14(3), 69-93.
  21. 문용철(2020). 반딧불이 생태관광의 매력성과 지역주민의 참여가 지역이미지 및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탐라문화, (63), 183-223.
  22. 문재정, 황진수. (2023). 확장현실 레스토랑에 대한 지각된 혁신성이 태도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과 연령의 조절효과. 관광학연구, 47(4), 53-75.
  23. 박종부, 이수범. (2018). 지역축제 체험요소가 축제 이미지, 지역 이미지 및 지역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성 남사당 바우덕이 축제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2(8), 163-175.
  24. 박준범(2014). 지역축제 브랜드자산이 개최성과, 지역애착도 및 지역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배민영, 이현지, 정지연(2020). 지역축제에 대한 사전지식이 관광객의 지역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9(4), 33-50.
  26. 백경미, 류시영, 채용식(2017). 축제 품질이 장소애착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2016 횡성한우축제 방문객을 중심으로. 이벤트컨벤션연구, 27, 19-32.
  27. 백성우, 김주호 (2021). 음악축제의 만족도 평가 비교분석: 2017~2019 영동난계국악축제를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25(2), 101-120.
  28. 부소영(2003). 축제의 지역이미지에 대한 영향관련 내용분석. 관광학연구, 27(2), 113-132.
  29. 서철현(2017). 지역축제 이미지가 지역애착도 및 축제의 개최성과에 미치는 영향: 청도 반시축제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9(3), 327-346.
  30. 성보현, 소연수, 최영석(2014). 지역축제 방문객 집단별 만족도 및 재방문의도 분석-2012 인천펜타포트 음악축제를 중심으로-관광연구논총, 26(1), 147-166.
  31. 성정원, 김주후(2023). 지리교과의 정의적 성과 측정도구 개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31(1), 165-181.
  32. 손선미(2017). 축제의 품질과 프로그램 만족이 후속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벤트컨벤션연구, 26, 1-16.
  33. 손은호, 박덕병(2010). 관광영향인식이 지역주민의 지지에 미치는 영향. 농촌경제 33 (5), 59-77.
  34. 손종원, 나승화(2014). 지역주민의 축제 참여동기와 만족도가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유달산 봄꽃 축제를 중심으로. 유통과학연구, 12(8), 103-112.
  35. 신동식(2013). 지역축제 체험 가치가 지역 브랜드 자산 및 지역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현 연구. 서비스경영학회지, 14(2), 99-124.
  36. 신재기, 정화민 (2011). 지역문화축제 방문자의 전반적 만족과 재방문의도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2011 인천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을 중심으로-무역연구, 7(4), 545-559.
  37. 안정원, 이순묵, 정현주, 이회영 (2019). 다수준 분석 시에 동질상향적 개념의 측정을 위해 참조점 이동의 필요 여부에 대한 판단방법으로서 다집단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2(1), 29-53.
  38. 안주석, 이승곤(2019). 음악콘텐츠와 지역이미지가 관광목적지 방문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적용. 관광연구저널, 33(7), 37-53.
  39. 양성수, 고미영(2020). 제주마축제의 서비스 품질, 지각된 가치, 축제만족, 축제태도 간의 관계-최초방문객과 재방문객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16(1), 51-73.
  40. 양승훈(2019). 대중문화와 지역축제: 대중문화 관심도, 대중문화 스타와의 준사회적 상호작용, 참가자 만족도, 재참가 의도 그리고 타문화 이해도의 관계를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28(5), 1-14.
  41. 양정미, 최종률 (2011). 남원허브축제 참가자의 참가동기가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1(3), 101-113.
  42. 엄지영, 유선영(2016). 축제 이미지가 도시브랜드자산 및 지역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31(2), 131-150.
  43. 원미란, 최인섭(2018). 축제 체험요소가 감정반응, 몰입,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제천국제음악영화제를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36(4), 43-54.
  44. 위효린, 박은주, 최명길(2018). 대중음악축제의 서비스 품질이 지각된 가치, 고객만족도 및 축제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30(4), 267-287.
  45. 유양호, 강상묵(2011). 호텔레스토랑 와인이벤트와 고객행동의도의 관계에서 관여도의 매개효과. Tourism Research, (33), 101-115.
  46. 윤종국, 한권상(2005). 스포츠이벤트 참가자의 지역사회 애착도와 지역사회 형성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3, 605-616.
  47. 이경률, 주희엽, 이승훈(2013). 음악축제 방문자의 몰립과 확산태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129-130.
  48. 이덕순(2013). 음식관광 관여도와 동기가 참여활동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8(5), 325-342.
  49. 이덕순(2017). 축제방문객의 방문동기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전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74, 227-246.
  50. 이미혜(2013). 축제 체험프로그램 참가자의 몰입경험이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기업경영연구, 48, 191-210.
  51. 이성원, 이동명(2022). 구독 상품의 추천 서비스가 구독 태도와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 효과. 고객만족경영연구, 24(4), 17-38.
  52. 이세원, 김봉석(2013). 전시참가업체의 전시회 충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관여도 및 사전지식의 세분화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37(4), 331-354.
  53. 이순갑, 하규수. (2007). 아파트 구매행동에 미치는 지역이미지의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강남지역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9(1), 171-200.
  54. 이애용, 홍경완(2017). 원예활동의 관여도가 회복환경지각과 플로우 (flow) 에 미치는 영향: 꽃박람회를 사례로. 관광연구, 32(3), 81-99.
  55. 이정은(2019). 지역축제의 사회적 자본이 지역사회의 애착도, 성과 및 지역애호도간의 구조적 관계: 2018 년 밀양강오딧세이 공연을 중심으로. MICE 관광연구, 19(1), 105-124.
  56. 이제용, 김영표(2021). 문화관광축제의 경험적 가치가 장소 애착, 지역 이미지,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강릉커피축제를 중심으로. 호텔리조트연구, 20(6), 83-101.
  57. 이지나(2015). 중국 소셜커머스의 소비가치가 만족과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희소성 메시지의 조절효과, 대한경영학회지, 28(6), 1645-1662.
  58. 이후석, 오민재(2014). 지역애착과 관광영향인식이 메가 스포츠이벤트 개최 지지여부에 미치는 영향: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최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관광연구저널, 28(12), 5-16.
  59. 이훈(2006). 축제체험의 개념적 구성모형. 관광학연구, 30(1), 29-46.
  60. 임찬혁, 김지태(2014). 장애인스포츠이벤트 기대효과와 지역이미지의 관계에서 참여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체육학회지, 53(2), 589-601.
  61. 장옥려, 이익성, 추승우(2022). 축제 참가자의 축제품질, 감정반응 및 재참가 의도의 관계 연구: 중국 칭다오 국제맥주축제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4(2), 167-184.
  62. 전규미(2018). 지역축제의 축제품질, 참가자 만족, 인지적 이미지, 정서적 이미지 간의 관계연구: 2016 춘천국제마임축제를 중심으로. 한국관광레저학회학술발표대회, 89-99.
  63. 전수진, 황조혜(2022). 유튜브 랜선투어의 경험가치가 지역 이미지, 장소 애착 및 관광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31(5), 95-114.
  64. 정승환, 최영재, 정혜진(2019). 지역주민의 지역애착이 축제의 혜택, 손실 및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시흥갯골축제에 방문한 시흥시민을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28(4), 177-192.
  65. 정유리, 정성문, 강신겸(2017). 도시관광지 주민의 지역애착도가 관광개발 지지에 미치는 영향: 광주 근대역사문화마을 양림동을 대상으로. 관광연구저널, 31(7), 21-38.
  66. 조광익, 김남조(2002). 관광의 영향이 지역주민의 태도와 관광개발에 미치는 구조 효과 분석. 관광학연구, 26(1), 31-51.
  67. 조태영(2011). 지역축제 방문객의 방문동기에 따른 지역축제 이미지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금산 인삼축제 방문객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26(1), 421-440.
  68. 주아남(2014).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중국인 관광객의 한국관광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사전지식이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9. 천민호(2014). 축제 체험프로그램 참가자의 몰입경험이 지역이미지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6(9),327-343.
  70. 최수용, 한정훈(2019). 지역축제 서비스품질이 방문객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여도 조절효과 '2019 거제 바다로 세계로'축제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8), 55-67.
  71. 최종학, 김정구, 여준상(2012). 고객만족이 구전커뮤니케이션과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교욱서비스를 중심으로. 마케팅논집, 20(3), 155-176.
  72. 최창호, 유연우(2017). 상황변수의 조절효과 차이에 관한 연구 (SPSS와 AMOS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 연구, 15(2), 89-98.
  73. 최효주, 성보현, 김재학(2021). 지역 문화재 활용에 대한 인식, 전반적 만족도, 지지도 간의 인과 관계: 문화재야행을 중심으로. 지역정책연구, 32(3), 119-139.
  74. 현종협, 김경범(2016). 지역축제 이미지가 방문객의 만족도, 재방문 및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제주도세기축제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회논문지, 16(6), 493-506.
  75. Bagozzi, R., & Y. Yi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s, 16, 74-94.
  76. Bendall-Lyon, D., & Powers, T. L. (2002). The impact of gender differences on change in satisfaction over time.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9(1), 12-23.
  77. Chang, J. (2006). Segmenting tourists to aboriginal cultural festivals: An example in the Rukai tribal area, Taiwan. Tourism Management, 27(6), 1224-1234.
  78. Fan, Y. W., & Miao, Y. F. (2012). Effect of electronic word-of-mouth 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 The perspective of gender differ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Business Management, 10(3), 175.
  79. Fornell, C., & D. F. Larcker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80. Haferkamp, N., Eimler, S. C., Papadakis, A. M., & Kruck, J. V. (2012). Men are from Mars, women are from Venus? Examining gender differences in self-presentation on social networking sites.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5(2), 91-98.
  81. Huang, C. C., Y. M. Wang, T. W. Wu, & P. A. Wang (2013).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Antecedents and Performance Consequences of Using the Moodle Platform.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and Education Technology, 3(2), 217-221.
  82. Krugman, H. E. (1965). The impact of television advertising: Learning without involvement. Public opinion quarterly, 29(3), 349-356.
  83. Lee, J., & Beeler, C. (2009). An investigation of predictors of satisfaction and future intention: Links to motivation, involvement, and service quality in a local festival. Event management, 13(1), 17-29.
  84. Licata, J. W., Mowen, J. C., & Chakraborty, G. (1995). Diagnosing perceived quality in the medical service channel. Marketing Health Services, 15(4), 42.
  85. Low, S. M., & Altman, I. (1992). Place attachment: A conceptual inquiry. In Place attachment (pp. 1-12). Boston, MA: Springer US.
  86. McIntye, N. (1989). The personal meaning of participation: Enduring involvement.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1(2), 167-179.
  87. Simpson, J. A., & Rholes, W. S. E. (1998).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 The Guilford Press.
  88. Vandenberg, R. J., & C. E. Lance (2000). A Review and Synthesis of the Measurement Invariance Literature: Suggestions, Practices, and Recommendations for Organizational Research.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3(1), 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