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posal Strategy and Establishment Process of a New Scientific Theory Examined through the Theory of Continental Drift

대륙이동설을 통해 살펴본 새로운 과학이론의 제안전략과 확립과정

  • Jun-Young Oh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
  • Eun-Ju Lee (Dankook University)
  • 오준영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
  • 이은주 (단국대학교 과학교육과)
  • Received : 2023.11.30
  • Accepted : 2024.04.11
  • Published : 2024.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cientific activities of scientists justifying Wegener's continental drift in the 20th century, which is explained as a revolutionary process in earth science, and methodologically analyze the strategy of proposing new scientific theories and how the process of theory selection is carried out. Previously, the Earth was a static model and onl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rust was considered. However, the theory of continental drift proposed horizontal movement of the crust as a dynamic model of the Earth, eliminating numerous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rational activities of numerous scientists until the current plate tectonics theory was formed. Additionally, the theory of continental drift is in conflict with the theory of Earth shrinkage, which is an existing static model. In other words, it deviates from the existing mechanistic world view by presenting a dynamic model in which the Earth is created and changes, as opposed to a static model in which the Earth is already completed, fixed, and unchanged. As a result, old geology was weakened and new geophysics was born. The theory of continental drift and continued exploration by subsequent generations of scholars brought about a revolution in earth science. This can be said to be a good subject of investigation as educational material for various methodologies for students in earth science education, and as educational material for changing students' worldview.

이 연구의 목표는 지구과학의 혁명 과정으로 설명되는 20세기 베게너의 대륙이동을 정당화하는 과학자들의 과학 활동을 살펴보면서 새로운 과학 이론의 제안 전략과, 이론 선택의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방법론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베게너의 대륙 이동설 이전에는 지구는 정적인 지구모형으로 지각의 상하 운동만을 고려하였다. 하지만 대륙이동설은 지구의 동적 모형으로 지각의 수평운동을 제안하여, 수많은 문제들을 제거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현재의 판구조론이 형성되기까지 수많은 과학자들의 합리적인 활동을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대륙이동설은 기존의 정적모형인 지구수축설과 충돌한다. 즉, 지구가 이미 완성되고, 고정되고, 불변하는 정적인 모델이 아닌, 지구가 생성되고 변화하는 역동적인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기계론적 세계관에서 벗어난다. 이러한 결과, 옛 지질학은 약화되고 새로운 지구물리학이 탄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대륙이동설과 학문후속세대에 의한 지속적인 탐구는 지구과학의 혁명을 가져왔다. 이는 지구과학교육에서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방법론의 교육자료로서, 학생들의 세계관의 변화를 위한 교육 자료로서 좋은 탐구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2017S1A5A2A01023529).

References

  1. 교육부(2022).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2. 박기락(2023).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전략,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적 자기효능감과 과학 핵심역량의 구조적 관계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6(3), 351-362. https://doi.org/10.15523/JKSESE.2023.16.3.351
  3. 박기락, 최효식, 연은모(2017).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과학 태도 및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학업 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4), 669-677.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4.669
  4. 성열관, 김진수, 양도길, 엄태현, 김선명, 김성수(2017). 교육과정 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 통합하기. 서울: 살림터.
  5. 신재욱(1983). 지구과학 개론. 서울: 형설출판사.
  6. 오준영(2019). 서양 고대 그리스와 중세의 철학적 세계관, 그리고 근현대의 과학적 세계관의 영향.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7. 오준영, 이은주(2022). 과학교육을 위한 과학이론의 철학적 위치.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3), 354-372. https://doi.org/10.15523/JKSESE.2022.15.3.354
  8. 유권종(2021). 앎과 진실에 관한 동양철학 연구와 현대과학의 상호 연관에 대한 모색. 한국철학회 엮음, 현대과학과 철학의 대화(제9장). 서울: 한울 아카데미.
  9. 이기화(2015). 모든 사람을 위한 지진 이야기. 서울: (주)사이언스북스.
  10. 이미숙, 정진우, 김형범(2014). 판 구조론 학습에 사용되는 시각적 표상이 판구조론 개념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응답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2), 214-225.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2.214
  11. 이종필(2021). 우리의 태도가 과학적일 때. 서울: 사계절.
  12. 정병훈(2017). 과학기술과 철학-메타과학으로서의 철학. 경상대출판부.
  13. 조헌국(2014). 근대 과학자와 예술가의 사례를 통해 살펴 본 융복합교육으로서의 과학교육: 과학과 예술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8), 755-765.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8.0755
  14. 한국지구과학회(2021). 지구과학개론. 서울: 교학연구사.
  15. Bowler, P. J., & Morus, I. R. (2005). Making modern science: A historical survey.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6. Brennan, J. G. (1967). The meaning of philosophy (2nd ed.). New York: Harper & Row.
  17. Bryson, B. (2004). A short history of early everything. New York: Broadway Books.
  18. Chalmers, A. F. (1999). What is this thing called science? (3rd Edition). Cambridge: Hackett Publishing Company.
  19. Eames, S. M. (1977). Pragmatic natrualism: An introduction.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20. Fischer, E. P. (2020). Das wichtiste wissen. Munchen: Verlag C.H.Beck oHG.
  21. Fortey, R. (2004). The earth: An intimate history. London: David Godwin Associates.
  22. Gentner, D. (1983). Structure-mapping: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ogy. Cognitive Psychology, 7, 155-170.
  23. Gick, M. L., & Holyoak, K. J. (1983). Schema induction and analogical transfer. Cognitive Psychology, 15(1), 1-38. https://doi.org/10.1016/0010-0285(83)90002-6
  24. Gilbert, J. K. (2004). Models and modelling: Routes to more authentic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2(2), 115-130. https://doi.org/10.1007/s10763-004-3186-4
  25. Gribbin, J. (2003). Science: A history 1534-2001 (reprint edition). New York: Penguin Books.
  26. Holmes, A., & Holmes D. L. (1980). Geologia fisica. Ediciones Omega, Barcelona.
  27. Kuhn. T. S. (1962).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조형 옮김. (1980). 과학혁명의 구조.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8. Magnani, L. (2001) Abduction, reason, and science: Processes of discovery and explanation. New York: Kluwer Academic Plenum Publishers.
  29. Mayer, E. (1975). Evolution and the diversity of life. Ha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30. Oh, J.-Y. (2014). Understanding natural science based on abductive inference: Continental drift. Foundations of Science, 19(2), 153-174. https://doi.org/10.1007/s10699-013-9322-2
  31. Oh, J.-Y., & Jeon, E. C. (2017). Greenhouse effect in global warming based on analogical reasoning. Foundations of Science, 22(4), 827-847.
  32. Paixao, I., Calado, S., Ferreira, S., Alves, V., & Moras, A. M. (2004). Continental drift: A discussion strategy for secondary school. Science & Education, 13, 201-221. https://doi.org/10.1023/B:SCED.0000025566.18164.37
  33. Peirce, C. S. (1931-1958). Collected papers of Charles Sanders Peirce, vols 1-6, Hartshorne, and P Weiss(des), vols 7-8, A W Burks, (ed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34. Shubin, N. (2013). The universe within: Discovering the common history of rocks, planets, and people. New York: Pantheon Books.
  35. Smil, V. (2021). Grand transitions : how the modern world was made. Oxford University Press. 솝희 옮김. (2022). 대전환. 처음북스.
  36. Trigg, L. (1985). Ideas of human nature : historical introduction. Blackwell. 최용철 옮김. (2003). 인간 본성에 대한 철학적 논쟁(개정판). 서울: 간디서원.
  37. Wicander, R., & Monroe, J. S. (2006). Essentials of geology. USA; Tomson Brooks/C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