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ation on Learning Experiences Influencing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Perceptions of a 'Planning a Science Exhibition' Field Trip Program

'과학 전시전 기획' 탐방 프로그램에 대한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인식에 영향을 미친 학습 경험 탐색

  • Received : 2024.02.20
  • Accepted : 2024.03.24
  • Published : 2024.04.30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a field trip program called "Planning a science exhibition" and explored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program and learning experiences influencing them. To this end, 56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in grades 4-6 from in an university-affiliated science-gifted education institute in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e field trip program. After the program, the students answered a survey regarding their perceptions of the program. Additionally, 19 students were selected for group interviews to further explore their survey responses. Results showed that many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perceived the program positively in various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Some students also pointed out certain limitations of the program. Five interconnected learning experiences were identified as influencing the students' perceptions: "experiences fostering creativity", "non-residential camp-type project-based learning experiences", "self-directed learning experiences", "experiences utilizing digital devices", and "collaborative experiences". Educational implications regarding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과학 전시전 기획' 탐방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이 프로그램에 대한 초등 과학영재 학생들의 인식 및 이에 영향을 미친 학습 경험을 탐색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소속된 56명의 4~6학년 초등 과학영재 학생을 선정했다. 선정한 학생을 대상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그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설문을 했다. 또한 19명의 학생을 선정하여 설문에 대한 응답을 자세히 알아보기 위한 집단 면담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많은 초등 과학영재 학생들은 해당 프로그램에 대해 다양한 인지적 및 정의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일부 학생들은 해당 프로그램의 몇 가지 한계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이러한 인식에 영향을 미친 경험으로는 '창의성 발휘 경험', '비합숙 캠프형 프로젝트 학습 경험', '자기 주도적 학습 경험', '디지털 기기 활용 경험', '협업 경험'의 연계된 다섯 가지 학습 경험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오한(2017). 스크래치를 활용한 LT 협동학습이 초등정보영재의 민주시민성에 미치는 영향. 과학영재교육, 9(1), 61-70.
  2. 고아라, 이지원(2019). 과학-미술 융합 산출물에 대한 과학교사, 미술교사, 과학자, 미술가 집단 간의 창의성 평가 비교. 영재와 영재교육, 18(1), 101-121.
  3. 고예영, 유지연, 강훈식(2023).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학업 열정 향상을 위한 학습 경험 탐색. 초등과학교육, 42(2), 274-286.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3). 제4차 과학영재발굴.육성종합계획('23-'25). 세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 교육부(2023). 제5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23-2027). 세종: 교육부.
  6. 권용인, 손정주(2015). 초등과학영재를 위한 스마트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지구와 달의 운동' 주제를 중심으로. 현장과학교육, 9(1), 1-10. https://doi.org/10.15737/SSJ.9.1.201502.1
  7. 김미모아, 정진우, 김형범(2015). 과학박물관 탐방활동에서 나타난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의 관찰 유형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3), 57-67. https://doi.org/10.5392/JKCA.2015.15.03.057
  8. 김민주, 임채성(2017). 초등과학영재학생의 자기주도성과 과학창의성의 관계. 초등과학교육, 36(4), 379-393.
  9. 김상욱, 소금현(2016).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이 초등과학 영재아의 과학학습 동기, 창의적 인성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4(3), 364-371. https://doi.org/10.15717/BIOEDU.2016.44.3.364
  10. 김학범, 차정호(2021). STEAM 캠프를 통한 영재학급 고등학생의 융합인재소양과 창의적 인재 역량 변화. 과학교육연구지, 45(2), 231-246. https://doi.org/10.21796/JSE.2021.45.2.231
  11. 김현경(2022).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중학교 영재 학생의 인식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화학회지, 66(4), 323-332. https://doi.org/10.5012/JKCS.2022.66.4.323
  12. 김호숙, 김형석(2014). 정보과학 창의성 향상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8(4), 529-540.
  13. 류춘렬, 김희목, 권경아, 김지선, 정현철(2023). 제3차 과학영재발굴육성종합계획 성과분석: 정책집행 행위자 인식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33(2), 107-140.
  14. 박종원, 김진국(2013). 과학적 창의성 지도를 위한 활동자료의 개발과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310-327.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2.310
  15. 박혜영(2019). 팀 기반 프로젝트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성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화연구, 25(4), 283-297. https://doi.org/10.24159/JOEC.2019.25.4.283
  16. 서선진, 강훈식(2021).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경험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2), 133-144. https://doi.org/10.14697/JKASE.2021.41.2.133
  17. 신명렬(2022). 과학관 탐방학습에서 과학영재가 선호하는 전시물과 질문유형의 특징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심재호(2022). 과학자의 영재성과 과학자 연극캠프에 대한 과학영재 학생들의 인식. 과학영재교육, 14(3), 151-163.
  19. 안재홍, 권난주(2014). 지역과학교육자원지도(RSM)를 활용한 초등 융합과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교육논총, 34(3), 29-43.
  20. 안희정, 심재호, 양승원(2019). 원자력 홍보관의 탐방체험 활동에서 중등 영재반 학생들이 생성한 질문 유형 분석. 교사교육연구, 58(3), 363-374. https://doi.org/10.15812/TER.58.3.201909.363
  21. 여상인(2015). 과학영재를 위한 비형식 교육으로서의 영월지역 과학탐방 프로그램 개발. 교육논총, 35(1), 161-180.
  22. 여상인, 김영신(2005). 초등과학영재의 성격특성과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 교육과학연구, 36(2), 161-175.
  23. 윤리나, 김경화(2014). 비형식 과학교육 활성화를 위한 '주니어 도슨트' 제도 활용에 대한 연구. 현장과학교육, 8(3), 247-256. https://doi.org/10.15737/SSJ.8.3.201410.247
  24. 이갑정, 신동희(2020).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시기별 과학영재 교육 프로그램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4(1), 45-56. https://doi.org/10.24231/RICI.2020.24.1.45
  25. 이건희, 김선자, 박종욱(2009). 개방적 탐구를 강조한 탐방활동에서 나타난 초등과학 영재학생들의 활동 과정분석. 영재교육연구, 19(1), 1-23.
  26. 이봉우, 손정우(2017).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 성과분석을 통한 과학영재교육 발전방안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5), 775-785.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5.775
  27. 이상균, 김순식(2013). 지역체험자원을 활용한 STEAM 수업이 과학적 태도와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3), 261-270. https://doi.org/10.15523/JKSESE.2013.6.3.261
  28. 이상칠, 강경희(2018). 과학 캠프 활동이 과학 영재의 창의적 인성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 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5), 791-800.
  29.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2019). 최신 영재교육학개론. 서울: 학지사.
  30. 이준호, 김은진, 문두호(2016). 비형식 교육기관 활용을 위한 효과적인 과학 탐방활동지 개발 틀의 제안. 교사교육연구, 55(2), 271-291. https://doi.org/10.15812/TER.55.2.201606.271
  31. 이효녕, 백소연, 이현동(2017). 초등학교 비형식 과학 교육을 위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빛' 주제를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2), 122-139.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2.122
  32. 이희우, 임희준(2019). 초등 과학 수업에서 학생주도 인포그래픽 구성 활동의 효과. 한국교육학회지, 39(5), 625-635.
  33. 장은진(2018). 국내 비형식 과학교육 연구 경향 분석: 교육적 관점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지, 42(3), 293-307. https://doi.org/10.21796/JSE.2018.42.3.293
  34. 정경두, 강훈식(2021).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자유탐구 보고서의 시각화 자료 활용 실태 분석 -인포그래픽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2), 253-266.
  35. 정용석, 김영민(2019). 물리 기반 산출물의 반복적 정교화 과정을 통한 고등학생들의 집단 창의성 계발 연구. 새물리, 69(3), 253-264.
  36. 정은영, 김희수, 김종헌, 김칠영, 서은경, 장유순(2016). 탐구기능을 강화한 비형식 과학관교육이 과학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 46(1), 27-38.
  37. 조서연, 임명재, 임다미(2021).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학습자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실천공학교육논문지, 13(1), 213-219. https://doi.org/10.14702/JPEE.2021.213
  38. 최동열(2022).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협동학습 기반 소집단 토론 수업 모형 개발 - 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영재와 영재교육, 21(1), 109-139.
  39. 한문정(2015). 과학관 교수⋅학습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과학관 활용 교수 실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Bell, P., Lewenstein, B., Shouse, A. W., & Feder, M. A. (2009). Learning Science in Informal Environment: People, Places, and Pursuit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41. Blackburn, R. A. (2019). Using infographic creation as tool for science - Communication assessment and a means of connecting students to their departmental research.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96(7), 1510-1514. https://doi.org/10.1021/acs.jchemed.8b00981
  42. Fenichel, M., & Schweingruber, H. A. (2010). Surrounded by Science.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43. Jiao, J., David A., & Xinchun, W. (2016). Motivational factors in career decisions made by Chinese science museum educators. Adult Education Quarterly, 66(1), 21-38.
  44. Kolb, A. Y., & Kolb, D. A. (2005).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spaces: Enhancing experiential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 Education, 4(2), 193-212.
  45. Kothari, D., Hall, A. O., Castaneda, C. A., & McNeil, A. J. (2019). Connecting organic chemistry concepts with real-world contexts by creating infographic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96(11), 2524-2527.
  46. Larry, E. (2014). Visiting science museums during middle and high School: A longitudinal analysis of student performance in science. Science Education, 98(5), 815-839.
  47. Laursen, D. (2013). Co-participation among school children around a computer-based exhibit. Social Studies of Science, 43(1), 97-117. https://doi.org/10.1177/0306312712455114
  48. Lavie Alon, N., & Tal, T. (2015). Student self-reported learning outcomes of field trips: The pedagogical impac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8), 1279-1298.
  49. Mujtaba, T., Law rence, M., Oliver, M., & Reiss, M. J. (2018). Learning and engagement through natural history museums.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54(1), 41-67.
  50. Sample McMeeking, L. B., Weinberg, A. E., Boyd, K. J., & Balgopal, M. M. (2016). Student perceptions of interest, learning, and engagement from an informal traveling science museu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16(5), 253-264.
  51. Shaby, N., Ben Zvi Assaraf, O., & Tal, T. (2017). The particular aspects of science museum exhibits that encourage students' engagement.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26(3), 253-268.
  52. Worrell, F. C., Subotnik, R. F., Olszewski-Kubilius, P., & Dixson, D. D. (2019). Gifted student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70, 551-5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