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오한(2017). 스크래치를 활용한 LT 협동학습이 초등정보영재의 민주시민성에 미치는 영향. 과학영재교육, 9(1), 61-70.
- 고아라, 이지원(2019). 과학-미술 융합 산출물에 대한 과학교사, 미술교사, 과학자, 미술가 집단 간의 창의성 평가 비교. 영재와 영재교육, 18(1), 101-121.
- 고예영, 유지연, 강훈식(2023).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학업 열정 향상을 위한 학습 경험 탐색. 초등과학교육, 42(2), 274-286.
-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3). 제4차 과학영재발굴.육성종합계획('23-'25). 세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교육부(2023). 제5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23-2027). 세종: 교육부.
- 권용인, 손정주(2015). 초등과학영재를 위한 스마트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지구와 달의 운동' 주제를 중심으로. 현장과학교육, 9(1), 1-10. https://doi.org/10.15737/SSJ.9.1.201502.1
- 김미모아, 정진우, 김형범(2015). 과학박물관 탐방활동에서 나타난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의 관찰 유형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3), 57-67. https://doi.org/10.5392/JKCA.2015.15.03.057
- 김민주, 임채성(2017). 초등과학영재학생의 자기주도성과 과학창의성의 관계. 초등과학교육, 36(4), 379-393.
- 김상욱, 소금현(2016).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이 초등과학 영재아의 과학학습 동기, 창의적 인성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4(3), 364-371. https://doi.org/10.15717/BIOEDU.2016.44.3.364
- 김학범, 차정호(2021). STEAM 캠프를 통한 영재학급 고등학생의 융합인재소양과 창의적 인재 역량 변화. 과학교육연구지, 45(2), 231-246. https://doi.org/10.21796/JSE.2021.45.2.231
- 김현경(2022).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중학교 영재 학생의 인식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화학회지, 66(4), 323-332. https://doi.org/10.5012/JKCS.2022.66.4.323
- 김호숙, 김형석(2014). 정보과학 창의성 향상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8(4), 529-540.
- 류춘렬, 김희목, 권경아, 김지선, 정현철(2023). 제3차 과학영재발굴육성종합계획 성과분석: 정책집행 행위자 인식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33(2), 107-140.
- 박종원, 김진국(2013). 과학적 창의성 지도를 위한 활동자료의 개발과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310-327.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2.310
- 박혜영(2019). 팀 기반 프로젝트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성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화연구, 25(4), 283-297. https://doi.org/10.24159/JOEC.2019.25.4.283
- 서선진, 강훈식(2021).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경험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2), 133-144. https://doi.org/10.14697/JKASE.2021.41.2.133
- 신명렬(2022). 과학관 탐방학습에서 과학영재가 선호하는 전시물과 질문유형의 특징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심재호(2022). 과학자의 영재성과 과학자 연극캠프에 대한 과학영재 학생들의 인식. 과학영재교육, 14(3), 151-163.
- 안재홍, 권난주(2014). 지역과학교육자원지도(RSM)를 활용한 초등 융합과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교육논총, 34(3), 29-43.
- 안희정, 심재호, 양승원(2019). 원자력 홍보관의 탐방체험 활동에서 중등 영재반 학생들이 생성한 질문 유형 분석. 교사교육연구, 58(3), 363-374. https://doi.org/10.15812/TER.58.3.201909.363
- 여상인(2015). 과학영재를 위한 비형식 교육으로서의 영월지역 과학탐방 프로그램 개발. 교육논총, 35(1), 161-180.
- 여상인, 김영신(2005). 초등과학영재의 성격특성과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 교육과학연구, 36(2), 161-175.
- 윤리나, 김경화(2014). 비형식 과학교육 활성화를 위한 '주니어 도슨트' 제도 활용에 대한 연구. 현장과학교육, 8(3), 247-256. https://doi.org/10.15737/SSJ.8.3.201410.247
- 이갑정, 신동희(2020).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시기별 과학영재 교육 프로그램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4(1), 45-56. https://doi.org/10.24231/RICI.2020.24.1.45
- 이건희, 김선자, 박종욱(2009). 개방적 탐구를 강조한 탐방활동에서 나타난 초등과학 영재학생들의 활동 과정분석. 영재교육연구, 19(1), 1-23.
- 이봉우, 손정우(2017).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 성과분석을 통한 과학영재교육 발전방안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5), 775-785.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5.775
- 이상균, 김순식(2013). 지역체험자원을 활용한 STEAM 수업이 과학적 태도와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3), 261-270. https://doi.org/10.15523/JKSESE.2013.6.3.261
- 이상칠, 강경희(2018). 과학 캠프 활동이 과학 영재의 창의적 인성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 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5), 791-800.
-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2019). 최신 영재교육학개론. 서울: 학지사.
- 이준호, 김은진, 문두호(2016). 비형식 교육기관 활용을 위한 효과적인 과학 탐방활동지 개발 틀의 제안. 교사교육연구, 55(2), 271-291. https://doi.org/10.15812/TER.55.2.201606.271
- 이효녕, 백소연, 이현동(2017). 초등학교 비형식 과학 교육을 위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빛' 주제를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2), 122-139.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2.122
- 이희우, 임희준(2019). 초등 과학 수업에서 학생주도 인포그래픽 구성 활동의 효과. 한국교육학회지, 39(5), 625-635.
- 장은진(2018). 국내 비형식 과학교육 연구 경향 분석: 교육적 관점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지, 42(3), 293-307. https://doi.org/10.21796/JSE.2018.42.3.293
- 정경두, 강훈식(2021).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자유탐구 보고서의 시각화 자료 활용 실태 분석 -인포그래픽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2), 253-266.
- 정용석, 김영민(2019). 물리 기반 산출물의 반복적 정교화 과정을 통한 고등학생들의 집단 창의성 계발 연구. 새물리, 69(3), 253-264.
- 정은영, 김희수, 김종헌, 김칠영, 서은경, 장유순(2016). 탐구기능을 강화한 비형식 과학관교육이 과학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 46(1), 27-38.
- 조서연, 임명재, 임다미(2021).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학습자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실천공학교육논문지, 13(1), 213-219. https://doi.org/10.14702/JPEE.2021.213
- 최동열(2022).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협동학습 기반 소집단 토론 수업 모형 개발 - 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영재와 영재교육, 21(1), 109-139.
- 한문정(2015). 과학관 교수⋅학습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과학관 활용 교수 실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Bell, P., Lewenstein, B., Shouse, A. W., & Feder, M. A. (2009). Learning Science in Informal Environment: People, Places, and Pursuit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 Blackburn, R. A. (2019). Using infographic creation as tool for science - Communication assessment and a means of connecting students to their departmental research.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96(7), 1510-1514. https://doi.org/10.1021/acs.jchemed.8b00981
- Fenichel, M., & Schweingruber, H. A. (2010). Surrounded by Science.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 Jiao, J., David A., & Xinchun, W. (2016). Motivational factors in career decisions made by Chinese science museum educators. Adult Education Quarterly, 66(1), 21-38.
- Kolb, A. Y., & Kolb, D. A. (2005).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spaces: Enhancing experiential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 Education, 4(2), 193-212.
- Kothari, D., Hall, A. O., Castaneda, C. A., & McNeil, A. J. (2019). Connecting organic chemistry concepts with real-world contexts by creating infographic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96(11), 2524-2527.
- Larry, E. (2014). Visiting science museums during middle and high School: A longitudinal analysis of student performance in science. Science Education, 98(5), 815-839.
- Laursen, D. (2013). Co-participation among school children around a computer-based exhibit. Social Studies of Science, 43(1), 97-117. https://doi.org/10.1177/0306312712455114
- Lavie Alon, N., & Tal, T. (2015). Student self-reported learning outcomes of field trips: The pedagogical impac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8), 1279-1298.
- Mujtaba, T., Law rence, M., Oliver, M., & Reiss, M. J. (2018). Learning and engagement through natural history museums.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54(1), 41-67.
- Sample McMeeking, L. B., Weinberg, A. E., Boyd, K. J., & Balgopal, M. M. (2016). Student perceptions of interest, learning, and engagement from an informal traveling science museu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16(5), 253-264.
- Shaby, N., Ben Zvi Assaraf, O., & Tal, T. (2017). The particular aspects of science museum exhibits that encourage students' engagement.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26(3), 253-268.
- Worrell, F. C., Subotnik, R. F., Olszewski-Kubilius, P., & Dixson, D. D. (2019). Gifted student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70, 551-5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