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Records as an Act of Artistic Creation: Focusing on Archival Art

예술창작 행위로서의 기록에 대한 고찰 아카이브 아트를 중심으로

  • 이호신 (한성대학교 디지털인문정보학 트랙)
  • Received : 2024.04.02
  • Accepted : 2024.04.23
  • Published : 2024.04.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rchival art, which is spreading in the art world, and to look at records in a new way. Archival art refers to the act of creating and exhibiting art using records as a medium of expression. Archival ar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method of exhibition and creation of works, forming a trend in contemporary art. Archival art was born amid changes in art creation methods resulting from the rise of conceptual art, the development of media including photography and advancements in digital technology, and the influence of Foucault and Derrida's discourse on archives. The encounter between archives and art, which originated from photographic aesthetics in the 1920s, led to archival turn in contemporary art in the 1990s, thanks to the spread of conceptual art, digital technology, and postmodernism. Archival art not only subverts traditional art creation methods, but also includes criticism and deconstruction of social systems, including modern archives. Archival art rearranges and reorganizes records according to the artist's intention, and even accepts fiction rather than fact. The essence of records in archival art is not the reproduction of the past, but the expression of present needs. The way records are utilized in archival art shakes up the concept of records in archival science, calling for a new look at records as objects with not only legal and administrative value but also aesthetic value.

이 연구는 미술계에 확산하고 있는 아카이브 아트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서 기록을 새롭게 바라보기 위한 것이다. 아카이브 아트는 기록을 표현 매체로 활용해서 이루어지는 미술 창작과 전시 행위를 일컫는다. 아카이브 아트는 동시대 미술의 한 경향을 형성하면서 전시와 작품 창작의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아카이브 아트는 개념미술의 대두에서 비롯된 미술 창작 방법의 변화, 사진을 비롯한 미디어의 발전과 디지털 기술의 약진, 푸코와 데리다의 아카이브에 대한 담론의 영향 속에서 태동하였다. 1920년대 사진미학에서 비롯된 아카이브와 미술의 만남은 개념미술과 디지털 기술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의 확산에 힘입어서 1990년대에는 동시대 미술의 아카이브 전환을 불러왔다. 아카이브 아트는 전통적인 미술 창작 방법을 전복하는 것뿐만 아니라, 근대적 아카이브를 비롯한 사회제도에 대한 비판과 해체를 포함하고 있다. 아카이브 아트는 작가의 의도에 따라 기록을 재배열하고, 재구성하고, 심지어 사실이 아닌 허구까지 수용한다. 아카이브 아트에서의 기록의 본질은 과거의 재현이 아니라 현재의 필요에 대한 표현이다. 아카이브 아트의 기록의 활용 방식은 기록학에서의 기록의 개념을 뒤흔들면서, 법적, 행정적 가치뿐만 아니라 미학적 가치를 지닌 대상으로서 기록을 새롭게 바라볼 것을 요구하고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한성대학교 교내 학술연구비 지원과제임.

References

  1. 강수미 (2014). 헤테로토피아의 질서: 발터 벤야민과 아카이브 경향의 미술. 미학, 78, 31-66.
  2. 김기수 (2015). '1989년 이후 현대미술'의 담론 전개양상(1): 개념미술과 비판적 전환. 현대미술학 논문집, 19(20), 55-116.
  3. 김연희 (2023). 자크 데리다의 '아카이브 열병'과 '포스트 인터넷' 아카이브 이미지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박영선 (2014). 예술적 실천으로서의 디지털아카이빙과 사진의 상호관계. 기초조형학연구, 15(6), 175-186.
  5. 백영주 (2011). 현대 예술에서의 수행적 리서치의 양상과 의미: 아카이브 아트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13, 226-237.
  6. 우아름 (2017). 이미지 아카이브의 태동과 동시대 실천 분석: 〈므네 모시네 아틀라스〉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 학위논문.
  7. 이경래 (2020). '아카이브 아트(archival art)'의 동시대 기록학적 함의. 기록학연구, 64, 27-62.
  8. 이슬비 (2020). 데리다의 아카이브가능성(archiveability).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이주연 (2018). 아카이브 아트의 대항적 성격에 관한 연구: 의미의 발굴과 구축까지, 그 전략적 이행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이혜린 (2021). 아카이브와 현대미술: 기록 생산과 수집 기록물을 활용한 미술작품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이혜린 (2024). 현대미술에서의 아카이브 담론과 '아카이브 아트'의 재고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4(1), 31-46. https://doi.org/10.14404/JKSARM.2024.24.1.031
  12. 전혜숙 (2008). 미술개념의 변화와 미국의 1968년: 개념미술의 등장을 중심으로. 미국사연구, 28, 149-178.
  13. 정연심 (2014). 2000년대 이후의 현대미술과 아카이브 열병. 현대공간과 설치미술(서울: A&C)
  14. Callahan, S. (2022). ART+ARCHIVE: Understanding the Archival Turn in Contemporary Art.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5. Derrida, J. (1996) Archive Fever: A Freudian Impression, trans. Eric Prenowitz,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6. Focault, M. (1969) L'archeologie du savoir. 이정우 옮김. (2000). 지식의 고고학. 서울: 민음사.
  17. Foster, H. (2004). Archival Impulse. October, 110, 3-22. https://doi.org/10.1162/0162287042379847
  18. Ketelaar, E. (2017). Archival Turns and Returns. In Edited by Anne J Gililand, Sue McKemmish & Andrew J Lau. Research in the Archival Multiverse. Victoria: Monash University Publishing, 228-268.
  19. Enwezor, O. (2008). Archive Fever-Uses of the Document in Contemporary Art. New York: International Center of Photography; Gottingen: Steidl Publishers.
  20. Potts, A. (2008). The Artwork, and the Living Moment. In edited by Michael Ann Holly and Marquard Smith. What is Research in the visual arts?: Obession, Archive, Encounter. Massachusetts: Sterling and Francine Clark Art Institute, 119-137.
  21. Sekula, A. (1986). The Body and the Archive. October 39, 3-64.
  22. Spieker, S. (2008). The Big Archive: Art from bureaucracy. Massachusetts: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이재영 옮김. (2013) 빅 아카이브: 마르셀 뒤샹부터 소피 칼까지, 요식주의에서 비롯된 20세기 예술. 서울: 홍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