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Daesoon Jinrihoe's View of Time (I): Focusing on Time as Measured and Experienced

대순진리회의 시간관 연구 (I) - 측정되고 경험되는 시간을 중심으로 -

  • Cha Seon-keun (Department of Daesoon Studies, Daejin University)
  • Received : 2024.01.23
  • Accepted : 2024.03.25
  • Published : 2024.03.31

Abstract

Time can be the fundamental basis of religious doctrine and the foundation for a life of faith. Therefore, understanding a religion's interpretation of time and exploring its perception is accepted as one of the approaches to comprehending its principles. Based on this idea, this article delves into how chronos (measured time) and kairos (experienced time) are manifested in Daesoon Jinrihoe. In Daesoon Jinrihoe, the moment when chronos and kairos intersect is considered a moment of spiritual experience. Ethical codes are accomplished in the midst of the process of defining this time as the Heavenly Dao and adjusting human affairs accordingly. These ethics lead individuals towards a religious life. East Asian traditions also apply this logic, but Daesoon Jinrihoe differs in that it emphasizes reinterpreted ethics. Furthermore, Daesoon Jinrihoe posits that Degree Numbers (度數) are a device that ensures the transition from chronos to kairos. Degree Numbers, which are both a law of the universe's motion and a function of time, were emphasized by the Kang Jeungsan when he advocated for the discarding of old ways and the creation of the new ways. He thereby urged humans to live in accordance with time. Time is also facilitated in the dimension of ritual observances and participation, with examples including prayers, devotional offerings, and holy works (gongbu, 工夫). Those rituals of Daesoon Jinrihoe actively incorporate a unique basis of reason for this style of engagement with time, which is one of the aspects that is held to secure justification.

시간은 교리의 기초이자 신앙생활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 한 종교가 시간을 해석하는 관점을 살피는 일이 그 종교를 이해하는 접근법 가운데 하나로 인정되는 까닭이다. 이 사실을 토대로, 이 글은 대순진리회에서 크로노스(측정되는 시간)와 카이로스(경험되는 시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조명하였다. 대순진리회에서 크로노스와 카이로스가 얽히는 시간은 영적인 체험이 이루어지는 순간이다. 그 시간을 천도(天道)로 규정하고 인사(人事)를 거기에 맞추려고 하는 속에서 윤리가 성립한다. 그 윤리는 인간에게 종교적 삶을 인도한다. 동아시아 전통도 이런 논리를 가지고 있지만, 대순진리회는 재해석된 윤리를 강조한다는 데에서 차이가 있다. 또 이 종교는 크로노스를 카이로스로 넘어가게 만드는 장치 가운데 하나가 도수라고 주장한다. 우주의 운동 법칙이자 시간의 함수이기도 한 도수는 최고신에 의해 이전 것이 폐기되고 새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인간은 그에 맞춘 삶을 살아야 한다고 강조된다. 시간은 참여와 의례 준수의 차원에서 활용되기도 한다. 그 사례가 기도·치성·공부다. 이 의례들은 시간과 결합하는 과정에서 특별한 논리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대순진리회 의례가 정당성을 획득하는 지점 가운데 하나가 여기에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대순진리회 교무부, 「전경」 13판,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진리회 교무부, 「대순진리회요람」, 서울: 대순진리회 교무부, 1969.
  3. 대순진리회 교무부, 「대순지침」 2판,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4. 대순종교문화연구소, 「도전 훈시」, 미발행 자료.
  5. 「孟子」
  6. 「書經」
  7. 「尸子」
  8. 「呂氏春秋」
  9. 「禮記」
  10. 「周易」
  11. 「周易本義」
  12. 강돈구, 「대순진리회의 연중 종교생활」, 강돈구.박종수 외 공저, 「한국종교교단 연구 XIII」,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22.
  13. 김일권, 「동양 천문의 범주와 그 세계관적인 역할: 고려와 조선의 하늘 이해를 덧붙여」, 「정신문화연구」 27-1, 2004. http://uci.or.kr/G704-000772.2004.27.1.003
  14. 김 탁, 「증산과 정산의 도수사상」, 「대순사상논총」 30, 2018. https://doi.org/10.25050/jdaos.2018.30.0.235
  15. 금장태, 「고대중국의 신앙과 제사: 그 구조의 종교사학적 고찰」, 「종교연구」 1, 1972.
  16. 대순종교문화연구소, 「증산의 생애와 사상」,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79.
  17. 대순진리회 교무부, 「의식」 3판, 서울: 대순진리회 교무부, 간행년 미상.
  18. 대순진리회 교무부, 「도전님 훈시」, 「대순회보」 5,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6.
  19. 대순진리회 교무부, 「종통을 바로 알자」, 「대순회보」 10,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8.
  20. 박인규, 「대순사상의 도수론 연구」, 「대순사상논총」 28, 2017. https://doi.org/10.25050/jdaos.2017.28.0.207
  21. 안종수, 「「여씨춘추」의 자연관」, 김상현 편집, 「동양의 환경생태철학」, 파주: 교육과학사, 2023.
  22. 이은성, 「역법의 원리분석」, 서울: 정음사, 1985.
  23. 이정립, 「대순철학」, 김제: 증산교본부 교화부, 1984.
  24. 이재원, 「한국 신종교의 우주관 연구: 대순사상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석사학위 논문, 2012.
  25. 이향만, 「동양의 시간관: 고대 중국 문헌에 나타난 시간 개념을 중심으로」, 「가톨릭신학과사상」 88, 2023. http://dx.doi.org/10.21731/ctat.2023.88.161
  26. 장병길, 「신종교의 시간관: '역사에서 우주에로'의 시간」, 「광장」 177, 1988.
  27. 장회익, 「시간」, 우리사상연구소 엮음, 「우리말 철학사전 2」, 서울: 지식산업사, 2002.
  28. 차선근, 「조석(潮汐)의 이해」, 「상생의 길 1」,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04.
  29. 차선근, 「<전교> 통회의 연대와 그 관련 역사」, 「상생의 길 3」,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05.
  30. 차선근, 「오키나와에 뿌려진 원(冤), 그 슬픈 이야기」, 「대순회보」 69,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07.
  31. 차선근, 「대순진리회의 성지 바로보기」, 「대순회보」 83,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08.
  32. 차선근, 「성수와 시비」, 「대순회보」 230,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20.
  33. 차선근, 「대순진리회 도장 치성의 의미 재검토」, 「대순사상논총」 42, 2022. https://doi.org/10.25050/jdaos.2022.42.0.1
  34. 차선근, 「선천에는 105염주, 후천에는 108염주」, 「대순회보」 264,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23.
  35. 차선근, 「현대종교학과 대순사상: 비교연구 방법과 적용」, 서울: 박문사, 2023.
  36. 차선근, 「대순진리회와 불교의 심우도 비교연구」, 「대순사상논총」 46, 2023. https://doi.org/10.25050/jdaos.2023.46.0.33
  37. 천진기, 「한국동물민속론」, 서울: 민속원, 2003.
  38. 최준호.황정수, 「한자어 '인간(人間)'의 통시적 의미 변천 과정 연구」, 「관악어문연구」 41, 2016.
  39. 태극도 본부, 「태극도 월보」 3, 1967.
  40. 홍범초, 「증산교 개설」, 서울: 창문각, 1982.
  41. American Academy of Religion, "Sacred Space and Sacred Time," in chief ed. Jonathan Z. Smith, The Harpercollins Dictionary of Religion, San Francisco: HarperSanFrancisco, 1995.
  42. Arno K. Kumagai and Thirusha Naidu, "On Time and Tea Bags: Chronos, Kairos, and Teaching for Humanistic Practice," Academic Medicine 95-4, 2020. https://doi.org/10.1097/ACM.0000000000003083
  43. Hillel Schwartz, "Sacred Time," in chief ed. Lindsay Jones, Encyclopedia of Religion, Vol 12, Detroit: Macmillan Reference USA, 2005.
  44. John E. Smith, "Time, Times, and the 'Right Time'; "Chornos" and "Kairos"," The Monist 53:1, 1969. https://doi.org/10.5840/monist196953115
  45. Tucker, Mart E..Grim, John A., "Ecology And Religion: An Overview", in chief ed. Lindsay Jones, Encyclopedia of Religion, Vol 4, Detroit: Macmillan Reference USA, 2005.
  46. 《goo辞書》 https://dictionary.goo.ne.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