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어린이집 자율관리를 위한 조직역량 진단도구(S.T.E.P+)의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T.E.P+ Diagnostic Tool: Assessing Organizational Competence for Self-management in Daycare Centers

  • 강정원 (한국성서대학교 영유아보육학과) ;
  • 박소영 (숭의여자대학교 아동보육과) ;
  • 이원선 (한국보육진흥원) ;
  • 임여정 (연성대학교 유아교육과)
  • 투고 : 2024.03.11
  • 심사 : 2024.04.23
  • 발행 : 2024.04.30

초록

Objective: The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tool for assessing daycare center organizational competence and for autonomously managing childcare quality. Method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reviews, items were derived and validated using the Content Validity Index. Data from a survey involving 216 directors and 509 teachers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to assess reliability and conduc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Results revealed a 36-item diagnostic tool across four subcategories: shared values (6 items), training abilities (18 items), environmental support (6 items), and organizational promotion (6 items). A diagnostic tool named S.T.E.P+ was developed, named after the first letters of the four subfactors. Skewness and kurtosis were within normality assumptions. Good fit indices (CFI, TLI) and low SRMR and RMSEA values indicated a satisfactory model fit. Cronbach's α values showed high reliability for all factors. The tool enables autonomous diagnosis of childcare qualit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tool can effectively autonomously diagnose whether a daycare center is providing quality childcar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정원, 임여정, 김승옥, 박소영, 황소영 (2021). 효과적인 사후방문지원을 위한 업무 진행 가이드라인 개발.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2. 강정원, 임여정, 박소영 (2022). 사후지원가 역량증진 프로그램 개발.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3. 강정원, 임여정, 박소영 (2023). 어린이집 연차별 자율관리 운영매뉴얼.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4. 구자억, 김기수, 김순남, 박승재, 설현수, 정규열, 정수현, 정택희, 허은정 (2013). 학교컨설팅 활성화를 위한 학교조직 진단도구 개발 및 시스템 구축 연구. 서울: 학교교육개발원. https://doi.org/10.979.115666/0033 
  5. 국지윤 (2016). 어린이집 운영관리 컨설팅 모형개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권미경, 박원순, 이규림, 박인숙 (2017). 보육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어린이집 평가 연계 컨설팅 지원 방안 연구(II): 통합평가지표 적용을 고려한 어린이집 컨설팅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https://doi.org/10.979.1187952/046 
  7. 권미경, 이미화, 조숙인, 조미라, 윤지연 (2018). 보육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어린이집 평가 연계컨설팅 지원 방안 연구(III).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https://doi.org/10.979.1187952/046 
  8. 권주원 (2024). 자율적 보육의 질 관리의 변화-평가제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 2024 춘계학술대회 주제발표 논문, 서울. 
  9. 권혜진, 강정원, 신나리, 이완정, 임여정 (2019). 평가제 시행에 따른 사후방문지원 운영방안 연구.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10. 김대업 (2008). AMOS A to Z: 논문작성절차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파주: 학현사 
  11. 김두선, 이재은 (2014). 조직역량 강화를 위한 공공조직의 위계규범성과 고용안정성 비교 분석. 한국정책논집, 14, 51-65. 
  12. 김문준 (2018). 사회적 기업의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역량에 관한 연구. 경영컨설팅연구, 18(4), 99-114. 
  13. 김미송, 신승연 (2022).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 조직문화 및 교직윤리의식의 매개효과. 문화기술의 융합, 8(6), 365-371. https://doi.org/10.17703/JCCT.2022.8.6.365 
  14. 김영은 (2018).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보육교사 정신건강 및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교육지원연구, 3(1), 75-9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260 
  15. 김정화, 강정원, 권기남, 김유미, 신나리, 조우리 (2023). 어린이집 질 제고를 위한 컨설팅 체계 구축방안 연구.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16. 김평례, 박수경 (2021). Q 방법론을 활용한 어린이집 원장의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4), 129-154.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4.129 
  17.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with AMOS 17.0. 서울: 학지사. 
  18. 문인선, 홍성희 (2023). IPA기법을 활용한 어린이집 평가제 평가지표의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9(5), 65-79. https://doi.org/10.14698/jkcce.2023.19.05.065 
  19. 박수정, 박세준, 이승호 (2018). 학교혁신을 위한 학교조직 진단도구 개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36(4), 201-230. https://doi.org/10.22553/keas.2018.36.4.201 
  20. 박일혁, 엄한주, 이기봉 (2014). 체육학연구에서 확인적 요인분석 이용의 문제와 올바른 적용.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16(1), 1-22. https://doi.org/10.21797/ksme.2014.16.1.001 
  21. 보건복지부 (2022). 제4차 중장기 보육 기본계획(안) (2023-2027). 
  22. 설현수, 강인구, 김종백 (2017). 서울형 학교조직 진단도구 개발.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23. 송미리내, 유구종, 이건우 (2022). 어린이집 평가제 평가지표에 근거한 보육서비스 품질향상을 위한 상호작용 기록화 컨설팅 방안 및 적용.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3(4), 175-204. https://doi.org/10.22154/JCLE.23.4.8 
  24. 신나리, 김경화, 윤현정, 노필순, 송지은 (2022). 어린이집 운영상 어려움의 예측요인 탐색: 원장보고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8(4), 17-36. https://doi.org/10.14698/jkcce.2022.18.04.017 
  25. 안소영 (2016). 평가인증 운영과정에서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수행 시간과 심리적 어려움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1), 203-223.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203 
  26. 우종필 (2012).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 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27. 이상수 (2010). 경찰 조직문화 진단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 치안정책연구소. 
  28. 이옥인, 홍성두 (2015). 모든 이를 위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 탐색. 학습장애연구, 12(2), 73-92. 
  29. 이정화, 안영혜 (2023). 가정어린이집 원장의 핵심역량 중요도-보유도 분석.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7(7), 1125-1139. 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7.1125 
  30. 이훈영 (2014). 이훈영 교수의 연구조사방법론. 서울: 청람. 
  31. 임유경, 김정주 (2023). 어린이집의 조직문화와 원장의 의사소통 유형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4(1), 475-488. https://doi.org/10.22143/HSS21.14.1.34 
  32. 조대연, 백경선 (2007).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조직학습 역량구축 진단도구 타당화 연구-학교조직을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연구, 13(2), 1-22. 
  33. 조준오, 홍광표 (2023).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지도성과 전문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32(2), 185-200. https://doi.org/10.17643/KJCE.2023.32.2.10 
  34. 조창기 (2010). 인수 합병 이후 핵심가치 공유가 조직문화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 : A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주현준, 김정원, 조대연, 정지유, 고남선, 김은경 (2021). 국내 A교육대학의 조직역량 진단도구 개발, 16(1), 41-76. https://doi.org/10.21329/khrd.2021.16.1.41 
  36. 최윤경, 이원선, 김미정, 정혜원 (2020). 보육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어린이집 평가 연계 컨설팅 지원방안연구(V).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37. 최은정 (2021). 원장의 여성리더십, 어린이집의 협동적 조직문화,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및 심리적소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 1199-1220.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2.1199 
  38. 최지선, 임유경 (2023).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을 중심으로.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5(2), 1-15. 
  39. 한국보육진흥원 (2024.01). 어린이집 평가 현황. https://www.kcpi.or.kr/kcpi/cyberpr/childcarestat2.dodptj 2024년 2월 24일 인출 
  40.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41.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2), 238-246. https://doi.org/10.1037/0033-2909.107.2.238 
  42. Harrison, M. I. (2005). Diagnosing Organizations: Methods, Models, and Processes. CA: Sage Publications. 
  43.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https://doi.org/10.1080/10705519909540118 
  44.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6), 382-385.  https://doi.org/10.1097/00006199-198611000-00017
  45. Reimann, B. C. (1982). Organizational Competence as a Predictor of Long Run Survival and Growth.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5(2), 323-334. https://doi.org/10.5465/255994 
  46. Waterman, R. H., Peters, T. J., & Phillips, J. R. (1980). Structure is not organization. Business Horizons, 23(3), 14-26. 
  47. Weisbord, M. R. (1976). Organizational diagnosis: Six places to look for trouble with or without a theory. Group & Organization Studies, 1(4), 430-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