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어린이집 1세반 영아와 그림책의 만남: 내부작용을 통한 의미생성의 관점에서

The Encounter between Infants in a 1-Year-Old Daycare Class and Picture 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Meaning-making through Intra-action

  • 이승연 (현대오토에버 늘해랑 어린이집) ;
  • 김유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투고 : 2024.03.09
  • 심사 : 2024.04.23
  • 발행 : 2024.04.30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tra-action between infants and picture book reading in a daycare setting, aiming to gain new insight into infants' reading experience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2 infants from the Bluebird Class (1-year-old) at A Daycare Center.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context and flow of the infants' experiences,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during free play sessions, held three to five times a week, in the morning, from December 19, 2022, to February 17, 2023. Results: Firstly, infants engaged in the intra-action with symbols such as text, images, lines, colors, and latent narratives in picture books, spontaneously encountering meaning-making. Secondly, they explored the potential of materials such as their own bodies, the dacare classroom environment, and blocks, creating narratives through the process of 'becoming'. Thirdly, infants generated shared experiences by creating interactions within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the daycare clas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highlights a shift in perspective, recognizing infants as active readers who construct their own understanding. Additionally, it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cultivating an infant-centered environment and the meaningful role of teachers in supporting and facilitating such an environ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은영, 김진욱 (2020). 영아반 초임보육교사의 전문성 지원 교사교육프로그램이 전문성 및 자아존중감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1), 51-74.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1.051
  2. 강진우 (2016). 몸의 상상력과 「몽실언니」 교육. 문학교육학, 0(52), 51-82. http://dx.doi.org/10.37192/KLER.52.2
  3. 고영실, 권이정 (2022). 생활그림책을 활용한 반복읽기 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능력과 자조기술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학회, 14(3), 41-62. http://dx.doi.org/10.36431/JPE.14.3.3
  4. 김명순, 배선영, 김지연 (2013). 영아-아버지 그림책 읽기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과 참여실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5), 277-297. https://doi.org/10.14698/jkcce.2013.9.5.277
  5. 김미숙 (2006). 영아 학급에서의 일상적(daily) 우정의 형성 과정(함께하기(being together)의 공동체 문화).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153-175.
  6. 김새름, 김정준 (2018). 그림책을 활용한 감각활동이 영아의 언어능력과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7(4), 85-108. http://dx.doi.org/10.21183/kjcm.2018.12.17.4.85
  7. 김유미 (2017). 숲 활동을 토대로 한 만 4세 유아의 자발적 동시 짓기 과정과 시적 표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2), 59-80. https://doi.org/10.14698/JKCCE.2017.13.02.059
  8. 김재춘 (2010). Deleuze의 되기.생성의 교육(학)적 해설. 교육원리연구. 15(1), 1-38.
  9. 김정원 (2016). 그림책을 활용한 생활지도 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1), 107-132.
  10. 남규, 이지현 (2009). 교사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영아의 언어발달 비교. 아동학회지, 30(4), 257-276.
  11. 노서운, 구수연 (2019). 그림책을 활용한 실외놀이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0(4), 25-50. http://dx.doi.org/10.22154/JCLE.20.4.2
  12. 박현주 (2021). 그림책 장르별 만 2세 영아의 반응 분석: Sipe의 반응범주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서정숙 (2000). 그림책의 교육적 활용 양상과 문제점. 어린이문학교육, 1(1), 93-113.
  14. 서정숙, 남규 (2016). 유아문학교육. 서울: 창지사.
  15. 신혜은 (2005). 영아기 그림책 맥락의 발달적 적합성. 어린이문학교육연구, 6(2), 1-17.
  16. 안성숙, 곽은순 (2020). 만 2세 영아들의 몸을 통해 그림책 읽기에 대한 의미탐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7(1), 21-43. http://dx.doi.org/10.22155/JFECE.27.1.21.43
  17. 안영길, 조명숙 (2016). 그림책 읽기의 이해방식과 지도방안 탐색.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4), 375-401.
  18. 이금자, 임정은 (2021). 그림책 읽어주기 과정의 교사-영아 상호작용이 만 2세 영아의 읽기 흥미와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16(4), 851-862. http://dx.doi.org/10.34163/jkits.2021.16.4.021
  19. 이송은 (2006). 2세 영아의 책에 대한 의미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20. 이조은 (2021). 어린 독자의 그림책 읽기 새롭게 이해하기: 만 1세 영아의 사례와 함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17-118.
  21. 임부연, 박향원 (2008). 그림책에서의 심미적 요소 탐색: 2005' 칼데콧 영예상 수상도서 "Knuffle Bunny"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8(4), 35-60. http://dx.doi.org/10.18023/kjece.2008.28.4.002
  22. 정선명 (2012). 만 2세 영아가 그림책과 친숙해지는 과정.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정정순 (2016). 문학교육에서의 '반응 중심 학습'에 대한 이론적 재고. 문학교육학, 0(53), 253-279. http://dx.doi.org/10.37192/KLER.53.8
  24. 조주희, 김유미 (2020). 만 5세 유아의 주말지낸 이야기에 나타난 글과 그림의 내용 및 의미구성관계, 복합양식 문식성 특성.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7(2), 101-127. http://dx.doi.org/10.22155/JFECE.27.2.101.127
  25. 조혜경 (2018). 영아 놀이의 연구동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7), 879-901. http://dx.doi. org/10.22251/jlcci.2018.18.17.879
  26. 최근정, 최선주 (2019). '역설적 공간'으로서의 학습공동체: 후기구조주의 공간 관점에서 학습공동체 재사유하기. 교육문화연구, 25(3), 5-28. http://dx.doi.org/10.24159/joec.2019.25.3.5
  27. 최예린 (2010). 1세 영아의 그림책 읽기 경험의 이해.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최윤정, 한동옥 (2013). 1세 영아의 그림책 읽기 과정에 나타난 개인적 내러티브 사례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4), 375-397.
  29. 최현희 (2020).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그림책 활동에서 나타난 영아의 문학적 반응 연구.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Bergson, H. (1991). Matiere et memoire, 물질과 기억(홍경실 옮김). 파주: 아카넷.
  31. Budick, S., & Iser, W. (1989). Languages of the Unsayable: The Play of Negativity in Literature and Literary Theory. NY: Stanford University Press
  32. Deleuze, G. (2008). Francis Bacon : Logique de la sensation, 감각의 논리(하태환 옮김). 서울: 민음사.
  33. Deleuze, G., & Guattari, F. (2001). Mille plateaux : Capitalisme et schizophrerie, 2, 천개의 고원: 자본주의와 분열증 2(김재인 옮김). 서울: 새물결.
  34. Gray, L. S. (1995). Taking from books by asking questions.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10(1), 23-28. https://doi.org/10.1080/02568549509594684
  35. Hulston, S. J. (2023). Embodied meaning-making: using literacy-as-event to explore a young child's small world play. Litercy, 57(3), 327-339. https://doi.org/10.1111/lit.12336
  36. Jalongo, M. R. (2016). Early Childhood : Language Arts, sixth edition, 유아기 언어교육: 이론과 실제(권민균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원판 2014).
  37. Kress, G. (2000). Multimodality. Multiliteracies: Literacy learning and the design of social futures, 2, 182-202.
  38. Kress, G. R., & Van Leeuwen, T. (1996). Reading images: The grammar of visual design. London: Psychology Press.
  39. Lewis, D.(2008). Reading Contemporary Picturebooks : Picturing Text, 현대 그림책 읽기(이혜란 옮김). 서울: 도서출판 작은씨앗.
  40. McLane, J.B., & McNamee, G.D. (1990). Early liter acy. MA: Harvard University Press.
  41. Murris, K. (2021). The Posthuman Child, 포스트휴먼 어린이(이연선, 변윤희, 손유진, 신은미, 이경화, 한선아 옮김). 서울: 살림터(원판 2016).
  42. Nikolajeva, M. (2009). Aesthetic approaches to children's literature : an introduction, 아동문학의 미학적 접근(조희숙 옮김). 파주: 교문사.
  43. Nodelman, P. (2022). Words about pictures: The narrative art of children's picture books, 그림책론(김상욱 옮김). 파주: 보림.
  44. Olsson, L. M. (2017). Movement and Experimentation in young children's learning, (들뢰즈와 가타리를 통해) 유아교육 읽기: 운동과 실험(이연선, 이경화, 손유진, 김영연 옮김). 서울: 살림터.
  45. Pacini-Ketchabaw, V., Kind, S., & Kocher, L. L. M. (2021). Encounters with material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물질과의 새로운 만남: 관계와 연결로서의 유아시기 교육 재료 탐구(이연선, 전가일, 정혜영, 최승현, 하영유 옮김). 서울: 살림터.
  46. Rodriguez Leon, L (2023). Meaning, relationships, identities: An exploration of motive and intent in early childhood literacies. Journal of Early Childhood Research, 22(1), 1-15. https://doi.org/10.1177/1476718X231188468
  47. Rosenblatt, L, M. (1995). Literature as exploration. NY: Modern Language Association of America.
  48. Rosenblatt, L, M. (2008). The reader, the text, the poem, 독자, 텍스트, 시 문학 작품의 상호교통 이론(김혜리, 엄해영 옮김). 서울: 한국문화사.
  49. Sipe, L. R. (2000). "Those two gingerbread boys could be brothers": How children use intertextual connections during storybook readalouds. Children's literature in Education, 31(2), 73-90. https://doi.org/10.1023/A:1005174703434
  50. Stacey, S. (2015). Emergent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settings: from theory to practice, 발현적 교육과정: 이론에서 실제로의 적용(정선아, 윤은주 옮김). 서울: 창지사.
  51. Taguchi, H. L. (2018). Going beyond the theory/practice divid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troducing an intra-active pedagogy, 들뢰즈와 내부작용 유아교육: 이론과 실제 구분하기(신은미, 안효진, 유혜령, 윤은주, 이진희, 임부연, 전가일, 한선아, 변윤희 옮김). 서울: 창지사.
  52. Timpany, C., & Vanderschantz, N. (2013). Using a Categorisation Structure to Understand Interaction in Children's Book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Book, 10(4), 29-44. https://doi.org/10.18848/1447-9516/CGP/v10i04/36997
  53. Tobin, J., Hsueh, Y., Karasawa, M. (2009). Preschool in three cultures revisitied: Chin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4. Van Manen, M. 2015.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NY: Left Coast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