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Refugee Educ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유아 대상 난민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 김세라 (인하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전공) ;
  • 양성은 (인하대학교 아동심리학과)
  • Received : 2024.02.29
  • Accepted : 2024.04.10
  • Published : 2024.04.30

Abstract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efugee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and apply it in daycare center settings to examine the reactions of children aged 5. Methods: Referring to Kemmis and McTaggart(1988) action research model, the refugee education program recommended by UNHCR, and linking it with the national Nuri-curriculum in Korea, a total of five sessions of a refugee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20 children aged 5. Results: The application of the preschool refugee education program resulted in positive changes in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These changes provided opportunities for early childhood to practice respect towards others, fostering a broader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diverse culture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contributing to the discourse on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refugee edu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refugee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esearch will stimulate in-depth discussions on educational approaches that foster early childhood interest in global issues and cultivate a sense of global citizenship and attitude in the future.

Keywords

References

  1. 고경민 (2015). '난민'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의 설계 및 교재 개발 연구. 우리말교육현장연구, 9(2), 164-192. https://doi.org/10.23109/fsikle.2015.9.2.006
  2. 교육부 (2022).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3. 교육부, 보건복지부 (2020). 2019 개정누리과정 해설서. 보건복지부.
  4. 권미성, 문혁준 (2013).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 277-296. https://doi.org/10.14698/jkcce.2013.9.4.277
  5. 권지윤 (2018). 한국 내 예멘 난민이슈에 대한 이해. Muslim-Christian Encounter, 11(2), 81-112. https://doi.org/10.30532/mce.2018.11.2.81
  6. 권한용 (2016). 난민문제에 대한 국제적 논의와 한국난민정책에 대한 시사점. 아주법학, 10(1), 213-249. https://doi.org/10.21589/AJLAW.2016.10.1.213
  7. 길벗어린이 (2020. 6). 도망치는 아이. https://www.youtube.com/watch?v=QF4lffZVn_s에서 2023년 8월 3일 인출
  8. 김영미, 김현주 (2015).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231-247.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231
  9. 김영옥 (2002). 유아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6(2), 5-38.
  10. 김유아 (2023). 글로벌 역량 기반의 중학교 선택과목용 세계시민교육(GCED) 교육과정기준 개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https://doi.org/10.23186/KOREA.000000276429.11009.0000141
  11. 김은혜, 김경철 (2020). 유아 지속가능발전 인식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40(2), 65-95. https://doi.org/10.18023/KJECE.2020.40.2.003
  12. 김은희 (2019). 난민 대상 한국어교육을 위한 능력 중심 교육과정 설계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태주, 신나리 (2013). 통합적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289-307. https://doi.org/10.14698/jkcce.2013.9.6.289
  14. 박미숙 (2019). 난민의 한국사회 정착과정에 관한 연구. 다문화사회연구, 12(2), 217-251. https://doi.org/10.14431/jms.2019.06.12.2.217
  15. 박상희 (2022). 한국의 난민 통합 현황과 정책적 함의: 에이거와 스트랭(Ager & Strang)의 통합 분석틀을중심으로. 현대사회와다문화, 12(3), 105-148. https://doi.org/10.35281/cms.2022.08.12.3.105
  16. 박종일, 이태정, 유승무, 박수호, 신종화 (2013). 난민의 발생과 국민국가의 대응: 난민수용 논란을 통해 본 한국의 이주자정책. 민주주의와 인권, 13(1), 199-235.
  17. 안라리 (2008). 유아의 개인변인 및 어머니의 정서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6(2), 1-12.
  18. 유네스코 (2015). 세계시민교육: 학습 주제 및 학습 목표. 유네스코. https://doi.org/10.979.11956142/26
  19. 유네스코 (2017). 유네스코 인문, 사회, 자연과학분야 지속가능발전목표 국내 이행 방안 연구. 유네스코.
  20. 유엔난민기구 (2022. 6). 전 세계 강제 실향 사태...10년째 증가해 또 사상 최고 기록. https://www.unhcr.or.kr/unhcr/program/board/detail.jsp?boardTypeID=10&boardID=33035&menuID=에서 2023년 1월 10일 인출
  21. 이긍연 (2017). 한국 공교육 내 세계시민교육 정책과 실행. Journal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12(3), 39-62. https://doi.org/10.34225/jidc.2017.3.39
  22. 이선혜, 김선아 (2021).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그림책 활용 미술활동 중심의 세계시민교육 방안-초등학교 1학년 대상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67, 247-280. https://doi.org/10.35657/jae.2021.67..009
  23. 임정인 (2012). 접종처치가 다문화가정에 대한 편견 형성 저항에 미치는 효과 연구-초등학교 4, 5학년학생들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https://doi.org/10.23170/SNU.000000005461.11032.0000355
  24. 최예린 (2022). 그림책에 나타난 아동이 난민화되는 과정과 피란 후 난민 아동의 삶.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3(2), 25-47. https://doi.org/10.22154/jcle.23.2.2
  25. 최준호 (2016).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 사례연구: 난민문제 수업을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26(3), 239-266. https://doi.org/10.21024/pnuedi.26.3.201612.239
  26. Braun, V., & Clarke, V. (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2), 77-101. https://doi.org/10.1191/1478088706qp063oa
  27.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2nd ed.). Sage Publications, Inc.
  28. Croce, K. A. J. (2018). Refugee students arrive at a school: what happens next?. Global Education Review, 5(4), 7-16.
  29. Dolan, A. M. (2014). Intercultural education picturebooks and refugees: approaches for language teachers. Children's literature in English Language Education, 2(1). 92-109.
  30. Duraisingh, L. D., Sheya, S., & Kane, E. (2018). When youth dialogue: a pedagogic framework for changing the conversation about migration. Global Education Review, 5(4), 211-235.
  31. Kemmis, S., & McTaggart, R. (1988). The action research planner. Springer.
  32. Kendall, F. E. (1996). Diversity in the classroom: new approaches to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2nd ed.). Teachers College Press.
  33. Pim, P. H., & Aaron, D. (2020). 도망치는 아이(김경희 옮김). 길벗어린이. (원판 2017).
  34. Richardson, E. (2018). Teachers of refuge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Education Development Trust.
  35. UNHCR. (2021a). Teaching about refugees 2021 - guide for teachers. UNHCR.
  36. UNHCR. (2021b). Teaching about refugees ages 6~9. main curriculum. UNHCR.
  37. UNHCR. (n.d.). Teaching about refugees. Retrieved January 16, 2023 form https://www.unhcr.org/teaching-about-refugees.html
  38. Vaismoradi, M., Turunen, H., & Snelgrove, S. (2016). Theme i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thematic analysis. Forum Qualitative Social Research, 20(3), 1-14. https://doi.org/10.5430/jnep.v6n5p100
  39. Zlatkin, T, O., Happ, R., Nell, M, S., Deribo, T., Reinhardt, F., & Toepper, M. (2018). Successful integration of refugee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nsights from entry diagnostics in an online study program. Global Education Review, 5(4), 158-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