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book Contents for Fashion Online Entrepreneurship Education

패션온라인창업 교육을 위한 전자책 콘텐츠 개발에 대한 연구

  • Hwa-Yeon Jeong (School of Entertainment, Kookje University) ;
  • Eun-Hee Hong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정화연 (국제대학교 엔터테인먼트학부) ;
  • 홍은희 (경상국립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23.05.23
  • Accepted : 2024.02.06
  • Published : 2024.02.29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e-book content in order to use e-books as a tool to provide more efficient classes to learners who are familiar with smart devices and online spaces. E-book contents were produced using Sigil-0.9.10. The development process is as follows. Before e-book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prepare manuscript files, image files to be inserted, fonts to be used, and e-book covers. After inserting the book cover images, it is necessary to register the table of contents using the title tag and register the free fonts. Also, a style must be created for text or images used in the main text connected to a file containing the entire text. Then, after separating the entire text file into separate files according to each chapter, the text is completed in turn. E-books were produced focusing on hyperlink functions so that educational content and various example images could be accessed. Currently,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e-books as textbooks in universities within the fashion design major. In the future, if e-book contents a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ourses and the level of learners, they can be used as effective teaching tools.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4). 2014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활성화 계획(안). 세종: 교육부.
  2. 김성식, 안성훈, 이건남, 최숙기, 김길모, 유지은, 서례숙. (2015).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디지털교과서 개발 방향 연구. 교육과학기술부발간물. 세종: 교육부.
  3. 김소형, 정용화. (2003). 전산회계 전자교재(e-Textbook) 개발에 관한 연구. 직업능력개발연구, 6(1), 117-140.
  4. 김인수. (2017). 학생선수를 위한 게임화 전략 기반 전자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 학생선수의 인식 탐색. 한국스포츠학회지, 15(4), 711-720.
  5. 김재경, 허경, 서우석, 손원성. (2013). 대학 교육에서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전략 - 추진 체계 확립과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 전자출판연구, 2, 21-27.
  6. 노상진. (2014). 스마트교육을 위한 공간정보 콘텐츠 개발방안 연구 : 전자교과서를 사례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류지헌, 정효정. (2013). 원격대학 학습자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스마트패드용 전자교재 사용의도에 대한 기술수용모형 분석. 교육방법연구, 25(3), 623-647. https://doi.org/10.17927/TKJEMS.2013.25.3.623
  8. 송철욱. (2000). 전자책 읽을까, 종이책을 읽을까. PCLINE 8월호.
  9. 이두걸. (2010. 04. 10). e-book특집, 전자책의 역사. 서울신문. 자료검색일 2023. 5. 16, 자료출처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00410011005
  10. 이성혜, 최효선, 채유정. (2018). 중.고등학생의 전자교재 기반 온라인 학습 경험 모형 탐색.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4(2), 331-361.
  11. 이정춘. (2000). 디지털 시대의 전자책(e-book) 발전 방향, e-book의 시장 전망과 문제점. 문화관광부.
  12. 이종문. (2021). 대학생 대상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의 강의 콘텐츠 운영 실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32(4), 5-24.
  13. 장충재. (2011). E-Book을 활용한 교과 수업 학습만족도 및 성취도 분석.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정화연. (2022). 무료온라인쇼핑몰 만들기. 서울: 유페이퍼.
  15. 정화연. (2022). 패션학과 내 전자책(e-book)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춘계학술대회. 83-84.
  16. 정효정. (2014). 성인학습자를 위한 전자교재 개발 방향에 대한 연구 - Adobe DPS 기능을 활용한 디지털 퍼블리싱 사례를 중심으로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4(1), 582-590.
  17. 정효정, 류지헌, 나청수. (2013). 스마트패드용 전자교재의 설계유형에 따른 사용편의성, 인지부하, 상호작용 과정에 대한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9(3), 547-572.
  18. Daniel, D. B., & Woody, W. D. (2013). E-Textbooks at what cost? Performance and use of electronic v. Print texts. Computers & Education, 62, 18-23.
  19. Lau, K. H., Lam., T., Kam, B. H., NKjoma, M., Richardson, J., & Thomas, S. (2018). The role of textbook learning resources in e-learning: A taxonomic study. Computers & Education, 118, 10-24.
  20. Rockinson-Szapkiw, A. J., Courduff, J., Carter, K., & Bennett, D. (2013). Electronic versus traditional print textbooks: A comparison study on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Computers & Education, 63, 259-266.
  21. Weisberg, M. (2011). Student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s digital textbooks. Publishing Research Quarterly, 27(2), 188-196. https://doi.org/10.1007/s12109-011-9217-4
  22. Weng, C., Otanga, S., Weng, A., & Cox, J. (2018). Effects of interactivity in E-textbooks on 7th graders science learning and cognitive load. Computers & Education, 120, 172-184.
  23. Yair, Y. Y. (2014). Print vs. digital books in distance education. ACM Inroads, 5(1), 28-29. https://doi.org/10.1145/2568195.2568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