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이공계열 대학원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연구중심대학 사례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ore Competency Scale For Graduate Student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Engineering

  • Bae, Sang Hoon (Department of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
  • Cho, Eun Won (Department of General Education, Howon University) ;
  • Han, Song Ie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Semyung University) ;
  • Jeong, Yoo Ji (Innovation Center for Education, POSTECH) ;
  • Kim, Kyeong Eon (Department of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4.02.16
  • 심사 : 2024.03.25
  • 발행 : 2024.03.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re competencies of graduate students at A research university in the context of graduate education in science and engineering, and to develop and validate a diagnostic tool to measure them.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first, 6 factors and 18 sub-competencies of core competencies were derived based on a review of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cases of excellent research-centered overseas universities, and interviews with members of A University. Second, a theoretical model was constructed by deriving behavioral indicators based on the core competencies and sub-competencies, and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188 graduate students of University A to verify the statistical validity of the theoretical model. Results of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core competencies of graduate students at A research university consisted of 6 factors, 16 sub-competencies, and 77 items. Specifically, it included "Independent research capability(13 items)", "Social Entrepreneurship(10 items)", "Academic agility(15 items)", "Ingenious Challenges(15 items)", "Collegial Collaboration(9 items)", and "Mueunjae leadership(15 item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heories related to core competencies of graduate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and has practical significance as a basis for a data-driven competency-based graduate education system.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과제번호)(NRF-2022S1A5C2A03090888).

참고문헌

  1. 강민수.소미현(2020).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S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4), 236-247.
  2. 김경화(2017). 이공계 대학생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분석 및 교육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5), 529-539. https://doi.org/10.5392/JKCA.2017.17.05.529
  3. 김길희 외(2020). 이공계 스마트인재양성체계 구축을 위한 기획 연구. 한국과학기술평가원.
  4. 김동심(2017). 영재의 사회적 책무성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8(4), 607-628.
  5. 김미란 외(2020).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학원 교육 혁신을 위한 기초 연구: 연구중심대학을 중심으로. RR 2020-11.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6. 김승정(2021). 국내 대학원 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9(3), 219-241.
  7. 김승정(2017). 인문사회과학 전공 박사과정생의 학문적 정체성 발달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35(4), 317-345.
  8. 김윤영.윤지영(2021). 공학계열 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공학교육연구, 24(4), 3-20. https://doi.org/10.18108/JEER.2021.24.4.3
  9. 김정태 외(2011). 과학기술자의 글쓰기. 충남대학교 출판문화원.
  10. 김진모.주대진.길대환(2008). 농촌지도공무원의 역량수준 진단. 농업교육과인적자원개발, 40(1), 29-55. https://doi.org/10.23840/AGEHRD.2008.40.1.29
  11. 김화영.이성원.정은선(2020).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H 대학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4), 123-151.
  12. 김현욱.이현민(2021).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교육학연구, 59(2), 307-331.
  13. 권순구(2020). 혁신교육과정 기반 핵심역량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공과대학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6(2), 129-152. https://doi.org/10.24159/JOEC.2020.26.2.129
  14. 문남희.김명소(2016). 사회적기업가정신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친사회성을 중심으로. 사회적가치와 기업연구, 9(2), 3-30.
  15. 변수연(2016). 이공계 대학생의 이공계 진로 진출 의사에 영향을 끼치는 대학의 구성적 환경 요인 분석: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4(1), 375-399.
  16. 서은총.최명숙(2021). 우수한 역량을 갖춘 대학생들의 역량개발 경험에 관한 연구. 교육방법연구, 33(2), 293-315.
  17. 성은모.진성희(2019). 대학생의 학습민첩성 수준에 따른 행동 특성 분석. 교육공학연구, 35(4), 1005-1033.
  18. 성태제.시기자(2021). 연구방법론(3판). 서울: 학지사.
  19. 소경희(2007).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5(3), 1-21. https://doi.org/10.15708/KSCS.25.3.200709.001001
  20. 손경아.정현진.엄세원(2022). 이공계 대학원생 핵심역량 진단 도구 및 역량개발가이드 개발. 교육방법연구, 34(1), 187-211.
  21. 손승남 외(2021). 고등교육에서의 역량기반 교육과 핵심역량. 교양교육연구, 15(1), 11-30.
  22. 신현석 외(2008). 대학원생이 인식하는 대학원 교육의 질 만족요인 탐색. 교육문제연구, 31, 49-77.
  23. 신혜종.유영의.김미량(2019). 대학생의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연구: A 지역의 S 대학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6), 411-441.
  24. 오보영.문철(2015). 디자인사고(Design Thinking) 과정을 적용한 고등학교 디자인수업 모형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6(6), 297-308.
  25. 오헌석(2007).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의 비판과 쟁점 분석. 경영교육논총, 47, 191-213.
  26. 오헌석.성은모(2013). 융합인재역량분석-K대학교 공과대학 신기술융합학과 대학원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4(4), 201-228. https://doi.org/10.15753/AJE.2013.14.4.009
  27. 유덕현 외(2013). 이공계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대학 연구인력의 역량모델 및 교육훈련로드맵 개발. HRD연구, 15(3), 247-271. https://doi.org/10.18211/KJHRDQ.2013.15.3.010
  28. 이병식 외(2022). 이공계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고등교육, 5(2), 125-158. https://doi.org/10.22838/JHER.2022.5.2.125
  29. 이석열.이영학.정진철(2019). 대학원 혁신방안 수립을 위한 현황 분석 및 기초연구. 교육부.
  30. 이유리.이소영(2020). 대학의 플립드러닝에 요구되는 학습자 역량 진단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58(3), 201-227.
  31. 이정재.김진용(2015). 이공계인력의 전환가능역량 조사. 공학교육연구, 18(1), 41-46. https://doi.org/10.18108/JEER.2015.18.1.41
  32. 이진령.윤소정.박강현(2020). 대학원생 핵심역량 검사도구 개발: P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30(2), 349-371. https://doi.org/10.21024/PNUEDI.30.2.202006.349
  33. 전미애(2013). 이공계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유형의 관계.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8(2), 240-266.
  34. 정복래(2023). 산학협력 캡스톤디자인 운영사례 연구: 정보통신공학 중심으로. 실천공학교육논문지, 15(1), 45-51. https://doi.org/10.14702/JPEE.2023.045
  35. 정연재.주소영(2019). 대학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학습참여와 교양교육 만족도 간의 관계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2), 1271-1296.
  36. 조은원 외(2023). 이공계 대학원 인재상과 교육혁신 방향에 대한 대학 구성원의 인식과 시사점: A연구중심대학 사례. 공학교육연구, 26(3), 60-71. https://doi.org/10.18108/JEER.2023.26.3.60
  37. 채연희(2017). 대학생의 기업가적역량이 취업가능성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창업실패인식의 조절효과. 경영교육연구, 32(4), 165-183.
  38. 최수진 외(2017). OECD 교육 2030 참여 연구: 역량 개념틀 타당성 분석 및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체제 탐색. 연구보고 RR2017-18, 한국교육개발원.
  39. 하연섭(2018). BK21 후속사업 개편 기본방향(안). 교육부.
  40. 허지숙(2017). 신문기사에 나타난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역량에 관한 사회연결망분석: 이공계 대학생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20(5), 50-58. https://doi.org/10.18108/JEER.2017.20.5.50
  41. 홍세희(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42. Aleryani, A., & AlMunifi, A.(2019). A roadmap to the development of key competencies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gradu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Pedagogy, 9(5), 75-88. https://doi.org/10.3991/ijep.v9i5.11094
  43. Astin, A. W., & Antonio, A. L.(2012). Assessment for excellence. Lanham, Md.: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44. Bass, B. M., & Riggio, R. E.(2006). Transformational leadership. 2nd e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45. Becher, T., & Trowler, P. R.(2001). Academic tribes and territories: Intellectual enquiry and the culture of discipline. The Society for Research into Higher Education & Open University Press. Milton Keynes UK.
  46. Biglan, A.(1973).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in different academic area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7, 195-203. https://doi.org/10.1037/h0034701
  47. Boyatzis, A. R.(1982).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J. Wiley.
  48. Boyer, G, B.(1999). Turning point in the development of male servant-leaders. Doctoral Dissertation. The Fielding Institute.
  49. Browne, M. W., & Cudeck, R.(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136-162. Newbury Park, CA: Sage.
  50. Gilbert, R. et al.(2004). The generic skills debate in research higher degrees. Higher Education Research & Development, 23(3), 375-388. https://doi.org/10.1080/0729436042000235454
  51. Goleman, D, Boyatzis, R., & McKee, A.(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52. Jepsen, D. M., Varhegyi, M. M., & Edwards, D.(2012). Academics' attitudes towards PhD students' teaching: Preparing research higher degree students for an academic career. Journal of Higher Education Policy and Management, 34(6), 629-645. https://doi.org/10.1080/1360080X.2012.727706
  53. Lynn, M. R.(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6), 382-386.
  54. OECD(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Paris: OECD.
  55. OECD(2019).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conceptual learning framework: Concept note-transcormative competencies for 2030. Paris: OECD.
  56. Kidd, P.(1994). Agile Manufacturing: Forging New Frontiers. Wokingham, UK: Addison Wesle.
  57. Rogers, E. M., & Shoemaker, F. F.(1971). Communication of Innovations; A Cross-Cultural Approach.
  58. Spears, L. C.(1995), Insights on Leadership: Service, Stwardship, Spirit, and Servant-Leadership. NY: John Wiley & Sons, Inc.
  59. Spencer, L., & Spencer, S.(1993). Competency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Y: John Wiley & Sons, Inc.
  60. Sumsion, J., & Goodfellow, J.(2004). Identifying generic skills through curriculum mapping: a critical evaluation. Higher Education Research & Development, 23(3), 329-346. https://doi.org/10.1080/0729436042000235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