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인애(2003). (우리시대의) 구성주의. 문음사.
- 교육부(2020). 체계적인 원격수업을 위한 운영기준안. 교육부 보도자료(2020. 3).
- 김천호(2000). 구성주의 교수방법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청구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 문철우.김재현(2011). 이러닝 만족도 영향요인으로서의 상호작용과 몰입.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4(3), 63-72.
- 박대범.구자원(2018).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이 기업 이러닝 교육의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영과 정보연구, 37(3), 1-25.
- 박여진(2022). 대학 실시간 화상 강좌의 성과 영향요인 규명 및 영향력 분석. 석사학위청구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박인우(1996). 학교교육에 있어서 구성주의 교수원리의 실현 매체로서 인터넷 고찰. 교육공학연구, 12(2), 81-99.
- 배윤희(2007). 실천학습에서 학습 소모임의 특성에 따른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청구논문. 서울산업대학교
- 손혜숙.진설아(2021).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 교육 탐색 : 블렌디드 수업의 가능성 연구. 문화와 융합, 43(2), 15-34.
- 신동윤(2022). 미국 내 재택근무의 현황과 시사점. 노동법논총, 56, 259-292.
- 유일.김재전.조영만(2003). 웹기반 온라인 기업교육의 성과에 관한 연구: L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경영정보학연구, 5(1), 33-48.
- 이상훈.정보영(2021). 코로나19와 일터환경: 재택근무에 대한 국내언론보도기사 분석. Hrd연구, 23(1), 145-175. https://doi.org/10.18211/KJHRDQ.2021.23.1.006
- 이옥화(2002). 대학 및 대학원에서의 Cyber교육의 제도적 정비방안 - 정원 및 학위를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지원 연구결과보고서.
- 임명진(2020). 실습 교과목 운영을 위한 쌍방향 비대면 교육 운영모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청구논문. 호남대학교 대학원.
- 임연욱.이옥화(2008). 사이버 학습자의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연구. 열린교육연구, 16(2), 177- 200.
- 정경수.김경준(2006). 기업의 e-Learning에 대한 학습효과 및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보시스템연구, 15(2), 1-29.
- 조은순(2020). 포스트 코로나시대 비대면 수업을 위한 교육공학의 역할과 과제. 교육공학연구, 36(3), 693-713.
- 진주완(2021). 구성주의 교육방식을 이용한 BIM/IPD협업교육체계. 박사학위청구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최용훈(2011). 학습부진학생의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구성주의 능력기반 교수학습설계 모형 개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9(1), 141-144.
- 한지윤.조일현(2012). 공무원 국외교육프로그램 연수에서 학습만족도가 직무 효능감 및 직무 몰입 변화를 매개로 교육훈련전이에 미치는 영향. 기업교육과인재연구, 14(2), 261-276
- Bednar, A. K. et al.(1991). Theory into practice : How do we link? Libraries Unl.
- Cunningham, D. J.(1991). Assessing construction and constructing assessments : A dialogu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5, 13-17.
- Gist, M. E.(1987). Self-efficacy: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2, 472-485. https://doi.org/10.2307/258514
- Kirkpatrick, D. L.(1998). Evaluating Training Programs: The Four Levels, 2nd Edition. Berrett-Koehler.
- Laurillard, D.(2002). Rethinking university teaching: A framework for the effective use of educational technology (2nd ed.). Routledge Falmer.
- Lebow, D.(1993). Constructivist values for systems design : Five principles toward a new mindset. ETR&D, 41(3), 4-16. https://doi.org/10.1007/BF02297354
- Newby, T. J. et al.(2006). 교수.학습을 위한 교육공학 (3판) (노석준 외 역). 학지사.
- Osipow, S. H., & Rooney, R. A.(1992). Task-specific occupational self-efficacy scale: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rototyp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0, 14-32. https://doi.org/10.1016/0001-8791(92)90044-Z
- Perkins, D(1991). Technology meets constructivism. Educational Technology, 31(5). 18-23.
- Phillips, J. J., & Stone, R. D.(2002). How to measure training results: A practical guide to tracking the six key indicators. McGraw Hill.
- Speier, C. & Frese, M.(1997). Generalized self-efficacy as a mediator and moderator between control and complexity at work and personal initiative: A longitudinal field study in east Germany. Human Performance, 10(2), 171-192 https://doi.org/10.1207/s15327043hup1002_7
- Spiro, R. J. et al.(1992). Cognitive flexibility, constructivism, and hypertext: Random access instruction for advanced knowledge acquisition in ill-structured domains. In T. Duffy & D. Jonassen(Eds.), Constructivism and the technology of instruction : A conversa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Steffe, L. P., & Gale, J. E.(1995). 교육과 구성주의 : 교육공학의 인식론적 기반 (이명근 역).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