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farmers and fishers'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level on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digital device use attitude

농어민의 디지털 정보 활용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기기 이용 태도를 매개변수로

  • 전봉춘 (한양대학교 과학기술정책학과) ;
  • 윤한성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 Received : 2023.11.05
  • Accepted : 2024.03.06
  • Published : 2024.03.31

Abstract

Purpose In this paper, among the four information vulnerable groups(disabled, elderly, low-income, farmers and fishermen),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device usage attitudes in the effect of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level of farmers and fishermen with a large digital information gap with the general public on life satisfaction was verified.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summarizes existing research related to the digital information gap between farmers and fishermen, and the empirical analysis is based 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2022 Digital Information Gap Report (survey data on 2,200 farmers and fishermen) published by the Korea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Promotion Agency. Among the four major information vulnerable groups (the disabled, the elderly, low-income groups, and farmers and fishermen), attitudes toward using digital devices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 impact of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e on life satisfaction among farmers and fishermen, who have a relatively large digital information gap with the general public. It was verified as a mediating effect. Finding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attitudes toward the use of digital devices were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impact of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e on life satisfac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월석, 김명숙, 고재욱, "스마트폰 정보 활용과 이용성과가 노인의 삶 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33권, 제1호, 2013, pp. 199-214.
  2. 김대명, "장애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분석: PC/모바일 기기 이용 능력과 사회적 관계 서비스 이용률을 중심으로," 국회입법조사처 입법과 정책, 제14권, 제1호, 2022, pp. 73-97. https://doi.org/10.17924/solc.2022.63.97
  3. 김문조, 김종길, "정보격차(digital divide)의 이론적.정책적 재고," 한국사회학, 제36권, 제4호, 2002, pp. 123-155.
  4. 김미영, 강윤희, 정덕유, 이건정, "노인의 스마트폰 사용과 건강정보활용," 질적연구, 제14권, 제1호, 2013, pp. 13-22. https://doi.org/10.22284/QR.2013.14.1.13
  5. 김명용, 전혜정,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 참여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제72권, 제3호, 2017, pp. 343-370. https://doi.org/10.21194/KJGSW.72.3.201709.343
  6. 김명일, 김영선, 엄사랑, "중․고령자의 디지털 정보 활용 유형과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23권, 제1호, 2020, pp. 51-74. https://doi.org/10.22896/KARIS.2020.23.1.003
  7. 김반야, 권종실, "디지털 정보화와 일상생활만족도의 관계: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효과 분석," Informatization Policy, 제29권, 제2호, 2022, pp. 91-105. https://doi.org/10.22693/NIAIP.2022.29.2.091
  8. 김봉섭, 고정현, "노년층의 성취자본이 디지털 자본 획득에 미치는 영향 연구: 디지털 기기 이용 태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Informatization Policy, 제29권, 제2호, 2022, pp. 106-126. https://doi.org/10.22693/NIAIP.2022.29.2.106
  9. 김봉섭, 김정미, "노년층의 정보격차 결정요인 연구 : 정보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5권, 제2호, 2009, pp. 193-222. https://doi.org/10.15820/KHJSS.2009.35.2.008
  10. 김봉화, "노인의 정보활용, 적응기제 및 삶의 만족도간의 구조방정식 분석," 노인복지연구, 제33권, 제1호, 2006, pp. 225-256.
  11. 김소영, 정진택 "코로나 이후 정보 취약계층의 디지털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제19권, 제12호, 2021, pp. 531-539.
  12. 김수경, 신혜리, 김영선, "장노년층의 디지털기기 이용 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기기 이용성과의 매개효과," 정보시스템연구, 제30권, 제1호, 2021, pp. 85-104.
  13. 김승환, 성욱준, "농어민의 모바일 인터넷 이용과 디지털격차에 관한 연구," Informatzation Policy, 제27권, 제3호, 2020, pp. 19-38.
  14. 김시현, 이건창 "PC 이용 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서비스 이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제17권, 제9호, 2019, pp. 55-60.
  15. 김희정,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수준과 건강 만족도의 상관관계 및 영향요인 조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16. 민영, "인터넷 이용과 정보격차: 접근, 활용, 참여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제48권, 제1호, 2011, pp. 150-187. https://doi.org/10.22174/JCR.2011.48.1.150
  17. 박영민, 남기범, "농촌지역 스마트 디바이드 해소를 위한 지방정부의 전략: 정보화마을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19권, 3호, 2016, pp. 1-26. https://doi.org/10.22896/KARIS.2016.19.3.001
  18. 박선숙, "세대별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세대 차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연구, 제30권, 제3호, 2019, pp. 311-330. https://doi.org/10.16881/jss.2019.07.30.3.311
  19. 박선주 등, "디지털 정보 활용 유형이 세대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공관리학보, 제34권, 제3호, 2020, pp. 49-81. https://doi.org/10.24210/KAPM.2020.34.3.003
  20. 배도연, "스마트 학습 기기 학습자 요인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정보소외계층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서유경, "청각장애인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제25권, 제1호, 2023, pp. 215-238. https://doi.org/10.21075/KACSN.2023.25.1.215
  22. 신용주, 구민정, "노인 정보화교육과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dragogy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제13권, 제4호, 2010, pp. 119-147.
  23. 안대천, 김상훈, "수용자의 성별에 따른 유명기업 웹사이트 태도와 이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0권, 제3호, 2008, pp. 92-121.
  24. 엄사랑, 신혜리, 김영선, "중․고령자의 기술 활용도 영향 요인: 중년층과 고령층의 차이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 정보화학회지, 제23권, 제2호, 2020, pp. 171-202.
  25. 연은모, 최효식, "장애인의 디지털 정보화역량, 디지털 정보화활용 수준, 일상생활만족도 간 관계: 지각된 사회적 지지망 수준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한국산학 기술학회논문지, 제20권, 제12호, 2019, pp. 636-644.
  26. 유병민, 김수욱, 박성열, 박혜진, 이은진, "농업정보화를 위한 농업인 ICT 리터러시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제41 권, 제4호, 2009, pp. 93-119. https://doi.org/10.23840/agehrd.2009.41.4.93
  27. 윤형득, 신현식, "농어민 정보격차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 제4권, 제2호, 2009, pp. 143-151.
  28. 윤희정, 신혜리, 김영선, "중고령자의 디지털 정보화 활용 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분석," 정보화정책, 제27권, 4호, 2020, pp. 85-100. https://doi.org/10.22693/NIAIP.2020.27.4.085
  29. 이근희,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정신장애인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22.
  30. 이동필, 김종선, "지역 간 정보격차와 농촌지역의 정보화," 농촌경제, 제20권, 제2호, 1997, pp. 63-81.
  31. 이주실, 전대성 "스마트기기 시대 인터넷 활용이 정보 소외계층의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제24권, 4호, 2015, pp. 431-455.
  32. 이지현, 여영훈, 오지원, 학해군, "COVID-19 시대 소득그룹간 디지털 정보 격차에 관한 연구: 디지털 서비스 역량, 인식변화, 이용량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3권, 제3호, 2023, pp. 408-417.
  33. 이향수, 이성훈, "농어민의 정보격차와 소득수준에 대한 연구,"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제16권, 제1호, 2018, pp. 13-20.
  34. 임유신, 문상호, "고령층의 디지털 이용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국정관리연구, 제18권, 제1호, 2023, pp. 61-89. https://doi.org/10.16973/JGS.2023.18.1.003
  35. 정선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개인 가치관의 영향력: 한국, 중국, 일본의 국가 비교를 중심으로," 가정과 삶의 질 학회 제59차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016, pp. 69-82.
  36. 정순둘, 이선희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접근성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정보활용능력과 사회적 네트워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9권, 제3호, 2019, pp. 179-214. https://doi.org/10.15709/HSWR.2019.39.3.179
  37. 정준화,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개인의 모바일 인터넷 활용 수준 영향요인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제26권, 제1호, 2017, pp. 151-177.
  38. 최형임, 송인욱, "노인의 디지털 정보활용능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분석,"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제21권, 제6호, 2020, pp. 246-255.
  39. 한국농어민신문, "늙어가는 농촌. 농가 소득도 줄어든다.", 신문 3483호, 2023. 
  40.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2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2022,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41.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2 디지털 정보 격차실태조사,, 2022,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42. 황장선, 김은혜, 조정식 "웹 사이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의 인지된 상호작용성, 인터넷 이용동기 및 관여도," 한국광고홍보학보, 제8권, 2006, pp. 159-186.
  43. 황현정, 황용석 "노인집단 내 정보격차와 그에 따른 삶의 만족도 연구-가구 구성형태 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4권 제3호, 2017, pp.359-386. https://doi.org/10.46415/jss.2017.09.24.3.359
  44. Alexander JAM van Deursen, "Digital inequality during a pandemic: Quantitative study of differences in COVID-19 related internet uses and outcomes among the general population,"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 22, No. 8, 2020, pp. 1-13. https://doi.org/10.2196/20073
  45. Castillo-Merino, D. and Serradell-Lopez, E. "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students' performance in e-learning,"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30, 2014, pp. 476-484. https://doi.org/10.1016/j.chb.2013.06.020
  46. Christensen R. and Knezek G. "The Technology Proficiency Self-Assessment (TPSA): Evolution of a Self-Efficacy Measure for Technology Integration," Paper presented to IFIP KEYCIT, Pottsdam, Germany, 2014, pp. 311-318.
  47. Cristobal Torres-Albero, Jose Manuel Robles., and Stefano De Marco, "Inequalities in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society: From the digital divide to digital inequality," The Robotics Divide, 2014, pp. 173-194.
  48. DiMaggio, P., Hargittai, E., Neuman, W. and Robinson, J. "Social implications of the Internet," Annual review of sociology, Vol. 27, No. 1, 2001, pp. 307-336. https://doi.org/10.1146/annurev.soc.27.1.307
  49. Diener, E. D., Emmons, R. A., Larsen, R. J., Griffin, S.,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 49, No. 1, 1985, pp. 71-75.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50. Dorin, M., "Online Education of Older Adults and its Relation to Life Satisfaction," Educational Gerontology, Vol. 33, No. 2, 2007, pp. 127-143. https://doi.org/10.1080/03601270600850776
  51. Eynon, R., Deetjen, U. and Malmberg, L.-E. "Moving on up in the information society?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use and social class mobility in Britain," The Information Society, Vol. 34, No. 5, 2018, pp. 316-327. https://doi.org/10.1080/01972243.2018.1497744
  52. Hargittai, E and Hinnant, A. "Digital inequality: Differences in young adults' use of the internet," Communication Research, Vol. 35, No. 5, 2008, pp. 602-621. https://doi.org/10.1177/0093650208321782
  53. Helsper, E. Van Deursen, A. J. A. M. and Eynon, R. "Tangible Outcomes of Internet Use," From Digital Skills to Tangible Outcomes Project Report, 2015.
  54. Ingrid Burkett, "Beyond the 'information rich and poor': futures understandings of inequality in globalising informational economies," Futures, Vol. 32, No. 7, 2000, pp. 679-694. https://doi.org/10.1016/S0016-3287(00)00016-1
  55. Johannes M Bauer, "Inequality in the information society," Department of Media and Inform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Quello center working paper, 2016.
  56. Lifshitz, R., Nimrod, G. and Bachner, Y. G. "Internet use and well-being in later life: A functional approach," Aging & Mental Health, Vol. 22. No. 1, 2018, pp. 85-91.
  57. Lissitsa, S., and Chachashvili-Bolotin, S. "Life satisfaction in the Internet age-Changes in the past decad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54, 2016, pp. 197-206. https://doi.org/10.1016/j.chb.2015.08.001
  58. Seifert, A., and Schelling, H. R., "Seniors Online: Attitudes toward the internet and coping with everyday life,"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Vol. 37, No. 1, 2018, pp. 99-109. https://doi.org/10.1177/0733464816669805
  59. Selwyn, N., "Reconsidering political and popular understanding of the digital divide," New Media & Society, Vol. 6, No. 3, 2004, pp. 341-362.
  60. Sourbati, M, "Media literacy and universal access in Europe," The Information Society, Vol. 25, No. 4, 2009, pp. 248-254. https://doi.org/10.1080/01972240903028680
  61. Strover. S, "Rural internet connectivity," Telecommunications policy, Vol. 25, No. 5, 2001, pp. 331-347. https://doi.org/10.1016/S0308-5961(01)00008-8
  62. Wei, L. "Number matters: The multimodality of Internet use as an indicator of the digital inequalitie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 17, No. 3, 2012, pp. 303-318. https://doi.org/10.1111/j.1083-6101.2012.01578.x